"점화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3번째 줄: 13번째 줄:
 
*  점화식을 푸는 것이란 : 점화식이 만족하는 수열의 일반항을 알아 내는 것.<br> 보통의 경우 초기항이 주어져야 완전한 답을 낼 수 있다.<br>  <br>
 
*  점화식을 푸는 것이란 : 점화식이 만족하는 수열의 일반항을 알아 내는 것.<br> 보통의 경우 초기항이 주어져야 완전한 답을 낼 수 있다.<br>  <br>
 
*  기본적인 점화식:<br>
 
*  기본적인 점화식:<br>
** : 등차수열
+
** <math>a_{n+1} - a_n = c</math> : 등차수열
** : 등비수열
+
** <math>a_{n+1} / a_n = c</math> : 등비수열
** : 위의 <계차수열> 참고.
+
** <math>a_{n+1} - a_n = b_n</math> : 위의 <계차수열> 참고.
** : [[06 여러 가지 수열|계차수열을 통한 풀이]]에서, <모든 항을 더하>지 않고 <모든 항을 곱하>면 됨.
+
** <math>a_{n+1} / a_n = b_n</math> : [[06 여러 가지 수열|계차수열을 통한 풀이]]에서, <모든 항을 더하>지 않고 <모든 항을 곱하>면 됨.
 
*  기본 점화식의 응용<br>
 
*  기본 점화식의 응용<br>
** <br>
+
** <math>a_{n+1} =  ka_n  + c</math><br>
*** 양변에 적당한 상수를 더하면  꼴로 만들 수 있다.
+
*** 양변에 적당한 상수를 더하면 <math>(a_{n+1}  + p)=  k(a_n + p)</math> 꼴로 만들 수 있다.
*** 일반항이  인 수열은 공비 인 등비수열,  
+
*** 일반항이 <math>(a_n + p)</math> 인 수열은 공비 <math>k</math> 인 등비수열, <math>a_n + p =(a_1 + p) k^{n-1}</math>
***  적당한 상수 는 어떻게 찾냐고? 생각해 볼 것.<br>  <br>
+
***  적당한 상수 <math>p</math> 는 어떻게 찾냐고? 생각해 볼 것.<br>  <br>
***  ex) , 초기항 1<br> 양변에 3을 더하면 , 적당한 상수 에 대하여 <br> 초항을 만족시키는 값은 2이므로, <br>  <br>
+
***  ex) <math>a_{n+1} = 2a_{n} + 3</math>, 초기항 1<br> 양변에 3을 더하면 <math>(a_{n+1} +3 )= 2( a_{n} + 3)</math>, 적당한 상수 <math>k</math> 에 대하여 <math>a_{n} + 3 = k 2^n</math><br> 초항을 만족시키는 <math>k</math> 값은 2이므로, <math>a_n = 2^{n+1} - 3</math><br>  <br>
 
**  점화식에 덧셈 기호가 없을 때<br>
 
**  점화식에 덧셈 기호가 없을 때<br>
 
***  로그를 취하면 도움이 됨. 로그의 밑은 계산이 간단하도록 적절히 선택하기.<br>  <br>
 
***  로그를 취하면 도움이 됨. 로그의 밑은 계산이 간단하도록 적절히 선택하기.<br>  <br>
***  ex) : 밑 2 인 로그를 취하면 <br> 이제 에 대한 점화식을 풀면 됨. (양변에 2를 더해서 …)<br>  <br>
+
***  ex) <math>a_{n+1} = 4a_n^2</math> : 밑 2 인 로그를 취하면 <math>\log a_{n+1} = 2\log a_n + 2</math><br> 이제 <math>\log a_n = b_n</math>에 대한 점화식을 풀면 됨. (양변에 2를 더해서 …)<br>  <br>
 
**  점화식이 분수꼴일때<br>
 
**  점화식이 분수꼴일때<br>
 
***  역수를 취하면 도움이 될 때가 많음. (만능은 아님)<br>  <br>
 
***  역수를 취하면 도움이 될 때가 많음. (만능은 아님)<br>  <br>
***  ex) : 역수를 취하면 . 이제 에 대한 점화식으로 보고 풀면 됨.<br>  <br>
+
***  ex) <math>{a_{n+1}} = \frac{2a_n}{3a_n+1}</math> : 역수를 취하면 <math>\frac{1}{a_{n+1}} = \frac{1}{2} \frac{1}{a_n} + \frac{3}{2}</math>. 이제 <math>b_n = \frac{1}{a_n}</math> 에 대한 점화식으로 보고 풀면 됨.<br>  <br>
**  점화식에 이 함께 나올 때<br>
+
**  점화식에 <math>a_n</math> <math>S_n</math> 이 함께 나올 때<br>
*** , 의 관계를 사용하면 만의 점화식으로 만들 수 있다.<br>  <br>
+
*** <math>S_n - S_{n-1}=a_n</math><math>(n \ge 2)</math> , <math>S_1 = a_1 </math> 의 관계를 사용하면 <math>a_n</math> 만의 점화식으로 만들 수 있다.<br>  <br>
***  ex) 일 때, 이므로 <br> 식과 식을 빼 주면 <br> 이제부터는 알아서 할 것. 부분합과 일반항이 함께 등장하는 점화식에서는 초기 조건에서 실수를 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정도는 점화식으로부터 직접 구해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리고 구한 일반항 에서만 성립하는 식일 가능성도 있다.<br> <br>
+
***  ex) <math> a_n = 2 S_n + 3^n</math> 일 때, <math> a_1 = 2 a_1 + 3</math> 이므로 <math>a_1 = -3</math><br><math>a_{n+1} = 2 S_{n+1} + 3^{n+1}</math> 식과 <math> a_n = 2 S_n + 3^n</math> 식을 빼 주면 <math>a_{n+1} - a_n = 2 a_{n+1} + 2\cdot 3^{n}</math><br> 이제부터는 알아서 할 것. 부분합과 일반항이 함께 등장하는 점화식에서는 초기 조건에서 실수를 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math>a_1, a_2, a_3</math> 정도는 점화식으로부터 직접 구해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리고 구한 일반항 <math>a_n</math> <math>(n \ge 2)</math> 에서만 성립하는 식일 가능성도 있다.<br> <br>
** 꼴의 점화식<br>
+
** <math>pa_{n+2} + qa_{n+1} + ra_n = 0</math> 꼴의 점화식<br>
*** 일 때<br>
+
*** <math>p+q+r =0</math> 일 때<br>
**** 잘 정리하면 의 형태로 만들 수 있다. 그러면 계차수열 에 대한 등차수열이라고 생각하고, 을 구한다.
+
**** 잘 정리하면 <math>a_{n+2} - a_{n+1} = r(a_{n+1} - a_n)</math> 의 형태로 만들 수 있다. 그러면 계차수열 <math>b_n = a_{n+1} - a_{n}</math> 에 대한 등차수열이라고 생각하고, <math>b_n</math> 을 구한다.
 
**** 계차수열을 알 때 일반항을 구하는 건 할 수 있지?
 
**** 계차수열을 알 때 일반항을 구하는 건 할 수 있지?
*** 일 때 : (교육 과정 외, 이 점화식만은 외우는 것을 권장함. 유도 과정이 너무 길다.)<br>
+
*** <math>p+q+r \ne 0 </math> 일 때 : (교육 과정 외, 이 점화식만은 외우는 것을 권장함. 유도 과정이 너무 길다.)<br>
 
****  결론부터 말하자면,<br>
 
****  결론부터 말하자면,<br>
***** 의 두 근을 라 하면, 꼴이며, 초기항 두 개를 아는 경우 상수를 찾을 수 있다.
+
***** <math>px^2 + qx + r = 0 </math> 의 두 근을 <math>\alpha, \beta</math> 라 하면, <math>a_n = A\alpha^{n-1} + B\beta^{n-1}</math> 꼴이며, 초기항 두 개를 아는 경우 상수를 찾을 수 있다.
***** 중근 를 가지는 경우에는 꼴이 된다.
+
***** 중근 <math>\alpha</math> 를 가지는 경우에는 <math>a_n = A\alpha^{n-1} + Bn\alpha^{n-1}</math> 꼴이 된다.
**** 의 두 근 에 대하여, 이다. (근과 계수와의 관계) 그러므로<br> 라고 쓸 수 있다.<br> 이제 으로 쓸 수 있다. 에 대한 등비수열을 풀기.<br> 로도 쓸 수 있다. 에 대한 등비수열을 풀기.<br> 연립해서 을 소거하면 끝! 중근을 가지는 경우에 대한 유도는 독자에게 맡긴다.<br> 이 점화식을 인 점화식에 적용해서 풀지 말라는 법도 없다. 한 근이 무조건 1 이 나와서, (등비수열) + (상수) 꼴의 일반항이 나온다.<br>  <br>
+
**** <math>px^2 + qx + r = 0 </math> 의 두 근 <math>\alpha, \beta</math> 에 대하여, <math>p(\alpha+ \beta) = -q,\quad p(\alpha \beta) = r</math> 이다. (근과 계수와의 관계) 그러므로<br><math>a_{n+2} - (\alpha + \beta)a_{n+1} + \alpha \beta a_n = 0</math> 라고 쓸 수 있다.<br> 이제 <math>a_{n+2} - \alpha a_{n+1} = \beta(a_{n+1} -\alpha a_n)</math> 으로 쓸 수 있다. <math>(a_{n+1} -\beta a_n)</math> 에 대한 등비수열을 풀기.<br><math>a_{n+2} - \beta a_{n+1} = \alpha (a_{n+1} -\beta a_n)</math> 로도 쓸 수 있다. <math>(a_{n+1} -\alpha a_n)</math> 에 대한 등비수열을 풀기.<br> 연립해서 <math>a_{n+1}</math> 을 소거하면 끝! 중근을 가지는 경우에 대한 유도는 독자에게 맡긴다.<br> 이 점화식을 <math>p+q+r=0</math> 인 점화식에 적용해서 풀지 말라는 법도 없다. 한 근이 무조건 1 이 나와서, (등비수열) + (상수) 꼴의 일반항이 나온다.<br>  <br>
**** ex) 피보나치 수열  의 일반항을 구하시오. ()
+
**** ex) 피보나치 수열 <math>a_{n+2} = a_{n+1} + a_n</math> 의 일반항을 구하시오. (<math>a_1 = a_ 2 = 1</math>)
  
 
 
 
 
  
* 꼴의 점화식<br>
+
* <math>a_{n+1} = ra_n + b_n</math> 꼴의 점화식<br>
** 양변을 로 나눈 후, 에 대한 점화식을 푸는 것이 한 방법. 이 등비수열인 경우 효과적이다.
+
** 양변을 <math>r^{n+1}</math> 로 나눈 후, <math>a_n / r^n</math> 에 대한 점화식을 푸는 것이 한 방법. <math>b_n</math> 이 등비수열인 경우 효과적이다.
**  양변에 적당히 에 대한 식을 더해서 공비 에 대한 등비수열 꼴로 만들 수 있는 경우가 많다.<br>
+
**  양변에 적당히 <math>n</math> 에 대한 식을 더해서 공비 <math>r</math> 에 대한 등비수열 꼴로 만들 수 있는 경우가 많다.<br>
*** 이 다항식인 경우, 양변에 과 같은 차수의 다항식을 (계수를 문자로 두고) 더해서, 등비수열 꼴로 만든 후에 계수 비교를 통해 문자를 찾는다.<br>  <br>
+
*** <math>b_n</math> 이 다항식인 경우, 양변에 <math>b_n</math> 과 같은 차수의 다항식을 (계수를 문자로 두고) 더해서, 등비수열 꼴로 만든 후에 계수 비교를 통해 문자를 찾는다.<br>  <br>
***  ex ) 인 경우, 양변에 를 더하면<br><br> 우변이 인 경우에 등비수열이 되니까, 이므로 . 그러므로<br>. 초기항이 주어진 경우 k 를 찾을 수 있다.<br>  <br>
+
***  ex ) <math>a_{n+1} = 2a_n + 3n + 5</math> 인 경우, 양변에 <math>pn + q</math> 를 더하면<br><math>a_{n+1} + pn + q = 2a_n + (3+p)n + (5+q)</math><br> 우변이 <math>2(a_n+ pn + q)</math> 인 경우에 등비수열이 되니까, <math>3+p = 2p, \quad 5+q=2q</math> 이므로 <math>p=3, \quad q=5</math>. 그러므로<br><math>a_n + 3n + 5 = k2^n</math>. 초기항이 주어진 경우 k 를 찾을 수 있다.<br>  <br>
* 꼴의 점화식<br>
+
* <math>pa_{n+2} + qa_{n+1} + ra_n = b_n</math> 꼴의 점화식<br>
** 양변에 적당히 에 대한 식을 더해서 공비 에 대한 등비수열 꼴로 만들 수 있는 경우가 많다.
+
** 양변에 적당히 <math>n</math> 에 대한 식을 더해서 공비 <math>r</math> 에 대한 등비수열 꼴로 만들 수 있는 경우가 많다.
  
 
 
 
 

2009년 12월 30일 (수) 04:38 판

  • 점화식 : 항 사이의 관계식을 써서 수열을 나타낸 식.

 

점화식의 풀이법 : 아래 본문

 

Tip) 점화식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일반항을 외우지 않는을 추천함. 어떤 느낌으로 기본적인 점화식으로 변형할 수 있는지만 기억해 두면 됩니다. 익숙해지면 기본적인 점화식으로 변형해서 푸는 것이 더 빨라짐. 제발 부탁이니 수많은 점화식을 다 외우는 뻘짓을 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그 뻘짓을 하신다면 이 글도 작성자의 뻘짓이 되는 겁니다 ㅠ

 

  • 점화식을 푸는 것이란 : 점화식이 만족하는 수열의 일반항을 알아 내는 것.
    보통의 경우 초기항이 주어져야 완전한 답을 낼 수 있다.
     
  • 기본적인 점화식:
    • \(a_{n+1} - a_n = c\) : 등차수열
    • \(a_{n+1} / a_n = c\) : 등비수열
    • \(a_{n+1} - a_n = b_n\) : 위의 <계차수열> 참고.
    • \(a_{n+1} / a_n = b_n\) : 계차수열을 통한 풀이에서, <모든 항을 더하>지 않고 <모든 항을 곱하>면 됨.
  • 기본 점화식의 응용
    • \(a_{n+1} = ka_n + c\)
      • 양변에 적당한 상수를 더하면 \((a_{n+1} + p)= k(a_n + p)\) 꼴로 만들 수 있다.
      • 일반항이 \((a_n + p)\) 인 수열은 공비 \(k\) 인 등비수열, \(a_n + p =(a_1 + p) k^{n-1}\)
      • 적당한 상수 \(p\) 는 어떻게 찾냐고? 생각해 볼 것.
         
      • ex) \(a_{n+1} = 2a_{n} + 3\), 초기항 1
        양변에 3을 더하면 \((a_{n+1} +3 )= 2( a_{n} + 3)\), 적당한 상수 \(k\) 에 대하여 \(a_{n} + 3 = k 2^n\)
        초항을 만족시키는 \(k\) 값은 2이므로, \(a_n = 2^{n+1} - 3\)
         
    • 점화식에 덧셈 기호가 없을 때
      • 로그를 취하면 도움이 됨. 로그의 밑은 계산이 간단하도록 적절히 선택하기.
         
      • ex) \(a_{n+1} = 4a_n^2\) : 밑 2 인 로그를 취하면 \(\log a_{n+1} = 2\log a_n + 2\)
        이제 \(\log a_n = b_n\)에 대한 점화식을 풀면 됨. (양변에 2를 더해서 …)
         
    • 점화식이 분수꼴일때
      • 역수를 취하면 도움이 될 때가 많음. (만능은 아님)
         
      • ex) \({a_{n+1}} = \frac{2a_n}{3a_n+1}\) : 역수를 취하면 \(\frac{1}{a_{n+1}} = \frac{1}{2} \frac{1}{a_n} + \frac{3}{2}\). 이제 \(b_n = \frac{1}{a_n}\) 에 대한 점화식으로 보고 풀면 됨.
         
    • 점화식에 \(a_n\) 과 \(S_n\) 이 함께 나올 때
      • \(S_n - S_{n-1}=a_n\)\((n \ge 2)\) , \(S_1 = a_1 \) 의 관계를 사용하면 \(a_n\) 만의 점화식으로 만들 수 있다.
         
      • ex) \( a_n = 2 S_n + 3^n\) 일 때, \( a_1 = 2 a_1 + 3\) 이므로 \(a_1 = -3\)
        \(a_{n+1} = 2 S_{n+1} + 3^{n+1}\) 식과 \( a_n = 2 S_n + 3^n\) 식을 빼 주면 \(a_{n+1} - a_n = 2 a_{n+1} + 2\cdot 3^{n}\)
        이제부터는 알아서 할 것. 부분합과 일반항이 함께 등장하는 점화식에서는 초기 조건에서 실수를 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a_1, a_2, a_3\) 정도는 점화식으로부터 직접 구해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리고 구한 일반항 \(a_n\) 은 \((n \ge 2)\) 에서만 성립하는 식일 가능성도 있다.
         
    • \(pa_{n+2} + qa_{n+1} + ra_n = 0\) 꼴의 점화식
      • \(p+q+r =0\) 일 때
        • 잘 정리하면 \(a_{n+2} - a_{n+1} = r(a_{n+1} - a_n)\) 의 형태로 만들 수 있다. 그러면 계차수열 \(b_n = a_{n+1} - a_{n}\) 에 대한 등차수열이라고 생각하고, \(b_n\) 을 구한다.
        • 계차수열을 알 때 일반항을 구하는 건 할 수 있지?
      • \(p+q+r \ne 0 \) 일 때 : (교육 과정 외, 이 점화식만은 외우는 것을 권장함. 유도 과정이 너무 길다.)
        • 결론부터 말하자면,
          • \(px^2 + qx + r = 0 \) 의 두 근을 \(\alpha, \beta\) 라 하면, \(a_n = A\alpha^{n-1} + B\beta^{n-1}\) 꼴이며, 초기항 두 개를 아는 경우 상수를 찾을 수 있다.
          • 중근 \(\alpha\) 를 가지는 경우에는 \(a_n = A\alpha^{n-1} + Bn\alpha^{n-1}\) 꼴이 된다.
        • \(px^2 + qx + r = 0 \) 의 두 근 \(\alpha, \beta\) 에 대하여, \(p(\alpha+ \beta) = -q,\quad p(\alpha \beta) = r\) 이다. (근과 계수와의 관계) 그러므로
          \(a_{n+2} - (\alpha + \beta)a_{n+1} + \alpha \beta a_n = 0\) 라고 쓸 수 있다.
          이제 \(a_{n+2} - \alpha a_{n+1} = \beta(a_{n+1} -\alpha a_n)\) 으로 쓸 수 있다. \((a_{n+1} -\beta a_n)\) 에 대한 등비수열을 풀기.
          \(a_{n+2} - \beta a_{n+1} = \alpha (a_{n+1} -\beta a_n)\) 로도 쓸 수 있다. \((a_{n+1} -\alpha a_n)\) 에 대한 등비수열을 풀기.
          연립해서 \(a_{n+1}\) 을 소거하면 끝! 중근을 가지는 경우에 대한 유도는 독자에게 맡긴다.
          이 점화식을 \(p+q+r=0\) 인 점화식에 적용해서 풀지 말라는 법도 없다. 한 근이 무조건 1 이 나와서, (등비수열) + (상수) 꼴의 일반항이 나온다.
           
        • ex) 피보나치 수열 \(a_{n+2} = a_{n+1} + a_n\) 의 일반항을 구하시오. (\(a_1 = a_ 2 = 1\))

 

  • \(a_{n+1} = ra_n + b_n\) 꼴의 점화식
    • 양변을 \(r^{n+1}\) 로 나눈 후, \(a_n / r^n\) 에 대한 점화식을 푸는 것이 한 방법. \(b_n\) 이 등비수열인 경우 효과적이다.
    • 양변에 적당히 \(n\) 에 대한 식을 더해서 공비 \(r\) 에 대한 등비수열 꼴로 만들 수 있는 경우가 많다.
      • \(b_n\) 이 다항식인 경우, 양변에 \(b_n\) 과 같은 차수의 다항식을 (계수를 문자로 두고) 더해서, 등비수열 꼴로 만든 후에 계수 비교를 통해 문자를 찾는다.
         
      • ex ) \(a_{n+1} = 2a_n + 3n + 5\) 인 경우, 양변에 \(pn + q\) 를 더하면
        \(a_{n+1} + pn + q = 2a_n + (3+p)n + (5+q)\)
        우변이 \(2(a_n+ pn + q)\) 인 경우에 등비수열이 되니까, \(3+p = 2p, \quad 5+q=2q\) 이므로 \(p=3, \quad q=5\). 그러므로
        \(a_n + 3n + 5 = k2^n\). 초기항이 주어진 경우 k 를 찾을 수 있다.
         
  • \(pa_{n+2} + qa_{n+1} + ra_n = b_n\) 꼴의 점화식
    • 양변에 적당히 \(n\) 에 대한 식을 더해서 공비 \(r\) 에 대한 등비수열 꼴로 만들 수 있는 경우가 많다.

 

 

  • 점화식의 풀이 중에는 미분방정식의 풀이와 유사한 것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