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렘니스케이트(lemniscate) 곡선의 길이와 타원적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0번째 줄: 10번째 줄:
 
렘니스케이트 곡선의 둘레의 길이 <math>L</math>은 [[타원적분]]으로 표현되며 다음이 성립한다
 
렘니스케이트 곡선의 둘레의 길이 <math>L</math>은 [[타원적분]]으로 표현되며 다음이 성립한다
 
:<math>L=4\int_0^1\frac{dx}{\sqrt{1-x^4}}=2\sqrt{2}K(\frac{1}{\sqrt{2}})=5.2441\cdots</math>
 
:<math>L=4\int_0^1\frac{dx}{\sqrt{1-x^4}}=2\sqrt{2}K(\frac{1}{\sqrt{2}})=5.2441\cdots</math>
여기서 $K$는 [[제1종타원적분 K (complete elliptic integral of the first kind)]]
+
여기서 <math>K</math>는 [[제1종타원적분 K (complete elliptic integral of the first kind)]]
$$K(k) = \int_0^{\frac{\pi}{2}} \frac{d\theta}{\sqrt{1-k^2 \sin^2\theta}}.$$
+
:<math>K(k) = \int_0^{\frac{\pi}{2}} \frac{d\theta}{\sqrt{1-k^2 \sin^2\theta}}.</math>
 
또한 다음이 성립한다
 
또한 다음이 성립한다
 
:<math>L=B(1/2,1/4)=\frac{\Gamma(\frac{1}{2})\Gamma(\frac{1}{4})}{\Gamma(\frac{3}{4})}=\frac{\Gamma(1/4)^2}{\sqrt{2\pi}}</math>
 
:<math>L=B(1/2,1/4)=\frac{\Gamma(\frac{1}{2})\Gamma(\frac{1}{4})}{\Gamma(\frac{3}{4})}=\frac{\Gamma(1/4)^2}{\sqrt{2\pi}}</math>
여기서 $B$는 [[오일러 베타적분(베타함수)]]이고, $\Gamma$는 [[감마함수]]
+
여기서 <math>B</math>는 [[오일러 베타적분(베타함수)]]이고, <math>\Gamma</math>는 [[감마함수]]
  
 
;증명
 
;증명
 
렘니스케이트 곡선은 <math>x=r(\theta)\cos\theta,y=r(\theta)\sin\theta</math>로 매개화되며, 다음을 확인할 수 있다
 
렘니스케이트 곡선은 <math>x=r(\theta)\cos\theta,y=r(\theta)\sin\theta</math>로 매개화되며, 다음을 확인할 수 있다
$$
+
:<math>
 
r'(\theta)=-\frac{\sin 2\theta}{r(\theta)}
 
r'(\theta)=-\frac{\sin 2\theta}{r(\theta)}
$$
+
</math>
 
매개화를 이용하여, 둘레의 길이를 계산하면 다음을 얻는다
 
매개화를 이용하여, 둘레의 길이를 계산하면 다음을 얻는다
 
:<math>L=4\int_{0}^{\pi/4}\sqrt{r'(\theta)^2+r(\theta)^2}\,d\theta=4\int_{0}^{\pi/4}\sqrt{\frac{\sin^2 2\theta}{r^2(\theta)}+r^2(\theta)}\,d\theta=4\int_{0}^{\pi/4}\frac{1}{\sqrt{\cos 2\theta}}\,d\theta</math>
 
:<math>L=4\int_{0}^{\pi/4}\sqrt{r'(\theta)^2+r(\theta)^2}\,d\theta=4\int_{0}^{\pi/4}\sqrt{\frac{\sin^2 2\theta}{r^2(\theta)}+r^2(\theta)}\,d\theta=4\int_{0}^{\pi/4}\frac{1}{\sqrt{\cos 2\theta}}\,d\theta</math>
27번째 줄: 27번째 줄:
 
:<math>L=4\int_0^{\pi/2}\frac{1}{\sqrt{1+\cos^2 \phi}}\,d\phi=2\sqrt{2}\int_0^{\pi/2}\frac{1}{\sqrt{1-\frac{1}{2}\sin^2 \phi}}\,d\phi \label{eq1}</math>
 
:<math>L=4\int_0^{\pi/2}\frac{1}{\sqrt{1+\cos^2 \phi}}\,d\phi=2\sqrt{2}\int_0^{\pi/2}\frac{1}{\sqrt{1-\frac{1}{2}\sin^2 \phi}}\,d\phi \label{eq1}</math>
 
\ref{eq1}로부터 다음을 얻는다
 
\ref{eq1}로부터 다음을 얻는다
$$
+
:<math>
 
L=2\sqrt{2}K(1/\sqrt{2})
 
L=2\sqrt{2}K(1/\sqrt{2})
$$
+
</math>
 
\ref{eq1}에서 <math>x=\cos\phi</math>로 치환하면,
 
\ref{eq1}에서 <math>x=\cos\phi</math>로 치환하면,
 
:<math>L=4\int_0^{\pi/2}\frac{1}{\sqrt{1+\cos^2 \phi}}\,d\phi=4\int_0^1\frac{dx}{\sqrt{1-x^4}}=B(1/2,1/4)=\frac{\Gamma(\frac{1}{2})\Gamma(\frac{1}{4})}{\Gamma(\frac{3}{4})}=\frac{\Gamma(1/4)^2}{\sqrt{2\pi}}=5.2441</math>
 
:<math>L=4\int_0^{\pi/2}\frac{1}{\sqrt{1+\cos^2 \phi}}\,d\phi=4\int_0^1\frac{dx}{\sqrt{1-x^4}}=B(1/2,1/4)=\frac{\Gamma(\frac{1}{2})\Gamma(\frac{1}{4})}{\Gamma(\frac{3}{4})}=\frac{\Gamma(1/4)^2}{\sqrt{2\pi}}=5.2441</math>
36번째 줄: 36번째 줄:
  
 
==가우스의 렘니스케이트 상수==
 
==가우스의 렘니스케이트 상수==
* 가우스의 렘니스케이트 상수 $\omega$를 다음과 같이 정의
+
* 렘니스케이트 상수 <math>\omega</math>를 다음과 같이 정의
:<math>\omega:=L/2=2.62\cdots</math>
+
:<math>\omega:=2\int_0^1\frac{dx}{\sqrt{1-x^4}}=2.62\cdots</math>
* [[타원곡선 y²=x³-x]]의 주기([[periods]])이며 [[무리수와 초월수|초월수]]임.
+
* 수론적 성질에 대해서는 [[가우스의 렘니스케이트 상수]] 항목 참조
 
 
 
 
===원주율과의 비교===
 
* 가우스는 단위원의 둘레의 길이와 렘니스케이트의 둘레의 길이의 비율을 계산하였다
 
:<math>\frac{\pi}{2}=\int_0^1\frac{dx}{\sqrt{1-x^2}}=1.57\cdots</math>
 
:<math>\frac{\omega}{2}=\int_0^1\frac{dx}{\sqrt{1-x^4}}=1.31\cdots</math>
 
:<math>\frac{\pi }{\omega}=1.1981402347\cdots</math>
 
[[파일:렘니스케이트(lemniscate) 곡선의 길이와 타원적분2.png]]
 
* 가우스는 이 수가 $\sqrt{2}$과 1의 [[산술 기하 평균 (arithmetic-geometric mean)]]이 되는 것을 관찰
 
 
 
 
 
;정리
 
다음이 성립한다
 
:<math>\frac{\pi }{\omega}=M(1,\sqrt2)</math>
 
여기서 <math>M(a,b)</math> 은 두 수 $a, b$의 [[산술 기하 평균 (arithmetic-geometric mean)]]
 
 
 
;증명
 
 
 
렘니스케이트 상수의 타원적분 표현
 
$$\frac{\omega}{2}=\frac{1}{\sqrt{2}}K(\frac{1}{\sqrt2})\label{ome}$$
 
한편 [[란덴변환(Landen's transformation)]] 에서 다음을 얻었다
 
$$K(\frac{1}{\sqrt2})=\frac{\pi}{2M(1,\frac{1}{\sqrt2})}\label{landen}$$
 
\ref{ome}와 \ref{landen}를 이용하여 다음을 얻는다:
 
$$\frac{\pi}{\omega}=\frac{2K(\frac{1}{\sqrt2}){M(1,\frac{1}{\sqrt2})}}{\sqrt{2}K(\frac{1}{\sqrt2})} = \sqrt{2}M(1,\frac{1}{\sqrt2})=M(1,\sqrt2)$$
 
 
===테이블===
 
$$
 
\begin{array}{ccc}
 
{n} & a_n & b_n \\
 
\hline
 
0 & 1.4142135623730950488 & 1.0000000000000000000 \\
 
1 & 1.2071067811865475244 & 1.1892071150027210667 \\
 
2 & 1.1981569480946342956 & 1.1981235214931201226 \\
 
3 & 1.1981402347938772091 & 1.1981402346773072058 \\
 
4 & 1.1981402347355922074 & 1.1981402347355922074 \\
 
5 & 1.1981402347355922074 & 1.1981402347355922074 \\
 
6 & 1.1981402347355922074 & 1.1981402347355922074 \\
 
7 & 1.1981402347355922074 & 1.1981402347355922074 \\
 
8 & 1.1981402347355922074 & 1.1981402347355922074 \\
 
9 & 1.1981402347355922074 & 1.1981402347355922074 \\
 
\end{array}
 
$$
 
  
  
86번째 줄: 44번째 줄:
 
==재미있는 사실==
 
==재미있는 사실==
  
* 곡선의 모양이 무한대 기호와 같음
+
* 곡선의 모양이 무한대 기호와 같음
* 무한대는 그 한계가 없기에 리본을 뜻하는 'lemniscus'라는 말로 불릴 때도 있었으며, 그로인해 무한대 기호가 누운 8자 모양이 되었다는 설이 있음
+
* 무한대는 그 한계가 없기에 리본을 뜻하는 'lemniscus'라는 말로 불릴 때도 있었으며, 그 때문에 무한대 기호가 누운 8자 모양이 되었다는 설이 있음
 
+
[[파일:렘니스케이트 반지.png|300px]]
 
 
  
 
==역사==
 
==역사==
 
+
* http://www.gormagon.org/2005/04/17/the-lemniscate-infinity-symbol/
 
* 1684  베르누이 'Acta Eruditorum'
 
* 1684  베르누이 'Acta Eruditorum'
* 18세기 Fagnano, Euler, and Legendre 에 의한 연구
+
* 18세기 파그나노, 오일러, 르장드르의 타원적분 연구
* 1798~1799년의 시기에 가우스는 이 곡선의 길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기록을 일기에 남김. ([http://books.google.com/books?id=QwwcmweJCDQC&pg=PA99&lpg=PA99&dq=gauss+new+analysis+lemniscate&source=web&ots=zguJpj77J9&sig=fnWL0QJ09eHIqPElVjrSoXaQW5M#PPA99,M1 Pi-unleashed, 99p])
+
* 1798~1799년 가우스가 <math>\pi/\omega</math>가 1과 <math>\sqrt2</math>의 [[산술 기하 평균 (arithmetic-geometric mean)]]이 됨을 관찰
<blockquote style="margin: 0px; padding: 0px 0px 0px 38px; line-height: 2em; background-color: rgb(239, 239, 239); background-position: 14px 4px;">
 
We have gained some very elegant details about the lemniscate, which have exceeded all expectations, and indeed using methods which open up an entirely new field. That the AGM is equal to <math>\frac{\pi }{\omega}</math> between 1 and <math>\sqrt{2}</math> we have confirmed up to the 11th decimal digit; if this is proven, then a truly new field of analysis stands before us.
 
</blockquote>
 
 
* [[수학사 연표]]
 
* [[수학사 연표]]
 
 
 
  
 
==관련된 항목들==
 
==관련된 항목들==
126번째 줄: 76번째 줄:
  
 
* https://docs.google.com/leaf?id=0B8XXo8Tve1cxZjRmZjkwMjgtNGY0Mi00MzllLWExMGQtZjExZjIzZWMyNDRk&sort=name&layout=list&num=50
 
* https://docs.google.com/leaf?id=0B8XXo8Tve1cxZjRmZjkwMjgtNGY0Mi00MzllLWExMGQtZjExZjIzZWMyNDRk&sort=name&layout=list&num=50
* http://mathworld.wolfram.com/LemniscateConstant.html
 
* [http://www.research.att.com/%7Enjas/sequences/index.html The On-Line Encyclopedia of Integer Sequences]
 
** http://oeis.org/A064853
 
  
 
 
  
 
==사전 형태의 자료==
 
==사전 형태의 자료==
143번째 줄: 88번째 줄:
  
 
==관련도서==
 
==관련도서==
 
 
*  Mathematics by experiment: plausible reasoning in the 21st century
 
*  Mathematics by experiment: plausible reasoning in the 21st century
 
** M. Borwein and D. H. Bailey, , A K Peters, Natick, MA, 2003.
 
** M. Borwein and D. H. Bailey, , A K Peters, Natick, MA, 2003.
154번째 줄: 98번째 줄:
  
 
[[분류:곡선]]
 
[[분류:곡선]]
[[분류:원주율]]
 
[[분류:상수]]
 
 
[[분류:타원적분]]
 
[[분류:타원적분]]
 +
 +
==메타데이터==
 +
===위키데이터===
 +
* ID :  [https://www.wikidata.org/wiki/Q10545374 Q10545374]
 +
===Spacy 패턴 목록===
 +
* [{'LEMMA': 'lemniscate'}]

2021년 2월 17일 (수) 04:04 기준 최신판

개요

렘니스케이트(lemniscate) 곡선의 길이와 타원적분1.png

  • 극좌표계에서 방정식 \(r^2=\cos2\theta\) 로 주어진 곡선을 베르누이의 렘니스케이트 곡선이라 부름.
  • 카테시안 좌표계에서는 \((x^2 + y^2)^2=x^2 - y^2\)로 주어진다


렘니스케이트 곡선의 둘레의 길이와 타원적분

정리

렘니스케이트 곡선의 둘레의 길이 \(L\)은 타원적분으로 표현되며 다음이 성립한다 \[L=4\int_0^1\frac{dx}{\sqrt{1-x^4}}=2\sqrt{2}K(\frac{1}{\sqrt{2}})=5.2441\cdots\] 여기서 \(K\)는 제1종타원적분 K (complete elliptic integral of the first kind) \[K(k) = \int_0^{\frac{\pi}{2}} \frac{d\theta}{\sqrt{1-k^2 \sin^2\theta}}.\] 또한 다음이 성립한다 \[L=B(1/2,1/4)=\frac{\Gamma(\frac{1}{2})\Gamma(\frac{1}{4})}{\Gamma(\frac{3}{4})}=\frac{\Gamma(1/4)^2}{\sqrt{2\pi}}\] 여기서 \(B\)는 오일러 베타적분(베타함수)이고, \(\Gamma\)는 감마함수

증명

렘니스케이트 곡선은 \(x=r(\theta)\cos\theta,y=r(\theta)\sin\theta\)로 매개화되며, 다음을 확인할 수 있다 \[ r'(\theta)=-\frac{\sin 2\theta}{r(\theta)} \] 매개화를 이용하여, 둘레의 길이를 계산하면 다음을 얻는다 \[L=4\int_{0}^{\pi/4}\sqrt{r'(\theta)^2+r(\theta)^2}\,d\theta=4\int_{0}^{\pi/4}\sqrt{\frac{\sin^2 2\theta}{r^2(\theta)}+r^2(\theta)}\,d\theta=4\int_{0}^{\pi/4}\frac{1}{\sqrt{\cos 2\theta}}\,d\theta\] 이 때, \(\cos 2\theta=\cos^2{\phi}\) 를 이용하여 치환하면, \[d\theta=\frac{\sin\phi\cos\phi}{\sqrt{1-\cos^4\phi}}\,d\phi=\frac{\cos\phi}{\sqrt{1+\cos^2\phi}}\,d\phi,\] \[L=4\int_0^{\pi/2}\frac{1}{\sqrt{1+\cos^2 \phi}}\,d\phi=2\sqrt{2}\int_0^{\pi/2}\frac{1}{\sqrt{1-\frac{1}{2}\sin^2 \phi}}\,d\phi \label{eq1}\] \ref{eq1}로부터 다음을 얻는다 \[ L=2\sqrt{2}K(1/\sqrt{2}) \] \ref{eq1}에서 \(x=\cos\phi\)로 치환하면, \[L=4\int_0^{\pi/2}\frac{1}{\sqrt{1+\cos^2 \phi}}\,d\phi=4\int_0^1\frac{dx}{\sqrt{1-x^4}}=B(1/2,1/4)=\frac{\Gamma(\frac{1}{2})\Gamma(\frac{1}{4})}{\Gamma(\frac{3}{4})}=\frac{\Gamma(1/4)^2}{\sqrt{2\pi}}=5.2441\] ■


가우스의 렘니스케이트 상수

  • 렘니스케이트 상수 \(\omega\)를 다음과 같이 정의

\[\omega:=2\int_0^1\frac{dx}{\sqrt{1-x^4}}=2.62\cdots\]


재미있는 사실

  • 곡선의 모양이 무한대 기호와 같음
  • 무한대는 그 한계가 없기에 리본을 뜻하는 'lemniscus'라는 말로 불릴 때도 있었으며, 그 때문에 무한대 기호가 누운 8자 모양이 되었다는 설이 있음

렘니스케이트 반지.png

역사

관련된 항목들


수학용어번역


매스매티카 파일 및 계산 리소스


사전 형태의 자료


관련도서

  • Mathematics by experiment: plausible reasoning in the 21st century
    • M. Borwein and D. H. Bailey, , A K Peters, Natick, MA, 2003.


리뷰, 에세이, 강의노트

메타데이터

위키데이터

Spacy 패턴 목록

  • [{'LEMMA': 'lemnisc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