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자연수가 서로소일 확률과 리만제타함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피타고라스님이 이 페이지를 개설하였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문제는 바로 다음과 같다. | ||
+ | 두 자연수를 랜덤하게 뽑았을 때, 둘이 서로소일 확률은? | ||
+ | |||
+ | 두 자연수가 소수 p를 공약수로 가질 확률은 <math>\frac{1}{p^2}</math>가 된다. | ||
+ | |||
+ | 따라서 두 자연수가 서로소일 확률은, 모든 소수 p에 대하여 p를 공약수로 갖지 않을 확률을 곱한 것이 된다. 즉, | ||
+ | |||
+ | <br> | ||
+ | |||
+ | 그런데 이 녀석, 지난 글에 등장한 공식과 좀 닮아있지 않은가? | ||
+ | |||
+ | <br> | ||
+ | |||
+ | 이를 활용하면, | ||
+ | |||
+ | <br> | ||
+ | |||
+ | 그래서 답이 나왔다. | ||
+ | |||
+ | 두 자연수를 랜덤하게 뽑았을 때,둘이 서로소일 확률은 | ||
+ | |||
+ | <br> | ||
+ | |||
+ | 이 문제 어디에 도대체 원이 숨어있단 말인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r> | ||
+ | |||
+ | 두 자연수가 소수 p를 공약수로 가질 확률은 <math>\frac{1}{p^2}</math>가 된다. | ||
+ | |||
+ | 따라서 두 자연수가 서로소일 확률은, 모든 소수 p에 대하여 p를 공약수로 갖지 않을 확률을 곱한 것이 된다. 즉, | ||
+ | |||
+ | <blockquote style="margin-top: 10px; margin-right: 10px; margin-bottom: 10px; margin-left: 10px; padding-top: 0px; padding-right: 0px; padding-bottom: 0px; padding-left: 35px; border-top-width: 1px; border-right-width: 1px; border-bottom-width: 1px; border-left-width: 1px; border-top-style: solid; border-right-style: solid; border-bottom-style: solid; border-left-style: solid; border-top-color: rgb(244, 243, 236); border-right-color: rgb(244, 243, 236); border-bottom-color: rgb(244, 243, 236); border-left-color: rgb(244, 243, 236); background-color: rgb(250, 250, 231); background-position: 7px 10px;"> | ||
+ | <math>/prod_{p /text{:prime}}1-/frac{1}{p^2}=/prod_{p /text{:prime}}1-p^{-2}</math> | ||
+ | </blockquote> | ||
+ | |||
+ | 그런데 이 녀석, 지난 글에 등장한 공식과 좀 닮아있지 않은가? | ||
+ | |||
+ | <blockquote style="margin-top: 10px; margin-right: 10px; margin-bottom: 10px; margin-left: 10px; padding-top: 0px; padding-right: 0px; padding-bottom: 0px; padding-left: 35px; border-top-width: 1px; border-right-width: 1px; border-bottom-width: 1px; border-left-width: 1px; border-top-style: solid; border-right-style: solid; border-bottom-style: solid; border-left-style: solid; border-top-color: rgb(244, 243, 236); border-right-color: rgb(244, 243, 236); border-bottom-color: rgb(244, 243, 236); border-left-color: rgb(244, 243, 236); background-color: rgb(250, 250, 231); background-position: 7px 10px;"> | ||
+ | <math>/zeta(s) =/prod_{p /text{:prime}} /frac{1}{1-p^{-s}}</math> | ||
+ | </blockquote> | ||
+ | |||
+ | 이를 활용하면, | ||
+ | |||
+ | <blockquote style="margin-top: 10px; margin-right: 10px; margin-bottom: 10px; margin-left: 10px; padding-top: 0px; padding-right: 0px; padding-bottom: 0px; padding-left: 35px; border-top-width: 1px; border-right-width: 1px; border-bottom-width: 1px; border-left-width: 1px; border-top-style: solid; border-right-style: solid; border-bottom-style: solid; border-left-style: solid; border-top-color: rgb(244, 243, 236); border-right-color: rgb(244, 243, 236); border-bottom-color: rgb(244, 243, 236); border-left-color: rgb(244, 243, 236); background-color: rgb(250, 250, 231); background-position: 7px 10px;"> | ||
+ | <math>/prod_{p /text{:prime}}1-/frac{1}{p^2}=/frac{1}{/zeta(2)}</math> | ||
+ | </blockquote> | ||
+ | |||
+ | 그래서 답이 나왔다. | ||
+ | |||
+ | <blockquote style="margin-top: 10px; margin-right: 10px; margin-bottom: 10px; margin-left: 10px; padding-top: 0px; padding-right: 0px; padding-bottom: 0px; padding-left: 35px; border-top-width: 1px; border-right-width: 1px; border-bottom-width: 1px; border-left-width: 1px; border-top-style: solid; border-right-style: solid; border-bottom-style: solid; border-left-style: solid; border-top-color: rgb(244, 243, 236); border-right-color: rgb(244, 243, 236); border-bottom-color: rgb(244, 243, 236); border-left-color: rgb(244, 243, 236); background-color: rgb(250, 250, 231); background-position: 7px 10px;"> | ||
+ | 두 자연수를 랜덤하게 뽑았을 때,둘이 서로소일 확률은 | ||
+ | |||
+ | <math>/frac{6}{/pi^2}/approx 0.6079271/cdots</math> | ||
+ | </blockquote> | ||
+ | |||
+ | 이 문제 어디에 도대체 원이 숨어있단 말인가? |
2009년 7월 9일 (목) 02:06 판
문제는 바로 다음과 같다.
두 자연수를 랜덤하게 뽑았을 때, 둘이 서로소일 확률은?
두 자연수가 소수 p를 공약수로 가질 확률은 \(\frac{1}{p^2}\)가 된다.
따라서 두 자연수가 서로소일 확률은, 모든 소수 p에 대하여 p를 공약수로 갖지 않을 확률을 곱한 것이 된다. 즉,
그런데 이 녀석, 지난 글에 등장한 공식과 좀 닮아있지 않은가?
이를 활용하면,
그래서 답이 나왔다.
두 자연수를 랜덤하게 뽑았을 때,둘이 서로소일 확률은
이 문제 어디에 도대체 원이 숨어있단 말인가?
두 자연수가 소수 p를 공약수로 가질 확률은 \(\frac{1}{p^2}\)가 된다.
따라서 두 자연수가 서로소일 확률은, 모든 소수 p에 대하여 p를 공약수로 갖지 않을 확률을 곱한 것이 된다. 즉,
\(/prod_{p /text{:prime}}1-/frac{1}{p^2}=/prod_{p /text{:prime}}1-p^{-2}\)
그런데 이 녀석, 지난 글에 등장한 공식과 좀 닮아있지 않은가?
\(/zeta(s) =/prod_{p /text{:prime}} /frac{1}{1-p^{-s}}\)
이를 활용하면,
\(/prod_{p /text{:prime}}1-/frac{1}{p^2}=/frac{1}{/zeta(2)}\)
그래서 답이 나왔다.
두 자연수를 랜덤하게 뽑았을 때,둘이 서로소일 확률은
\(/frac{6}{/pi^2}/approx 0.6079271/cdots\)
이 문제 어디에 도대체 원이 숨어있단 말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