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렘니스케이트 곡선의 등분 (Lemniscatomy)"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78번째 줄: 78번째 줄:
 
<h5>매스매티카 파일 및 계산 리소스</h5>
 
<h5>매스매티카 파일 및 계산 리소스</h5>
  
*  
+
* https://docs.google.com/file/d/0B8XXo8Tve1cxc1JxdlNPUjBleEE/edit
 
* http://www.wolframalpha.com/input/?i=
 
* http://www.wolframalpha.com/input/?i=
 
* http://functions.wolfram.com/
 
* http://functions.wolfram.com/

2012년 7월 17일 (화) 19:53 판

이 항목의 수학노트 원문주소

 

 

개요
  • 렘니스케이트 타원함수 \(x=\phi(t)\)는 타원적분 \(t=\int_{0}^{x}\frac{dx}{\sqrt{1-x^4}}\) 의 역함수로 정의된다
  • \(m\in\mathbb{Z}[i]\) 에 대하여, \(y=\phi(mt)\) 로 두면, \(mt=\int_{0}^{y}\frac{dy}{\sqrt{1-y^4}}\) 을 만족한다
  • \(x=\phi(t)\)와 \(y=\phi(mt)\)는
    \(\frac{dy}{\sqrt{1-x^4}}=m\frac{dx}{\sqrt{1-x^4}}\) 의 관계를 만족한다
  • 렘니스케이트 타원함수의 덧셈공식
    \(\phi(t+t')=\frac{\phi(t)\sqrt{1-\phi(t')^4}+\phi(t')\sqrt{1-\phi(t)^4}}{1+\phi(t)^2\phi(t')^2}\)

 

 

Lemniscatomy
  • 삼각함수의 삼각함수의 배각공식 에 비유하면 적당하다
  • 렘니스케이트의 삼등분
    \(\phi(3\alpha)=-\phi\frac{\phi^8+6\phi^4-3}{1+6\phi^4-3\phi^8}\)
  • 위의 식으로부터 \(\phi^8+6\phi^4-3=0\) 의 해를 구하면, 렘니스케이트의 삼등분을 할 수 있음을 안다

 

 

역사

 

 

메모

 

 

관련된 항목들

 

 

수학용어번역

 

 

매스매티카 파일 및 계산 리소스

 

 

사전 형태의 자료

 

 

리뷰논문, 에세이, 강의노트

 

 

 

관련논문

 

 

관련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