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렌츠 변환과 로렌츠 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이 항목의 수학노트 원문주소</h5>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이 항목의 수학노트 원문주소</h5>
 +
 +
* [[로렌츠 변환과 로렌츠 군]]
  
 
 
 
 
 +
 +
<h5>개요</h5>
 +
 +
로렌츠 변환은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 이론에서 등장하는 선형변환이다. 
 +
 +
<math>\ \gamma =  \frac{1}{ \sqrt{1 - { \frac{v^2}{c^2}}}}</math>
 +
 +
<math>\beta = v/c</math>
  
 
 
 
 
  
<h5>개요</h5>
+
*  x-축에 대한 boost<br><math>\begin{bmatrix}c t' \\ x' \\ y' \\ z'\end{bmatrix}=\begin{bmatrix}\gamma&-\beta \gamma&0&0\\-\beta \gamma&\gamma&0&0\\0&0&1&0\\0&0&0&1\\\end{bmatrix}\begin{bmatrix}c\,t \\ x \\ y \\ z\end{bmatrix}</math><br>
 +
*  임의의 축에 대한 로렌츠 변환 <math>\vec{\beta} = ( \beta_x , \beta_y , \beta_z )</math><br><br>
 +
 
 +
임의의 로렌츠 변환은 로렌츠 군의 원소이다.
 +
 
 +
*  Derivation based on group axioms[http://en.wikipedia.org/wiki/Lorentz_transformation#From_group_postulates
 +
http://en.wikipedia.org/wiki/Lorentz_transformation#From_group_postulates]<br>
 +
*  Derivation based on physical principles[http://en.wikipedia.org/wiki/Lorentz_transformation#From_physical_principles
 +
http://en.wikipedia.org/wiki/Lorentz_transformation#From_physical_principles]<br>
  
 
 
 
 
11번째 줄: 29번째 줄:
 
 
 
 
  
*  x-축에 대한 boost<br><math>\begin{bmatrix}c t' \\ x' \\ y' \\ z'\end{bmatrix}=\begin{bmatrix}\gamma&-\beta \gamma&0&0\\-\beta \gamma&\gamma&0&0\\0&0&1&0\\0&0&0&1\\\end{bmatrix}\begin{bmatrix}c\,t \\ x \\ y \\ z\end{bmatrix}</math><br>
+
 
  
 
 
 
 
 +
 +
<h5>푸앵카레 변환</h5>
 +
 +
로렌츠 변환은 원점을 옮기지 아니하는 선형변환이다. 로렌츠 변환과 더불어 원점을 옮기는 아핀변환은 푸앵카레 변환이라 불린다. 임의의 푸앵카레 변환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아인슈타인 총합규약이 적용되었다.)
 +
 +
<math>x^{\mu} = \Lambda_{\mu \nu} x^{\nu} + \alpha</math>
 +
 +
*  푸앵카레 대칭성과 디락 방정식의 관계<br> 슈뢰딩거 방정식에 로렌츠 변환에 대한 공변성(클라인-고든 방정식을 준다)과 통계적 해석에 대한 무모순성을 요구하여 얻는 디락의 방법은 수학적 엄밀성에 문제가 있으나 푸앵카레 대칭성을 이용하면 디락 방정식을 수학적으로 모순없이 유도할 수 있다.<br>
  
 
<h5>역사</h5>
 
<h5>역사</h5>
63번째 줄: 89번째 줄:
 
* http://ko.wikipedia.org/wiki/
 
* http://ko.wikipedia.org/wiki/
 
* http://en.wikipedia.org/wiki/History_of_Lorentz_transformations
 
* http://en.wikipedia.org/wiki/History_of_Lorentz_transformations
 +
* http://en.wikipedia.org/wiki/Lorentz_transformation
 
* [http://eom.springer.de/default.htm The Online Encyclopaedia of Mathematics]
 
* [http://eom.springer.de/default.htm The Online Encyclopaedia of Mathematics]
 
* [http://dlmf.nist.gov/ NIST Digital Library of Mathematical Functions]
 
* [http://dlmf.nist.gov/ NIST Digital Library of Mathematical Functions]

2012년 2월 28일 (화) 08:00 판

이 항목의 수학노트 원문주소

 

개요

로렌츠 변환은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 이론에서 등장하는 선형변환이다. 

\(\ \gamma = \frac{1}{ \sqrt{1 - { \frac{v^2}{c^2}}}}\)

\(\beta = v/c\)

 

  • x-축에 대한 boost
    \(\begin{bmatrix}c t' \\ x' \\ y' \\ z'\end{bmatrix}=\begin{bmatrix}\gamma&-\beta \gamma&0&0\\-\beta \gamma&\gamma&0&0\\0&0&1&0\\0&0&0&1\\\end{bmatrix}\begin{bmatrix}c\,t \\ x \\ y \\ z\end{bmatrix}\)
  • 임의의 축에 대한 로렌츠 변환 \(\vec{\beta} = ( \beta_x , \beta_y , \beta_z )\)

임의의 로렌츠 변환은 로렌츠 군의 원소이다.

http://en.wikipedia.org/wiki/Lorentz_transformation#From_group_postulates]

http://en.wikipedia.org/wiki/Lorentz_transformation#From_physical_principles]

 

 

 

 

푸앵카레 변환

로렌츠 변환은 원점을 옮기지 아니하는 선형변환이다. 로렌츠 변환과 더불어 원점을 옮기는 아핀변환은 푸앵카레 변환이라 불린다. 임의의 푸앵카레 변환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아인슈타인 총합규약이 적용되었다.)

\(x^{\mu} = \Lambda_{\mu \nu} x^{\nu} + \alpha\)

  • 푸앵카레 대칭성과 디락 방정식의 관계
    슈뢰딩거 방정식에 로렌츠 변환에 대한 공변성(클라인-고든 방정식을 준다)과 통계적 해석에 대한 무모순성을 요구하여 얻는 디락의 방법은 수학적 엄밀성에 문제가 있으나 푸앵카레 대칭성을 이용하면 디락 방정식을 수학적으로 모순없이 유도할 수 있다.
역사

 

 

메모

 

 

 

관련된 항목들

 

 

수학용어번역

 

 

 

사전 형태의 자료

 

 

리뷰논문, 에세이, 강의노트

 

 

 

관련논문

 

 

관련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