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이십면체 뫼비우스 변환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피타고라스님이 이 페이지의 위치를 <a href="/pages/1945938">뫼비우스 변환군과 기하학</a>페이지로 이동하였습니다.)
9번째 줄: 9번째 줄:
 
<h5>개요</h5>
 
<h5>개요</h5>
  
* <math>G_{60}=\langle S,T|S^5=T^2=(TS)^3\rangle\subset \operatorname{PSL}(2,\mathbb{C})</math>
+
* <math>G_{60}=\langle S,T|S^5=T^2=(TS)^3=1\rangle\subset \operatorname{PSL}(2,\mathbb{C})</math>
  
 
 
 
 
  
 
 
 
 
 +
 +
<h5>ㅇㄹ</h5>
  
 
<math>S=\left( \begin{array}{cc}  \zeta ^3 & 0 \\  0 & \zeta ^2 \end{array} \right)</math> order 5
 
<math>S=\left( \begin{array}{cc}  \zeta ^3 & 0 \\  0 & \zeta ^2 \end{array} \right)</math> order 5
20번째 줄: 22번째 줄:
  
 
<math>W=TS</math> : order 3
 
<math>W=TS</math> : order 3
 +
 +
 
 +
 +
 
 +
 +
<h5>complex reflection group</h5>
 +
 +
* No. 16
 +
* <math>G_{600}</math>
  
 
 
 
 
47번째 줄: 58번째 줄:
  
 
<h5>관련된 항목들</h5>
 
<h5>관련된 항목들</h5>
 +
 +
* [[정이십면체와 모듈라 연분수]]
  
 
 
 
 

2012년 7월 24일 (화) 17:03 판

이 항목의 수학노트 원문주소

 

 

개요
  • \(G_{60}=\langle S,T|S^5=T^2=(TS)^3=1\rangle\subset \operatorname{PSL}(2,\mathbb{C})\)

 

 

ㅇㄹ

\(S=\left( \begin{array}{cc} \zeta ^3 & 0 \\ 0 & \zeta ^2 \end{array} \right)\) order 5

\(\sqrt{5}T=\left( \begin{array}{cc} \zeta -\zeta ^4 & \zeta ^3-\zeta ^2 \\ \zeta ^3-\zeta ^2 & \zeta ^4-\zeta \end{array} \right)\) order 2

\(W=TS\) : order 3

 

 

complex reflection group
  • No. 16
  • \(G_{600}\)

 

 

역사

 

 

 

메모

 

 

 

관련된 항목들

 

 

수학용어번역

 

 

매스매티카 파일 및 계산 리소스

 

 

사전 형태의 자료

 

 

리뷰논문, 에세이, 강의노트

 

 

 

관련논문

 

 

관련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