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렘니스케이트 곡선의 등분 (Lemniscatomy)"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3번째 줄: 23번째 줄:
 
*  렘니스케이트 사인함수의 덧셈공식(파그나노의 공식)
 
*  렘니스케이트 사인함수의 덧셈공식(파그나노의 공식)
 
:<math>\phi(t+t')=\frac{\phi(t)\sqrt{1-\phi(t')^4}+\phi(t')\sqrt{1-\phi(t)^4}}{1+\phi(t)^2\phi(t')^2}</math><br>
 
:<math>\phi(t+t')=\frac{\phi(t)\sqrt{1-\phi(t')^4}+\phi(t')\sqrt{1-\phi(t)^4}}{1+\phi(t)^2\phi(t')^2}</math><br>
* <math>\phi(z)</math> 는 다음 [[자코비 타원함수]] 와 같다:<math>\text{sn}(z|-1)=z-\frac{z^5}{10}+\frac{z^9}{120}-\frac{11 z^{13}}{15600}+\frac{211 z^{17}}{3536000}+O\left(z^{21}\right)</math><br>
+
* <math>\phi(z)</math> 는 다음 [[자코비 타원함수]] 와 같다:<math>\text{sn}(z|-1)=z-\frac{z^5}{10}+\frac{z^9}{120}-\frac{11 z^{13}}{15600}+\frac{211 z^{17}}{3536000}+O\left(z^{21}\right)</math>
  
 
   
 
   
 +
;정리
 +
홀수인 가우스 정수 $m=a+bi\in \mathbb{Z}[i]$를 생각하자. 적당한 $A_i\in \mathbb{Z}[i]$가 존재하여 다음을 만족한다
 +
$$
 +
\phi(m\alpha)=i^{\epsilon}\phi\frac{\phi^{p-1}+A_1\phi^{p-5}+\cdots+A_{(p-1)/4}}{1+A_1\phi^{4}+\cdots+A_{(p-1)/4}\phi^{p-1}} \label{aa}
 +
$$
 +
여기서 $\epsilon\in \{0,1,2,3\}$은 $m-i^{\epsilon}\in (2)$를 만족, $\phi=\phi(\alpha)$이고, $p=a^2+b^2$.
 +
 +
;정리 (아이젠슈타인)
 +
홀수인 가우스 정수 $m=a+bi\in \mathbb{Z}[i]$이 소수일 때, \ref{aa}의 $A_1,\cdots, A_{(p-1)/4}$는 $m$으로 나누어진다.
  
 
  
==Lemniscatomy==
+
==렘니스케이트 곡선의 등분==
  
 
* 삼각함수의 [[삼각함수의 배각공식 표|삼각함수의 배각공식]] 에 비유하면 적당하다
 
* 삼각함수의 [[삼각함수의 배각공식 표|삼각함수의 배각공식]] 에 비유하면 적당하다
36번째 줄: 44번째 줄:
 
   
 
   
  
+
===3등분점===
 
 
==3등분점==
 
  
 
*  타원함수의 변환
 
*  타원함수의 변환
47번째 줄: 53번째 줄:
 
*  세 점의 좌표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math>\left(0,0\right)</math>:<math>\left(\sqrt{\frac{1}{2} \left(1+\sqrt{-3+2 \sqrt{3}}\right)},\sqrt{\frac{1}{2} \left(1-\sqrt{-3+2 \sqrt{3}}\right)}\right)</math>:<math>\left(\sqrt{\frac{1}{2} \left(1+\sqrt{-3+2 \sqrt{3}}\right)},-\sqrt{\frac{1}{2} \left(1-\sqrt{-3+2 \sqrt{3}}\right)}\right)</math><br>
 
*  세 점의 좌표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math>\left(0,0\right)</math>:<math>\left(\sqrt{\frac{1}{2} \left(1+\sqrt{-3+2 \sqrt{3}}\right)},\sqrt{\frac{1}{2} \left(1-\sqrt{-3+2 \sqrt{3}}\right)}\right)</math>:<math>\left(\sqrt{\frac{1}{2} \left(1+\sqrt{-3+2 \sqrt{3}}\right)},-\sqrt{\frac{1}{2} \left(1-\sqrt{-3+2 \sqrt{3}}\right)}\right)</math><br>
  
==5등분점==
+
===5등분점===
 
* 타원함수의 변환
 
* 타원함수의 변환
 
$$
 
$$
84번째 줄: 90번째 줄:
 
* [[렘니스케이트(lemniscate) 곡선의 길이와 타원적분]]
 
* [[렘니스케이트(lemniscate) 곡선의 길이와 타원적분]]
 
* [[자코비 타원함수]]
 
* [[자코비 타원함수]]
 +
* [[가우스 정수]]
 
* [[complex multiplication]]
 
* [[complex multiplication]]
  

2015년 11월 24일 (화) 06:21 판

개요

렘니스케이트 사인과 코사인

  • 렘니스케이트 사인\[x=\int_{0}^{s}\frac{dx}{\sqrt{1-x^4}}\]
  • 렘니스케이트 코사인\[x=\int_{c}^{1}\frac{dx}{\sqrt{1-x^4}}\]
  • 관계식\[s (x)^2+c (x)^2+c (x)^2 s (x)^2=1\]
  • 덧셈공식\[s(x+y)=\frac{s(x) c(y)+c(x) s(y)}{1-s(x) c(x) s(y) c(y)}\]



렘니스케이트 타원함수

  • 렘니스케이트 사인함수 \(x=\phi(t)\)는 타원적분 \(t=\int_{0}^{x}\frac{dx}{\sqrt{1-x^4}}\) 의 역함수로 정의된다
  • \(m\in\mathbb{Z}[i]\) 에 대하여, \(y=\phi(mt)\) 로 두면, \(mt=\int_{0}^{y}\frac{dy}{\sqrt{1-y^4}}\) 을 만족한다
  • \(x=\phi(t)\)와 \(y=\phi(mt)\)는\[\frac{dy}{\sqrt{1-y^4}}=m\frac{dx}{\sqrt{1-x^4}}\] 의 관계를 만족한다
  • 렘니스케이트 사인함수의 덧셈공식(파그나노의 공식)

\[\phi(t+t')=\frac{\phi(t)\sqrt{1-\phi(t')^4}+\phi(t')\sqrt{1-\phi(t)^4}}{1+\phi(t)^2\phi(t')^2}\]

  • \(\phi(z)\) 는 다음 자코비 타원함수 와 같다\[\text{sn}(z|-1)=z-\frac{z^5}{10}+\frac{z^9}{120}-\frac{11 z^{13}}{15600}+\frac{211 z^{17}}{3536000}+O\left(z^{21}\right)\]


정리

홀수인 가우스 정수 $m=a+bi\in \mathbb{Z}[i]$를 생각하자. 적당한 $A_i\in \mathbb{Z}[i]$가 존재하여 다음을 만족한다 $$ \phi(m\alpha)=i^{\epsilon}\phi\frac{\phi^{p-1}+A_1\phi^{p-5}+\cdots+A_{(p-1)/4}}{1+A_1\phi^{4}+\cdots+A_{(p-1)/4}\phi^{p-1}} \label{aa} $$ 여기서 $\epsilon\in \{0,1,2,3\}$은 $m-i^{\epsilon}\in (2)$를 만족, $\phi=\phi(\alpha)$이고, $p=a^2+b^2$.

정리 (아이젠슈타인)

홀수인 가우스 정수 $m=a+bi\in \mathbb{Z}[i]$이 소수일 때, \ref{aa}의 $A_1,\cdots, A_{(p-1)/4}$는 $m$으로 나누어진다.


렘니스케이트 곡선의 등분

  • 삼각함수의 삼각함수의 배각공식 에 비유하면 적당하다
  • 렘니스케이트 타원함수의 덧셈공식으로부터 유도할 수 있다


3등분점

  • 타원함수의 변환

\[\phi(3\alpha)=-\phi\frac{\phi^8+6\phi^4-3}{1+6\phi^4-3\phi^8},\, \phi:=\phi(\alpha)\]

  • 위의 식으로부터 \(\phi^8+6\phi^4-3=0\) 의 해를 구하면, 렘니스케이트의 삼등분점을 구할 수 있다

렘니스케이트 곡선과 Lemniscatomy1.gif

  • 세 점의 좌표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left(0,0\right)\]\[\left(\sqrt{\frac{1}{2} \left(1+\sqrt{-3+2 \sqrt{3}}\right)},\sqrt{\frac{1}{2} \left(1-\sqrt{-3+2 \sqrt{3}}\right)}\right)\]\[\left(\sqrt{\frac{1}{2} \left(1+\sqrt{-3+2 \sqrt{3}}\right)},-\sqrt{\frac{1}{2} \left(1-\sqrt{-3+2 \sqrt{3}}\right)}\right)\]

5등분점

  • 타원함수의 변환

$$ \phi(5\alpha)=\frac{\phi \left(5-62 \phi ^4-105 \phi ^8+300 \phi ^{12}-125 \phi ^{16}+50 \phi ^{20}+\phi ^{24}\right)}{1+50 \phi ^4-125 \phi ^8+300 \phi ^{12}-105 \phi ^{16}-62 \phi ^{20}+5 \phi ^{24}},\, \phi:=\phi(\alpha) $$ 렘니스케이트 곡선과 Lemniscatomy2.gif

\[\left(\frac{\left(-13+6 \sqrt{5}-2 \sqrt{85-38 \sqrt{5}}\right)^{1/4} \sqrt{1+\sqrt{-13+6 \sqrt{5}-2 \sqrt{85-38 \sqrt{5}}}}}{\sqrt{2}},\frac{\left(-13+6 \sqrt{5}-2 \sqrt{85-38 \sqrt{5}}\right)^{1/4} \sqrt{1-\sqrt{-13+6 \sqrt{5}-2 \sqrt{85-38 \sqrt{5}}}}}{\sqrt{2}}\right)\]

 

 

역사



메모


관련된 항목들



수학용어번역

  • lemniscatomy
  • cyclotomy

 

 

매스매티카 파일 및 계산 리소스


 

리뷰논문, 에세이, 강의노트

 

 

 

관련논문

  • N.H. Abel (1827–28), Recherches sur les fonctions elliptiques, Journal f.d. reine & angew. Math. 2, 101–181, 3, 160–190 [ = OEuvres compl`etes (Sylow, Lie, ed.s), vol. I, pp. 263–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