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 정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1번째 줄: 11번째 줄:
 
* <math>x</math> 이하의 소수의 갯수 <math>\pi(x)</math> 에 대해, <math>x</math> 가 크면 <math>\pi(x)\sim\frac{x}{\log x}</math> 이다. 즉, <math>\lim_{x \rightarrow \infty} \frac{\pi(x)\log(x)}{x} = 1</math> 이 성립한다.
 
* <math>x</math> 이하의 소수의 갯수 <math>\pi(x)</math> 에 대해, <math>x</math> 가 크면 <math>\pi(x)\sim\frac{x}{\log x}</math> 이다. 즉, <math>\lim_{x \rightarrow \infty} \frac{\pi(x)\log(x)}{x} = 1</math> 이 성립한다.
  
 
+
* 가우스가 소수 표를 보다가 처음 발견
 
+
* 복소함수론을 사용한 해석적 증명이 얻어짐
* 가우스가 소수 표를 보다가 처음 발견하였고, 복소함수론을 사용한 해석적 증명이 발견되었으며, 그 후에 에르디시와 셀베르그에 의해 복소함수론을 사용하지 않는 초등적 증명(elementary proof)가 발견되었다.
+
* 후에 에르디시와 셀베르그에 의해 복소함수론을 사용하지 않는 초등적 증명(elementary proof)
  
 
 
 
 
48번째 줄: 48번째 줄:
  
 
* [http://www.math.uiuc.edu/%7Er-ash/CV/CV7.pdf http://www.math.uiuc.edu/~r-ash/CV/CV7.pdf]
 
* [http://www.math.uiuc.edu/%7Er-ash/CV/CV7.pdf http://www.math.uiuc.edu/~r-ash/CV/CV7.pdf]
 +
* <math>\pi(n)\sim \int_2^{n} \frac{1}{\log x}\,dx</math>
  
 
 
 
 
93번째 줄: 94번째 줄:
 
<h5>관련논문</h5>
 
<h5>관련논문</h5>
  
* [http://www.math.columbia.edu/%7Egoldfeld/ErdosSelbergDispute.pdf THE ELEMENTARY PROOF OF THE PRIME NUMBER THEOREM: AN HISTORICAL PERSPECTIVE]<br>
+
* D. Goldfeld, [http://www.math.columbia.edu/%7Egoldfeld/ErdosSelbergDispute.pdf THE ELEMENTARY PROOF OF THE PRIME NUMBER THEOREM: AN HISTORICAL PERSPECTIVE]
** D. Goldfeld
 
 
* [http://www.jstor.org/stable/1969455 An Elementary Proof of the Prime-Number Theorem]<br>
 
* [http://www.jstor.org/stable/1969455 An Elementary Proof of the Prime-Number Theorem]<br>
 
** Atle Selberg, The Annals of Mathematics, Second Series, Vol. 50, No. 2 (Apr., 1949), pp. 305-313
 
** Atle Selberg, The Annals of Mathematics, Second Series, Vol. 50, No. 2 (Apr., 1949), pp. 305-313
131번째 줄: 131번째 줄:
  
 
* 구글 블로그 검색 [http://blogsearch.google.com/blogsearch?q=%EC%86%8C%EC%88%98%EC%A0%95%EB%A6%AC http://blogsearch.google.com/blogsearch?q=소수정리]
 
* 구글 블로그 검색 [http://blogsearch.google.com/blogsearch?q=%EC%86%8C%EC%88%98%EC%A0%95%EB%A6%AC http://blogsearch.google.com/blogsearch?q=소수정리]
*  
 
 
* [http://navercast.naver.com/science/list 네이버 오늘의과학]
 
* [http://navercast.naver.com/science/list 네이버 오늘의과학]
 
* [http://math.dongascience.com/ 수학동아]
 
* [http://math.dongascience.com/ 수학동아]
 
* [http://www.ams.org/mathmoments/ Mathematical Moments from the AMS]
 
* [http://www.ams.org/mathmoments/ Mathematical Moments from the AMS]

2012년 8월 9일 (목) 08:55 판

이 항목의 스프링노트 원문주소

 

 

개요
  • \(x\) 이하의 소수의 갯수 \(\pi(x)\) 에 대해, \(x\) 가 크면 \(\pi(x)\sim\frac{x}{\log x}\) 이다. 즉, \(\lim_{x \rightarrow \infty} \frac{\pi(x)\log(x)}{x} = 1\) 이 성립한다.
  • 가우스가 소수 표를 보다가 처음 발견
  • 복소함수론을 사용한 해석적 증명이 얻어짐
  • 후에 에르디시와 셀베르그에 의해 복소함수론을 사용하지 않는 초등적 증명(elementary proof)

 

 

 

동치명제
  • 다음은 소수정리와 동치이다
    \(\varphi(x)=\sum_{p\leq x}\log p \sim x\)
    (증명)
    \(\varphi(x)=\sum_{p\leq x}\log p \leq \sum_{p\leq x}\log x=\pi(x)\log x\)
    임의의 \(\epsilon>0\)에 대하여, 
    \(\varphi(x)\geq \sum_{x^{1-\epsilon}\leq p\leq x}\log p \geq \sum_{x^{1-\epsilon}\leq p\leq x}(1-\epsilon)\log x = (1-\epsilon)\log x\{\pi(x)+O(x^{1-\epsilon}\}\)
    따라서 \(\varphi(x)=\sum_{p\leq x}\log p \sim x\) 임을 가정하면, \(\pi(x)\sim\frac{x}{\log x}\) 를 얻는다. ■

 

 

로그적분

 

 

역사

 

 

메모

 

 

 

관련된 항목들

 

 

수학용어번역

 

 

사전 형태의 자료

 

 

관련논문

 

 

관련도서

 

 

관련기사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