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일러 치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피타고라스님이 이 페이지의 이름을 오일러 치환로 바꾸었습니다.)
9번째 줄: 9번째 줄: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개요</h5>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개요</h5>
  
* <math>R(x,\sqrt{ax^2+bx+c})</math>형태의 적분을 '''유리함수의 적분'''으로 바꾸는 변수치환법 <math>x=x(t)</math><br>
+
* <math>R(x,\sqrt{ax^2+bx+c})</math>형태의 적분을 '''유리함수의 적분'''으로 바꾸는 변수치환 <math>x=x(t)</math><br>
*  이차곡선<math>y^2=ax^2+bx+c</math>를 유리함수 <math>f,g</math>를 사용하여 <math>x=f(t), y=g(t)</math>로 매개화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br>
+
유리함수의 적분은 인수분해를 통하여 가능하므로, 이러한 형태의 적분 문제를 완전히 이해하는 셈이 된다<br>
 +
* [[이차곡선(원뿔곡선)|이차곡선]]<math>y^2=ax^2+bx+c</math>를 유리함수 <math>f,g</math>를 사용하여 <math>x=f(t), y=g(t)</math>로 매개화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br>
 
* [[삼각치환]]이 잘 작동하는 이유를 설명해준다<br>
 
* [[삼각치환]]이 잘 작동하는 이유를 설명해준다<br>
* [[타원적분]]론을 공부하기 전에 이해하면 유익하다<br>
+
* [[타원적분]]론을 공부하기 전에 이해하면 도움이 된다<br>
  
 
 
 
 
51번째 줄: 52번째 줄:
 
*  유리함수 R에 대한 <math>R(x,\sqrt{x^3+ax^2+bx+c})</math> 의 부정적분<br><math>\int R(x,\sqrt{x^3+ax^2+bx+c})\,dx</math><br> 단, <math>x^3+ax^2+bx+c</math>는 서로 다른 해를 가짐<br>
 
*  유리함수 R에 대한 <math>R(x,\sqrt{x^3+ax^2+bx+c})</math> 의 부정적분<br><math>\int R(x,\sqrt{x^3+ax^2+bx+c})\,dx</math><br> 단, <math>x^3+ax^2+bx+c</math>는 서로 다른 해를 가짐<br>
 
*  곡선 <math>y^2=x^3+ax^2+bx+c</math>는 위에서처럼 적당한 유리함수 <math>x=f(t), y=g(t)</math> 로 매개화할 수 없기 때문에, 이야기가 달라지게 된다<br>
 
*  곡선 <math>y^2=x^3+ax^2+bx+c</math>는 위에서처럼 적당한 유리함수 <math>x=f(t), y=g(t)</math> 로 매개화할 수 없기 때문에, 이야기가 달라지게 된다<br>
 +
* [[#]]<br>
  
 
 
 
 
93번째 줄: 95번째 줄:
 
* [[25 미적분학|미적분학]]
 
* [[25 미적분학|미적분학]]
 
* [[삼각치환]]
 
* [[삼각치환]]
 +
* [[피타고라스 쌍(Pythagorean triple)|피타고라스 쌍]]
 
* [[오일러(1707-1783)]]
 
* [[오일러(1707-1783)]]
 
* [[타원적분]]
 
* [[타원적분]]

2010년 5월 30일 (일) 03:50 판

이 항목의 스프링노트 원문주소

 

 

개요
  • \(R(x,\sqrt{ax^2+bx+c})\)형태의 적분을 유리함수의 적분으로 바꾸는 변수치환 \(x=x(t)\)
  • 유리함수의 적분은 인수분해를 통하여 가능하므로, 이러한 형태의 적분 문제를 완전히 이해하는 셈이 된다
  • 이차곡선\(y^2=ax^2+bx+c\)를 유리함수 \(f,g\)를 사용하여 \(x=f(t), y=g(t)\)로 매개화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 삼각치환이 잘 작동하는 이유를 설명해준다
  • 타원적분론을 공부하기 전에 이해하면 도움이 된다

 

 

제1오일러치환
  • \(a>0\) 일때, \(\sqrt{ax^2+bx+c}=t-\sqrt{a}x\) 로 치환

  • \(\int\sqrt{x^2-4}\,dx\)
    \(\sqrt{x^2-4}=t-x\)
    \(x=\frac{4+t^2}{2t}\)
    \(\int \frac{2t^4-16t^2+32}{8t^3}\,dt\)

 


 

제2오일러치환
  • \(c>0\) 일때, \(\sqrt{ax^2+bx+c}=xt+\sqrt{c}\) 로 치환

  • \(\int \frac{\sqrt{1-x^2}}{x}\,dx\)
    \(\sqrt{1-x^2}=xt+1\)
    \(x=\frac{2t}{t^2+1}\)
    \(\int \frac{1+2 t^2-3 t^4}{t \left(1+t^2\right)^2}\,dt\)

 

 

제3오일러치환
  • \(ax^2+bx+c=0\)가 두 실근u,v를 가질때, \(\sqrt{ax^2+bx+c}=t(x-u)\)로 치환

  • \(\int\sqrt{x^2-4}\,dx\)
    \(\sqrt{x^2-4}=t(x-2)\)
    \(x=\frac{2t^2+2}{t^2-1}\)
    \(\int \frac{2t^4-16t^2+32}{8t^3}\,dt\)

 

 

타원적분
  • 유리함수 R에 대한 \(R(x,\sqrt{x^3+ax^2+bx+c})\) 의 부정적분
    \(\int R(x,\sqrt{x^3+ax^2+bx+c})\,dx\)
    단, \(x^3+ax^2+bx+c\)는 서로 다른 해를 가짐
  • 곡선 \(y^2=x^3+ax^2+bx+c\)는 위에서처럼 적당한 유리함수 \(x=f(t), y=g(t)\) 로 매개화할 수 없기 때문에, 이야기가 달라지게 된다
  • #

 

 

재미있는 사실

 

 

 

역사

 

 

 

메모

 

 

관련된 항목들

 

 

수학용어번역

 

 

사전 형태의 자료

 

 

관련논문

 

 

관련도서

 

 

관련기사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