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치와 스위너톤-다이어 추측"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6번째 줄: 6번째 줄: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개요</h5>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개요</h5>
 +
 +
* 타원곡선의 rank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
* Birch and Swinnerton-Dyer 추측은 타원곡선의 rank에 대한 밀레니엄 추측의 하나이다
  
 
 
 
 
26번째 줄: 29번째 줄:
  
 
 
 
 
 +
 +
 
 +
 +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2em;">추측</h5>
 +
 +
* <math>E(\mathbb{Q})=\mathbb{Z}^r \oplus E(\mathbb{Q})_{\operatorname{Tor}}</math>의 rank r은 <math>\operatorname{Ord}_{s=1}L(s,E)</math>와 같다<br>
  
 
 
 
 
82번째 줄: 91번째 줄:
  
 
* http://ko.wikipedia.org/wiki/
 
* http://ko.wikipedia.org/wiki/
 +
* http://en.wikipedia.org/wiki/Birch_and_Swinnerton-Dyer_conjecture
 
* http://en.wikipedia.org/wiki/
 
* http://en.wikipedia.org/wiki/
 
* http://www.wolframalpha.com/input/?i=
 
* http://www.wolframalpha.com/input/?i=

2010년 3월 1일 (월) 08:52 판

이 항목의 스프링노트 원문주소

 

 

개요
  • 타원곡선의 rank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 Birch and Swinnerton-Dyer 추측은 타원곡선의 rank에 대한 밀레니엄 추측의 하나이다

 

 

유리수해
  • \(E(\mathbb{Q})=\mathbb{Z}^r \oplus E(\mathbb{Q})_{\operatorname{Tor}}\)

 

 

타원곡선의 L-함수
  • Hasse-Weil 제타함수라고도 함
  • 타원 곡선 E의 conductor가 N일 때, 다음과 같이 정의됨
    \(L(s,E)=\prod_pL_p(s,E)^{-1}\)
    여기서 
    \(L_p(s,E)=\left\{\begin{array}{ll} (1-a_pp^{-s}+p^{1-2s}), & \mbox{if }p\nmid N \\ (1-a_pp^{-s}), & \mbox{if }p||N \\ 1, & \mbox{if }p^2|N \end{array}\right\)
  • 여기서 \(a_p\)는 유한체위에서의 해의 개수와 관련된 정수

 

 

추측
  • \(E(\mathbb{Q})=\mathbb{Z}^r \oplus E(\mathbb{Q})_{\operatorname{Tor}}\)의 rank r은 \(\operatorname{Ord}_{s=1}L(s,E)\)와 같다

 

 

재미있는 사실

 

 

 

역사

 

 

 

메모

 

 

관련된 항목들

 

 

수학용어번역

 

 

사전 형태의 자료

 

 

관련논문

 

 

관련도서

 

 

관련기사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