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겔-베유 공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ythagoras0 (토론 | 기여) |
Pythagoras0 (토론 | 기여) |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 지겔-베유 공식은 지겔의 결과(1951, 1952)에 대한 베유의 확장(1964, 1965) | * 지겔-베유 공식은 지겔의 결과(1951, 1952)에 대한 베유의 확장(1964, 1965) | ||
* 같은 genus에 속하는 격자의 세타함수에 대한 가중치평균을 아이젠슈타인 급수로 표현함 | * 같은 genus에 속하는 격자의 세타함수에 대한 가중치평균을 아이젠슈타인 급수로 표현함 | ||
| − | * rank가 | + | * rank가 <math>n</math>인 격자 <math>L</math>과 정수 <math>g\leq n</math>를 고정 |
| − | * [[격자의 지겔 세타 급수]]는 지겔 상반 공간 | + | * [[격자의 지겔 세타 급수]]는 지겔 상반 공간 <math>\mathbb{H}_g=\{Z\in M_g(\C)\mid Z=Z^t,\ {\rm Im}(Z)>0\}</math> 정의된 함수로 |
| − | + | :<math>\Theta^{(g)}_L(Z)=\sum_{v_1,\,\ldots,\,v_g\in L}e^{2\pi i\,{\rm tr} | |
| − | ((v_1,\ldots,v_g)(v_1,\ldots,v_g)^tZ) }. | + | ((v_1,\ldots,v_g)(v_1,\ldots,v_g)^tZ) }.</math> |
| − | * | + | * <math>{\rm Sp}(g,\Z)</math>의 합동부분군 <math>\Gamma</math>에 대해 weight이 <math>n/2</math>인 [[지겔 모듈라 형식]] |
| − | * 랭크가 | + | * 랭크가 <math>g\leq n</math>인 격자들을 <math>L</math>에 매장하는 방법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
;정리 | ;정리 | ||
| − | + | :<math>\left( \sum_{M\in {\rm gen}(L)}\frac{\Theta_M^{(g)}(Z)}{|{\rm Aut}(M)|}\right)\,\cdot\, | |
\left(\sum_{M\in {\rm gen}(L)}\frac{1}{|{\rm Aut}(M)|}\right)^{-1}= | \left(\sum_{M\in {\rm gen}(L)}\frac{1}{|{\rm Aut}(M)|}\right)^{-1}= | ||
| − | E^{(g)}(Z), | + | E^{(g)}(Z),</math> |
| − | 여기서 | + | 여기서 <math>E^{(g)}(Z)</math>는 <math>\Gamma</math>에 대한 아이젠슈타인 급수이며 <math>L</math>의 genus에만 의존 |
* 타마가와는 질량 공식이 직교군의 타마가와 수가 2라는 것과 동치임을 보임 | * 타마가와는 질량 공식이 직교군의 타마가와 수가 2라는 것과 동치임을 보임 | ||
==예== | ==예== | ||
===8차원=== | ===8차원=== | ||
| − | * | + | * <math>g=1</math>의 경우 |
| − | * | + | * <math>E_8</math>격자의 세타함수는 [[아이젠슈타인 급수(Eisenstein series)]] <math>E_4</math>와 같다 |
| − | + | :<math>\theta_{E_8}(\tau)=E_4(\tau)=1+240 q+2160 q^2+6720 q^3+17520 q^4+30240 q^5+\cdots</math> | |
===16차원=== | ===16차원=== | ||
| − | * | + | * <math>g=1</math>의 경우 |
| − | * | + | * <math>E_8\oplus E_8</math>격자와 <math>D_{16}^{+}</math>격자의 세타함수는 [[아이젠슈타인 급수(Eisenstein series)]] <math>E_4^2=E_8</math>와 같으며 따라서 가중치평균도 이와 같다 |
| − | + | :<math> | |
\theta_{E_8\oplus E_8}(\tau)=\theta_{D_{16}^{+}}(\tau)=E_8(\tau)\\ | \theta_{E_8\oplus E_8}(\tau)=\theta_{D_{16}^{+}}(\tau)=E_8(\tau)\\ | ||
E_8(\tau)=1+480 q+61920 q^2+1050240 q^3+7926240 q^4+\cdots | E_8(\tau)=1+480 q+61920 q^2+1050240 q^3+7926240 q^4+\cdots | ||
| − | + | </math> | |
===24차원=== | ===24차원=== | ||
* [[24차원 짝수 자기쌍대 격자]] 24개의 세타함수의 가중치평균 | * [[24차원 짝수 자기쌍대 격자]] 24개의 세타함수의 가중치평균 | ||
| − | * | + | * <math>g=1</math>의 경우 |
| − | + | :<math>\left( \sum_{M\in {\rm gen}(L)}\frac{\Theta_M(\tau)}{|{\rm Aut}(M)|}\right)\,\cdot\, | |
| − | \left(\sum_{M\in {\rm gen}(L)}\frac{1}{|{\rm Aut}(M)|}\right)^{-1}=E_{12}(\tau) | + | \left(\sum_{M\in {\rm gen}(L)}\frac{1}{|{\rm Aut}(M)|}\right)^{-1}=E_{12}(\tau)</math> |
| − | * 여기서 | + | * 여기서 <math>E_{12}</math>는 [[아이젠슈타인 급수(Eisenstein series)]] |
| − | + | :<math> | |
E_{12}(\tau)=1+\frac{65520 q}{691}+\frac{134250480 q^2}{691}+\frac{11606736960 q^3}{691}+\frac{274945048560 q^4}{691}+\frac{3199218815520 q^5}{691}+\cdots | E_{12}(\tau)=1+\frac{65520 q}{691}+\frac{134250480 q^2}{691}+\frac{11606736960 q^3}{691}+\frac{274945048560 q^4}{691}+\frac{3199218815520 q^5}{691}+\cdots | ||
| − | + | </math> | |
| 49번째 줄: | 49번째 줄: | ||
==메모== | ==메모== | ||
| − | * Fomenko, O. M. “The Siegel Formula for Genus | + | * Fomenko, O. M. “The Siegel Formula for Genus <math>2</math>.” Zapiski Nauchnykh Seminarov Leningradskogo Otdeleniya Matematicheskogo Instituta Imeni V. A. Steklova Akademii Nauk SSSR (LOMI) 76 (1978): 210–15, 218–19. |
* [https://www.google.com.au/search?q=site:http:%2F%2Fwww.math.umn.edu%2F~garrett%2F+siegel&ei=_m07VdyHI8XvmAWpioDICw Paul Garret의 홈페이지에 대한 구글 검색 결과] | * [https://www.google.com.au/search?q=site:http:%2F%2Fwww.math.umn.edu%2F~garrett%2F+siegel&ei=_m07VdyHI8XvmAWpioDICw Paul Garret의 홈페이지에 대한 구글 검색 결과] | ||
2020년 11월 13일 (금) 07:50 기준 최신판
개요
- 지겔-베유 공식은 지겔의 결과(1951, 1952)에 대한 베유의 확장(1964, 1965)
- 같은 genus에 속하는 격자의 세타함수에 대한 가중치평균을 아이젠슈타인 급수로 표현함
- rank가 \(n\)인 격자 \(L\)과 정수 \(g\leq n\)를 고정
- 격자의 지겔 세타 급수는 지겔 상반 공간 \(\mathbb{H}_g=\{Z\in M_g(\C)\mid Z=Z^t,\ {\rm Im}(Z)>0\}\) 정의된 함수로
\[\Theta^{(g)}_L(Z)=\sum_{v_1,\,\ldots,\,v_g\in L}e^{2\pi i\,{\rm tr} ((v_1,\ldots,v_g)(v_1,\ldots,v_g)^tZ) }.\]
- \({\rm Sp}(g,\Z)\)의 합동부분군 \(\Gamma\)에 대해 weight이 \(n/2\)인 지겔 모듈라 형식
- 랭크가 \(g\leq n\)인 격자들을 \(L\)에 매장하는 방법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 정리
\[\left( \sum_{M\in {\rm gen}(L)}\frac{\Theta_M^{(g)}(Z)}{|{\rm Aut}(M)|}\right)\,\cdot\, \left(\sum_{M\in {\rm gen}(L)}\frac{1}{|{\rm Aut}(M)|}\right)^{-1}= E^{(g)}(Z),\] 여기서 \(E^{(g)}(Z)\)는 \(\Gamma\)에 대한 아이젠슈타인 급수이며 \(L\)의 genus에만 의존
- 타마가와는 질량 공식이 직교군의 타마가와 수가 2라는 것과 동치임을 보임
예
8차원
- \(g=1\)의 경우
- \(E_8\)격자의 세타함수는 아이젠슈타인 급수(Eisenstein series) \(E_4\)와 같다
\[\theta_{E_8}(\tau)=E_4(\tau)=1+240 q+2160 q^2+6720 q^3+17520 q^4+30240 q^5+\cdots\]
16차원
- \(g=1\)의 경우
- \(E_8\oplus E_8\)격자와 \(D_{16}^{+}\)격자의 세타함수는 아이젠슈타인 급수(Eisenstein series) \(E_4^2=E_8\)와 같으며 따라서 가중치평균도 이와 같다
\[ \theta_{E_8\oplus E_8}(\tau)=\theta_{D_{16}^{+}}(\tau)=E_8(\tau)\\ E_8(\tau)=1+480 q+61920 q^2+1050240 q^3+7926240 q^4+\cdots \]
24차원
- 24차원 짝수 자기쌍대 격자 24개의 세타함수의 가중치평균
- \(g=1\)의 경우
\[\left( \sum_{M\in {\rm gen}(L)}\frac{\Theta_M(\tau)}{|{\rm Aut}(M)|}\right)\,\cdot\, \left(\sum_{M\in {\rm gen}(L)}\frac{1}{|{\rm Aut}(M)|}\right)^{-1}=E_{12}(\tau)\]
- 여기서 \(E_{12}\)는 아이젠슈타인 급수(Eisenstein series)
\[ E_{12}(\tau)=1+\frac{65520 q}{691}+\frac{134250480 q^2}{691}+\frac{11606736960 q^3}{691}+\frac{274945048560 q^4}{691}+\frac{3199218815520 q^5}{691}+\cdots \]
질문과 답변
- http://mathoverflow.net/questions/163357/eisenstein-part-of-the-theta-function
- http://mathoverflow.net/questions/60355/relation-between-theta-series-and-eisensteinseries
- http://mathoverflow.net/questions/111519/why-might-andr%C3%A9-weil-have-named-carl-ludwig-siegel-the-greatest-mathematician-of
메모
- Fomenko, O. M. “The Siegel Formula for Genus \(2\).” Zapiski Nauchnykh Seminarov Leningradskogo Otdeleniya Matematicheskogo Instituta Imeni V. A. Steklova Akademii Nauk SSSR (LOMI) 76 (1978): 210–15, 218–19.
- Paul Garret의 홈페이지에 대한 구글 검색 결과
리뷰, 에세이, 강의노트
- Integral quadratic forms and volume formulas, UBC graduate seminar, winter 2011
- Jonathan Hanke, Quadratic Forms and Automorphic Forms
- Haruzo Hida, Siegel-Weil Formulas, 2007
- Haris, S. J. 1980. “Number Theoretical Developments Arising from the Siegel Formula.”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 (3): 417–33. doi:10.1090/S0273-0979-1980-14754-0.
- Paul Garret, Proof of a simple case of the Siegel-Weil formula
- Paul Garret, Siegel's integral
관련논문
- Weil, André. “Sur la formule de Siegel dans la théorie des groupes classiques.” Acta Mathematica 113, no. 1 (July 1, 1965): 1–87. doi:10.1007/BF02391774.
- Weil, André. “Sur certains groupes d’opérateurs unitaires.” Acta Mathematica 111, no. 1 (July 1, 1964): 143–211. doi:10.1007/BF02391012.
- Siegel, Carl Ludwig. “Uber Die Analytische Theorie Der Quadratischen Formen.” The Annals of Mathematics 36, no. 3 (July 1935): 527. doi:10.2307/19686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