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거리 과정과 가까운 거리 과정에 대한 이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사용자 이름 삭제됨)
(사용자 이름 삭제됨)
3번째 줄: 3번째 줄:
 
영거리 과정(zero-range process)에서 임계 밀도가 유한할 때 이보다 더 적은 입자 밀도에서는 '유체' 상태입니다. 즉 입자들이 주어진 뜀 비율에 따라 시스템 안에서 이리저리 잘 굴러다닙니다. 그런데 임계 밀도보다 더 큰 밀도, 즉 더 많은 입자를 넣어주면 이 나머지 입자들도 여전히 이리저리 잘 굴러다닐지, 아니면 한 자리에 모여서 '응집'되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자리에서는 임계 밀도만큼의 입자가 굴러다닐지 모릅니다. 뜀 비율은 입자 개수와 상관없이 정의되는 양이므로, 여전히 입자들은 이리저리 다닙니다. 하지만 이 나머지 입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있을 확률이 여러 자리에 분산되어 있을 확률보다 더 높습니다. 그래서 응집이 나타납니다.
 
영거리 과정(zero-range process)에서 임계 밀도가 유한할 때 이보다 더 적은 입자 밀도에서는 '유체' 상태입니다. 즉 입자들이 주어진 뜀 비율에 따라 시스템 안에서 이리저리 잘 굴러다닙니다. 그런데 임계 밀도보다 더 큰 밀도, 즉 더 많은 입자를 넣어주면 이 나머지 입자들도 여전히 이리저리 잘 굴러다닐지, 아니면 한 자리에 모여서 '응집'되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자리에서는 임계 밀도만큼의 입자가 굴러다닐지 모릅니다. 뜀 비율은 입자 개수와 상관없이 정의되는 양이므로, 여전히 입자들은 이리저리 다닙니다. 하지만 이 나머지 입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있을 확률이 여러 자리에 분산되어 있을 확률보다 더 높습니다. 그래서 응집이 나타납니다.
  
각 경우의 비중(weight)을 간단히 구해볼텐데요, N개의 자리에 M개의 입자가 있는 경우를 생각합시다. (입자 밀도는 ρ=M/N) 나머지 입자가 '한' 자리에만 모일 가능성은, N-1개의 자리에는 각 자리 당 임계 밀도(ρ<sub>c</sub>)만큼의 입자들이 있고, 1개의 자리에 나머지 입자(즉 (ρ-ρ<sub>c</sub>)N개)가 있는 경우겠죠. 임계 밀도만큼 입자가 굴러다니는 N-1개의 자리를 배경(background)이라 부르고 N에 비례하는 입자를 모두 가진 1개의 자리를 응집(condensate)이라 부릅니다. 배경의 비중은 분배함수로 구할 수
+
각 경우의 비중(weight)을 간단히 구해볼텐데요, N개의 자리에 M개의 입자가 있는 경우를 생각합시다. (입자 밀도는 ρ=M/N) 나머지 입자가 '한' 자리에만 모일 가능성은, N-1개의 자리에는 각 자리 당 임계 밀도(ρ<sub>c</sub>)만큼의 입자들이 있고, 1개의 자리에 나머지 입자(즉 (ρ-ρ<sub>c</sub>)N개)가 있는 경우겠죠. 임계 밀도만큼 입자가 굴러다니는 N-1개의 자리를 배경(background)이라 부르고 N에 비례하는 입자를 모두 가진 1개의 자리를 응집(condensate)이라 부릅니다. 배경의 비중은 분배함수로 구할 수 있고, 응집의 비중은 이전에 [http://kyauou.tistory.com/851 '영거리 과정 - 응집 전이'라는 글]에서 소개한 f(n)을 이용하겠습니다. 1개 자리에 나머지 입자가 모두 모여 있는 경우의 비중은 다음과 같습니다.
  
 
+
<math>P_1\approx N\lambda_{\rm max}^{N-1}f(N)\sim N^{1-b},\ f(n)\sim\frac{A}{\beta^nn^b}</math>
  
'영거리 과정 - 응집 전이'라는 글에서 소개한
+
우변 맨 앞의 N은 응집된 자리를 N개 중 하나 고르는 경우의 수입니다. N의 차수만 생각해주면 1-b가 나옵니다. 다음으로 만일 응집이 한 자리가 아니라 두 자리에 나뉘어져 나타난다면 어떨지 보겠습니다.
 
 
<math>P_1\approx Nc^{N-1}f(N)\sim Nc^{N-1}e^{-N\ln\beta-b\ln N},\ f(n)\sim\frac{A}{\beta^nn^b}</math>
 
 
 
<math>P_{2,adj}&\approx &Nc^{N-2}f^2(N/2)\sim Nc^{N-2}e^{-N\ln\beta-2b\ln N/2}\\ P_{2,sep}&\approx &N^2c^{N-2}f^2(N/2)\sim N^2c^{N-2}e^{-N\ln\beta-2b\ln N/2}</math>
 

2009년 11월 27일 (금) 17:14 판

교수님들의 질문과 의견을 듣고 제 안에서 정리되지 않았던, 빠져 있던 부분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영거리 과정(zero-range process)에서 임계 밀도가 유한할 때 이보다 더 적은 입자 밀도에서는 '유체' 상태입니다. 즉 입자들이 주어진 뜀 비율에 따라 시스템 안에서 이리저리 잘 굴러다닙니다. 그런데 임계 밀도보다 더 큰 밀도, 즉 더 많은 입자를 넣어주면 이 나머지 입자들도 여전히 이리저리 잘 굴러다닐지, 아니면 한 자리에 모여서 '응집'되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자리에서는 임계 밀도만큼의 입자가 굴러다닐지 모릅니다. 뜀 비율은 입자 개수와 상관없이 정의되는 양이므로, 여전히 입자들은 이리저리 다닙니다. 하지만 이 나머지 입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있을 확률이 여러 자리에 분산되어 있을 확률보다 더 높습니다. 그래서 응집이 나타납니다.

각 경우의 비중(weight)을 간단히 구해볼텐데요, N개의 자리에 M개의 입자가 있는 경우를 생각합시다. (입자 밀도는 ρ=M/N) 나머지 입자가 '한' 자리에만 모일 가능성은, N-1개의 자리에는 각 자리 당 임계 밀도(ρc)만큼의 입자들이 있고, 1개의 자리에 나머지 입자(즉 (ρ-ρc)N개)가 있는 경우겠죠. 임계 밀도만큼 입자가 굴러다니는 N-1개의 자리를 배경(background)이라 부르고 N에 비례하는 입자를 모두 가진 1개의 자리를 응집(condensate)이라 부릅니다. 배경의 비중은 분배함수로 구할 수 있고, 응집의 비중은 이전에 '영거리 과정 - 응집 전이'라는 글에서 소개한 f(n)을 이용하겠습니다. 1개 자리에 나머지 입자가 모두 모여 있는 경우의 비중은 다음과 같습니다.

\(P_1\approx N\lambda_{\rm max}^{N-1}f(N)\sim N^{1-b},\ f(n)\sim\frac{A}{\beta^nn^b}\)

우변 맨 앞의 N은 응집된 자리를 N개 중 하나 고르는 경우의 수입니다. N의 차수만 생각해주면 1-b가 나옵니다. 다음으로 만일 응집이 한 자리가 아니라 두 자리에 나뉘어져 나타난다면 어떨지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