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원적분론 입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h5 style="line-height: 3.428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 dotum, gulim, 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image: ; background-color: initial; background-position: 0px 100%;">개요</h5>
+
==개요==
  
* [[삼각치환]]과 [[오일러 치환|오일러치환]] 복습<br>
+
* 타원적분론은 19세기 수학의 중요한 주제이다.
*  타원적분 입문<br>
+
*  베르누이, 오일러, 르장드르, 가우스, 아벨, 야코비, 리만 등에 의하여 연구되었다.
 +
*  복소해석학, 리만곡면론의 발전을 이끌었으며, 현대 대수기하학의 궤도에 큰 영향을 주었다.
 +
*  타원적분의 역함수를 [[타원함수]]라 부르며, 이는 역삼각함수와 삼각함수의 관계와 비슷하다.
 +
*  지금에 와서는 타원적분보다는 타원함수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고 여겨진다.
 +
*  미적분학에서 다루는 [[삼각치환]][[오일러 치환|오일러치환]] 을 복습하고 그를 바탕으로 타원적분론에 입문해 보자.
  
 
+
  
 
+
  
<h5 style="line-height: 2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유리함수의 적분</h5>
+
==노트==
  
<math>R(x,y)</math>를 <math>x,y</math>의 유리함수라고 하자.
+
*  블로그에 작성된 다음 둘을 취합/정리함
 +
** [http://bomber0.byus.net/index.php/2009/02/04/982 미적분학은 사소하지 않다] (피타고라스의 창, 2009-2-4)
 +
** [http://bomber0.byus.net/index.php/2009/08/19/1428 삼각치환에서 타원적분으로] (피타고라스의 창, 2009-8-19)
  
유리함수는 부분분수로 분해하여 그 부정적분을 구할 수 있다.
+
 +
==미적분학의 치환적분==
 +
===유리함수의 적분===
 +
유리함수는 부분분수로 분해하여 그 부정적분을 초등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
  
 
+
  
 
+
===삼각함수의 적분===
  
<h5 style="line-height: 2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삼각함수의 적분</h5>
+
삼각함수의 적분은 유리함수의 적분으로 바꿀 수 있으므로, 그 부정적분을 초등함수로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삼각함수의 적분은 유리함수의 적분으로 바꿀 수 있다.
+
<math>R(x,y)</math>는 <math>x,y</math>의 유리함수라고 가정하자.  
  
 
+
  
 
+
<math>R(\cos x, \sin x)</math>의 적분
  
* <math>R(\cos x, \sin x)</math>의 적분<br> 다음과 같은 치환적분을 사용<br><math>t=\tan \frac{x}{2}</math>, <math>\frac{dx}{dt}=\frac{2}{1+t^2}</math><math>\sin x=\frac{2t}{1+t^2}</math>, <math>\cos x=\frac{1-t^2}{1+t^2}</math><br><math>\int R(\cos x, \sin x) \,dx= \int R(\frac{1-t^2}{1+t^2}, \frac{2t}{1+t^2})\frac{2}{1+t^2}\,dt</math><br><br>
+
* 다음과 같은 치환적분을 사용
 +
:<math>t=\tan \frac{x}{2},\frac{dx}{dt}=\frac{2}{1+t^2}</math>
 +
:<math>\sin x=\frac{2t}{1+t^2},\cos x=\frac{1-t^2}{1+t^2}</math>
 +
:<math>\int R(\cos x, \sin x) \,dx= \int R(\frac{1-t^2}{1+t^2}, \frac{2t}{1+t^2})\frac{2}{1+t^2}\,dt</math>
  
<math>R(\cosh x, \sinh x)</math>의 적분<br>
+
  
 
+
<math>R(\cosh x, \sinh x)</math>의 적분
  
*  다음과 같은 치환적분을 사용<br><math>t=\tanh \frac{x}{2}</math>, <math>\frac{dx}{dt}=\frac{2}{1-t^2}</math><math>\sinh x=\frac{2t}{1-t^2}</math>, <math>\cosh x=\frac{1+t^2}{1-t^2}</math><br><math>\int R(\cosh x, \sinh x) \,dx= \int R(\frac{1+t^2}{1-t^2}, \frac{2t}{1-t^2})\frac{2}{1-t^2}\,dt</math><br><br>
+
*  다음과 같은 치환적분을 사용
 +
:<math>t=\tanh \frac{x}{2},\frac{dx}{dt}=\frac{2}{1-t^2}</math>
 +
:<math>\sinh x=\frac{2t}{1-t^2},\cosh x=\frac{1+t^2}{1-t^2}</math>
 +
:<math>\int R(\cosh x, \sinh x) \,dx= \int R(\frac{1+t^2}{1-t^2}, \frac{2t}{1-t^2})\frac{2}{1-t^2}\,dt</math>
  
 
+
  
 
+
===이차식에 제곱근이 씌워진 적분===
  
<h5>이차식에 제곱근이 씌워진 적분</h5>
+
* [[삼각치환]] 에서 가져옴
  
* [[삼각치환]] 에서 가져옴
+
이제 초등함수로 표현할 수 있는 무리함수의 적분을 보도록 하자.
 +
* <math>R(x,\sqrt{1-x^2})</math>의 적분, <math>x=\cos u</math> 치환을 사용하면, <math>R'(\cos x, \sin x)</math> 의 적분으로 변화
 +
* <math>R(x,\sqrt{x^2-1})</math>의 적분, <math>x=\cosh u</math> 치환을 사용하면, <math>R'(\cosh x, \sinh x)</math>의 적분으로 변화
 +
* <math>R(x,\sqrt{x^2+1})</math>의 적분, <math>x=\sinh u</math> 치환을 사용하면, <math>R'(\cosh x, \sinh x)</math>의 적분으로 변화
 +
* <math>R(x,\sqrt{ax^2+bx+c})</math>의 적분
 +
:<math>ax^2+bx+c=\frac{1}{a}\left((ax+b)^2+{ac-b^2}\right)</math>
 +
* <math>ac-b^2</math>와 <math>a</math>의 부호에 따라, 적당히 치환하여 위의 경우로 끌고가면 끝.
  
 
 
  
* <math>R(x,\sqrt{1-x^2})</math>의 적분<br><math>x=\cos u</math> 치환을 사용하면, <math>R'(\cos x, \sin x)</math> 의 적분으로 변화<br>
+
===곡선과 유리함수를 이용한 매개화===
*   <br>
 
* <math>R(x,\sqrt{x^2-1})</math>의 적분<br><math>x=\cosh u</math> 치환을 사용하면, <math>R'(\cosh x, \sinh x)</math>의 적분으로 변화<br>
 
*   <br>
 
* <math>R(x,\sqrt{x^2+1})</math>의 적분<br><math>x=\sinh u</math> 치환을 사용하면, <math>R'(\cosh x, \sinh x)</math>의 적분으로 변화<br>
 
*   <br>
 
* <math>R(x,\sqrt{ax^2+bx+c})</math>의 적분<br><math>ax^2+bx+c=\frac{1}{a}\{(ax+b)^2+{ac-b^2}}\}</math> 으로 쓴 다음<br>
 
* <math>ac-b^2</math>와 <math>a</math>의 부호에 따라, 적당히 치환하여 위의 경우로 끌고가면 끝.<br>
 
  
 
+
이렇게 각각의 경우에 패턴에 따라서, 요렇게 풀고, 저렇게 풀고 하는 방법을 아는 것으로 끝난다면, 이것은 공돌이들의 미적분학 이해와 다를 수 없다.  중요한 것은 각각의 패턴을 관통하는 통일적인 원리의 이해인데, 이런 것이 바른 학습이라고 하겠다.
  
 
+
<math>\int R(x,\sqrt{ax^2+bx+c})\,dx</math> 형태의 적분이 주어져 있을때, 이러한 삼각치환들이 잘 되는 이유는 ’이차곡선은 유리함수로 매개화 가능’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각각의 경우에 패턴에 따라서, 요렇게 풀고, 저렇게 풀고 하는 방법을 아는 것으로 끝난다면, 이것은 공돌이들의 미적분학 이해와 다를 수 없다. <br> 중요한 것은 각각의 패턴을 관통하는 통일적인 원리의 이해인데, 이런 것이 바른 학습이라고 하겠다. <br>
+
  
 
+
즉, <math>y^2=ax^2+bx+c</math> 라는 곡선을, 유리함수 <math>f,g</math>를 사용하여 <math>x=f(t), y=g(t)</math> 형태로 매개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math>\int R(x,\sqrt{ax^2+bx+c})\,dx</math> 형태의 적분이 주어져 있을때, 이러한 삼각치환들이 잘 되는 이유는 ’이차곡선은 유리함수로 매개화 가능’ 하기 때문이다. <br>
+
가령 단위원의 경우를 보자.
  
 
+
단위원 <math>x^2+y^2=1</math>의 점들은 다음과 같이 유리함수를 통하여 매개화할 수 있다.
 +
:<math>x=\frac{1-t^2}{1+t^2}</math>, <math>y=\frac{2t}{1+t^2}</math>
 +
([[피타고라스 쌍(Pythagorean triple)|피타고라스 쌍]] 참조)
  
즉, <math>y^2=ax^2+bx+c</math> 라는 곡선을, 유리함수 <math>f,g</math>를 사용하여 <math>x=f(t), y=g(t)</math> 형태로 매개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br>
 
  
 
 
  
매개화가 왜 되는지는, 나중에 다시 쓰도록 하자. 
+
===오일러의 적분정리===
  
 
+
위의 모든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은 '오일러의 적분정리'를 얻는다.  ([[오일러 치환]] 항목 참조)
  
 
 
  
<h5>오일러의 적분정리</h5>
+
;정리 (오일러의 적분정리)
  
위의 모든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은 '오일러의 적분정리'를 얻는다. 
+
임의의 2변수 유리함수 <math>R(x,y)</math> 에 대하여, <math>\int R(x,\sqrt{ax^2+bx+c})\,dx</math> 는 언제나 초등함수로 표현이 가능하다.
  
 
+
  
(정리) 오일러의 적분정리
+
  
임의의 2변수 유리함수 <math>R(x,y)</math> 에 대하여, <math>\int R(x,\sqrt{ax^2+bx+c})\,dx</math> 는 언제나 초등함수로 표현이 가능하다.
+
==타원적분이란?==
  
 
+
그러면 이제 제곱근 기호 안에 들어가는 차수가 높아지는  <math>\int \frac{dx}{\sqrt{1-x^4}}</math> 와 같은 경우 ([[렘니스케이트(lemniscate) 곡선의 길이와 타원적분|렘니스케이트(lemniscate) 곡선과 타원적분]])는 어떨까?
  
 
+
<math>y^2=1-x^4</math> 를 유리함수로 매개화할 수 있다면, 부정적분을 구할 수 있지 않을까? 하지만 애석하게도 그러한 유리함수로의 매개화는 존재하지 않는다!!!
  
[[오일러 치환|오일러치환]] 항목 참조
+
이러한 적분이 바로 19세기의 수학계를 뜨겁게 달구었던 타원적분이다.
  
 
+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태로 주어지는 적분을 [[타원적분]]이라 부른다.
  
이 정리가 성립하는 이유는, 근본적으로 2차곡선이 일변수의 유리함수로 매개화가 가능하기 때문이고, 이것은 위상수학의 개념을 가지고 와서야 비로소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
  
 
+
<math>\int R(x,y)\,dx</math>, 여기서 <math>R(x,y)</math>는 <math>x,y</math>의 유리함수, <math>y^2</math>= 중근을 갖지 않는 <math>x</math>의 3차식 또는 4차식. 즉 다음과 같은 형태의 적분
  
 
+
  
<h5 style="line-height: 2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타원적분이란?</h5>
+
<math>\int R(x,\sqrt{ax^3+bx^2+cx+d}) \,dx</math> 또는
  
위의 정리가 적용되는 적분 <math>\int \frac{dx}{\sqrt{1-x^2}}</math> 와 초등함수로는 표현되지 않는 적분 <math>\int \frac{dx}{\sqrt{1-x^4}}</math> 사이의 넘을 수 없는 세계는, 이들 적분과 관련되어 있는 곡면의 구멍이 몇 개인가로 나누어진다.
+
<math>\int R(x,\sqrt{ax^4+bx^3+cx^2+dx+e}) \,dx</math>
  
무미건조한 미적분학 책을 통해서는 도저히 배울 수 없는, 부정적분과 위상수학의 보이지 않는 관계!
 
  
그러면 루트 안에 들어가는 차수가 높아지는  <math>\int \frac{dx}{\sqrt{1-x^4}}</math> 와 같은 경우([[렘니스케이트(lemniscate) 곡선의 길이와 타원적분|lemniscate 곡선의 길이와 타원적분]])는 어떨까?<br>
+
==타원적분 예1 ==
  
<math>y^2=1-x^4</math> 를 유리함수로 매개화할 수 있다면, 부정적분을 구할 수 있지 않을까?<br> 하지만 애석하게도 그러한 유리함수로의 매개화는 존재하지 않는다!!!<br>
+
역사적으로 [[타원 둘레의 길이]]를 구하는 적분에서 그 이름이 기원했다고 전해진다.
  
 
+
타원  <math>\frac{x^2}{a^2}+\frac{y^2}{b^2}=1</math>의 둘레의 길이는 <math>4aE(k)</math> 로 주어지기 때문이다. 여기서 <math>k,E(k)</math> 는 다음과 같다.
  
이러한 적분이 바로 19세기의 수학계를 뜨겁게 달구었던 타원적분이다. <br>
+
<math>k=\sqrt{1-\frac{b^2}{a^2}}</math>
  
 
+
<math>E(k)=\int_{0}^{\frac{\pi}{2}}\sqrt{1-k^2\sin^2 \theta} d\theta =\int_{0}^{1}\frac{\sqrt{1-k^2x^2}}{\sqrt{1-x^2}} dx=\int_{0}^{1}\frac{1-k^2x^2}{\sqrt{(1-x^2)(1-k^2x^2)}}\,dx</math>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태로 주어지는 적분을 [[타원적분]]이라 부른다. <br>
+
마지막 식에서 볼 수 있듯이, 타원둘레의 길이는
  
 
+
<math>R(x,y)=\frac{1-k^2x^2}{y}</math> 이고,  <math>y^2=(1-x^2)(1-k^2x^2)</math> 로 주어지는 타원적분이 된다.
  
<math>\int R(x,y)\,dx</math>
+
  
여기서 <math>R(x,y)</math>는 <math>x,y</math>의 유리함수이고, <math>y^2</math>는  <math>x</math>의 3차식 또는 4차식으로 주어짐.
+
==타원적분 예2==
  
 
+
타원적분을 만날 수 있는 또다른 예는 [[단진자의 주기와 타원적분|단진자의 주기]]를 구하는 과정에서다.
  
 
+
단진자의 운동을 기술하는 미분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역사적으로 [[타원 둘레의 길이]]를 구하는 적분에서 그 이름이 기원함.
+
<math>{d^2\theta\over dt^2}+{g\over \ell} \sin\theta=0 </math>
*  타원  <math>\frac{x^2}{a^2}+\frac{y^2}{b^2}=1</math>의 둘레의 길이는 <math>4aE(k)</math> 로 주어짐.<br><math>k=\sqrt{1-\frac{b^2}{a^2}}</math><br><math>E(k)=\int_{0}^{\frac{\pi}{2}}\sqrt{1-k^2\sin^2 \theta} d\theta =\int_{0}^{1}\frac{\sqrt{1-k^2x^2}}{\sqrt{1-x^2}} dx=\int_{0}^{1}\frac{1-k^2x^2}{\sqrt{(1-x^2)(1-k^2x^2)}}\,dx</math><br>
 
  
 
+
보통의 경우, 위의 비선형 미분방정식을 근사시켜 선형미분방정식을 얻은뒤, 단진자를 단진동으로 이해하여, 그 주기를 <math>2\pi\sqrt\frac{\ell}{g}</math> 로 표현한다.
  
타원적분이라는 말은 타원의 둘레의 길이를 구하는 문제로부터 기원했다고 전해진다.<br>
+
그러나 실제로 주어진 미분방정식에 대한 진폭이 <math>\theta_0</math>인 진자의 주기를 구하면, 다음을 얻는다.
  
 
+
<math>T = 4\sqrt{\ell\over  {g}}\int_{0}^{\frac{\pi}{2}} \frac{1}{\sqrt{1-k^2\sin\phi}}\,d\phi</math>. 여기서 <math>k=\frac{A}{\sqrt{2}}=\sqrt{\frac{1-\cos\theta_0}{2}}=\sin\frac{\theta_0}{2}</math>
  
타원  <math>\frac{x^2}{a^2}+\frac{y^2}{b^2}=1</math>의 둘레의 길이가 <math>4aT(k)</math> 로 주어지기 때문이다. 여기서 <math>k,T(k)</math> 는 다음과 같다. <br>
+
이러한 타원적분은 [[제1종타원적분 K (complete elliptic integral of the first kind)]] 으로 불리는데, 위의 예1 에서처럼 적당한 변수치환을 통하여, 타원적분의 정의를 만족시키도록 표현할 수 있다.  
  
 
+
<math>K(k) = \int_0^{\frac{\pi}{2}} \frac{d\theta}{\sqrt{1-k^2 \sin^2\theta}}=\int_0^1\frac{1}{\sqrt{(1-x^2)(1-k^2x^2)}}\,dx</math>
  
<math>k=\sqrt{1-\frac{b^2}{a^2}}</math><br>
 
  
<math>T(k)=\int_{0}^{\frac{\pi}{2}}\sqrt{1-k^2\sin^2 \theta} d\theta =\int_{0}^{1}\frac{\sqrt{1-k^2x^2}}{\sqrt{1-x^2}} dx=\int_{0}^{1}\frac{1-k^2x^2}{\sqrt{(1-x^2)(1-k^2x^2)}}\,dx</math><br>
+
==위상수학의 역할==
  
이렇게 하여 이 글을 착실하게 읽은 사람들은 모두 타원적분의 세계로 가는 문 앞에 서게 되었다. 이렇듯 삼각치환을 가르칠 때에도 아이들을 넓고 넓은 타원적분의 세계로 꼬셔올 있는 순간은 존재한다. 
+
오일러의 적분정리가 성립하는 이유는, 근본적으로 2차곡선이 일변수의 유리함수로 매개화가 가능하기 때문이고, 이것은 위상수학의 개념을 가지고 와서야 비로소 명료하게 이해될 있다.
  
 
+
초등함수로 표현할 수 있는 적분 <math>\int \frac{dx}{\sqrt{1-x^2}}</math> 와 초등함수로는 표현되지 않는 적분 <math>\int \frac{dx}{\sqrt{1-x^4}}</math> 사이의 넘을 수 없는 세계는, 이들 적분과 관련되어 있는 곡면의 구멍이 몇 개인가로 나누어진다.
  
이 공부에는 유비(analogy)적인 생각이 매우 유용하다. 
+
다시 말하면, [[리만곡면론]]의 관점에서 복소곡선 <math>y^2=1-x^2</math>는 위상적으로 구면과 같고, <math>y^2=1-x^4</math>는 위상적으로 토러스가 된다.  
  
무리함수적분 사인함수 원의 발견
+
무미건조한 미적분학 책을 통해서는 도저히 배울 없는, 부정적분과 위상수학의 보이지 않는 관계!
 
 
<math>\int_0^P{\frac{1}{\sqrt{1-z^2}}}dz</math>
 
 
 
이 함수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적어도 세 가지를 이해해야 한다.
 
 
 
첫번째
 
 
 
<math>\frac{1}{\sqrt{1-z^2}}</math> 는 어떤 공간에 정의된 함수인가? 이것은 2 sheeted 리만 곡면에 정의된 함수이다.
 
 
 
두번째
 
 
 
<math>\int_0^P{\frac{1}{\sqrt{1-z^2}}}dz</math> 는 그럼 또 어떤 공간에 정의된 함수인가?
 
 
 
P 역시 2 sheeted 리만 곡면에서 정의되어 있다. 다만 이 값은 경로에 의존할 것이다. 
 
 
 
한가지 달라지는 것은 P는 무한대 점이 될 없다는 것이다. 
 
 
 
세번째
 
 
 
이 함수의 공역은 무엇인가?
 
 
 
<math>\int_0^x{\frac{1}{\sqrt{1-x^2}}}dx+\int_0^y{\frac{1}{\sqrt{1-x^2}}}dx=\int_0^{x\sqrt{1-y^2}+y\sqrt{1-x^2}}{\frac{1}{\sqrt{1-x^2}}}dx</math>
 
 
 
<math>\arcsin x+\arcsin y=\arcsin(x\sqrt{1-y^2}+y\sqrt{1-x^2})</math>
 
 
 
<math>\sin\left(x+y\right)=\sin x\cos y +\cos x \sin y</math>
 
 
 
이렇게 정의역과 공역을 명확하게 하려는 노력에서 일차적으로 리만곡면이 발견되었고, 아벨-자코비의 이론이 싹트게 된다. 
 
 
 
타원적분 타원함수 토러스의 발견
 
 
 
복소함수와 브랜치컷
 
 
 
하나의 브랜치가 고정되었다고 하자.  
 
 
 
<math>w=f(z)</math>
 
 
 
<math>(z,w)</math> 는 리만곡면의 하나의 점을 나타내는 방식이다. 
 
 
 
 <math>\int R(x,\sqrt{ax^2+bx+c})\,dx</math> 형태의 적분이 주어져 있을때, 이러한 삼각치환들이 잘 되는 이유는 '이차곡선은 유리함수로 매개화 가능' 하기 때문이다. 
 
 
 
즉, <math>y^2=ax^2+bx+c</math> 라는 곡선을, 유리함수 <math>f,g</math>를 사용하여 <math>x=f(t), y=g(t)</math> 형태로 매개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매개화가 왜 되는지는, 나중에 다시 쓰도록 하자. 
 
 
 
그러면 루트 안에 들어가는 차수가 높아지는  <math>\int \frac{dx}{\sqrt{1-x^4}}</math> 와 같은 경우([[렘니스케이트(lemniscate) 곡선의 길이와 타원적분|lemniscate 곡선의 길이와 타원적분]])는 어떨까? 
 
 
 
<math>y^2=1-x^4</math> 를 유리함수로 매개화할 수 있다면, 부정적분을 구할 수 있지 않을까?
 
 
 
하지만 애석하게도 그러한 유리함수로의 매개화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적분이 바로 19세기의 수학계를 뜨겁게 달구었던 타원적분이다. 
 
 
 
<br>
 
 
 
<h5 style="line-height: 3.428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 dotum, gulim, 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image: ; background-color: initial; background-position: 0px 100%;">재미있는 사실</h5>
 
 
 
* Math Overflow http://mathoverflow.net/search?q=
 
* 네이버 지식인 http://kin.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kin_qna&query=
 
  
<h5 style="line-height: 3.428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 dotum, gulim, 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image: ; background-color: initial; background-position: 0px 100%;">역사</h5>
 
  
* http://www.google.com/search?hl=en&tbs=tl:1&q=
+
==타원적분에서 타원함수로 (나중에 정리)==
* [[수학사연표 (역사)|수학사연표]]
 
*  
 
  
<h5 style="line-height: 3.428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 dotum, gulim, 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image: ; background-color: initial; background-position: 0px 100%;">메모</h5>
+
* [[타원함수]]
 +
*  타원적분의 역함수를 [[타원함수]]라 부르며, 이는 역삼각함수와 삼각함수의 관계와 비슷하다.  
 +
* [[야코비(1804 – 1851)|야코비]] One of his maxims was: 'Invert, always invert' ('man muss immer umkehren')
  
<h5 style="line-height: 3.428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 dotum, gulim, 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image: ; background-color: initial; background-position: 0px 100%;">관련된 항목들</h5>
+
  
* [[렘니스케이트(lemniscate) 곡선의 길이와 타원적분|lemniscate 곡선의 길이와 타원적분]]<br>
+
* [[단진자의 주기와 타원적분]]<br>
 
  
<h5 style="line-height: 3.428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 dotum, gulim, 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image: ; background-color: initial; background-position: 0px 100%;">수학용어번역</h5>
+
==역사==
  
* 단어사전 http://www.google.com/dictionary?langpair=en|ko&q=
+
* http://www.google.com/search?hl=en&tbs=tl:1&q=elliptic+funtion
* 발음사전 http://www.forvo.com/search/
+
* [[수학사 연표]]
* [http://mathnet.kaist.ac.kr/mathnet/math_list.php?mode=list&ftype=&fstr= 대한수학회 수학 학술 용어집]<br>
 
** http://mathnet.kaist.ac.kr/mathnet/math_list.php?mode=list&ftype=eng_term&fstr=
 
* [http://www.nktech.net/science/term/term_l.jsp?l_mode=cate&s_code_cd=MA 남·북한수학용어비교]
 
* [http://kms.or.kr/home/kor/board/bulletin_list_subject.asp?bulletinid=%7BD6048897-56F9-43D7-8BB6-50B362D1243A%7D&boardname=%BC%F6%C7%D0%BF%EB%BE%EE%C5%E4%B7%D0%B9%E6&globalmenu=7&localmenu=4 대한수학회 수학용어한글화 게시판]
 
  
<h5 style="line-height: 3.428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 dotum, gulim, 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image: ; background-color: initial; background-position: 0px 100%;">사전 형태의 자료</h5>
 
  
* http://ko.wikipedia.org/wiki/
+
==관련된 항목들==
* http://en.wikipedia.org/wiki/
 
* http://www.wolframalpha.com/input/?i=
 
* [http://dlmf.nist.gov/ NIST Digital Library of Mathematical Functions]
 
* [http://www.research.att.com/~njas/sequences/index.html The On-Line Encyclopedia of Integer Sequences]<br>
 
** http://www.research.att.com/~njas/sequences/?q=
 
  
<h5 style="line-height: 3.428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 dotum, gulim, 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image: ; background-color: initial; background-position: 0px 100%;">관련논문</h5>
+
* [[렘니스케이트(lemniscate) 곡선의 길이와 타원적분|lemniscate 곡선의 길이와 타원적분]]
 +
* [[단진자의 주기와 타원적분]]
 +
* [[부정적분의 초등함수 표현(Integration in finite terms)]]
  
* http://www.jstor.org/action/doBasicSearch?Query=
+
* http://www.ams.org/mathscinet
 
* http://dx.doi.org/
 
  
<h5 style="line-height: 3.428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 dotum, gulim, 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image: ; background-color: initial; background-position: 0px 100%;">관련도서</h5>
 
  
*  도서내검색<br>
+
==관련도서==
** http://books.google.com/books?q=
 
** http://book.daum.net/search/contentSearch.do?query=
 
*  도서검색<br>
 
** http://books.google.com/books?q=
 
** http://book.daum.net/search/mainSearch.do?query=
 
** http://book.daum.net/search/mainSearch.do?query=
 
  
<h5 style="line-height: 3.428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 dotum, gulim, 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image: ; background-color: initial; background-position: 0px 100%;">관련기사</h5>
+
* [http://books.google.com/books?id=Pxr8CwoM9dMC Number theory: an approach through history from Hammurapi to Legendre]
 +
**  André Weil
  
* 네이버 뉴스 검색 (키워드 수정)<br>
+
   
** http://new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ws&x=0&y=0&sm=tab_hty&query=
 
** http://new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ws&x=0&y=0&sm=tab_hty&query=
 
** http://new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ws&x=0&y=0&sm=tab_hty&query=
 
  
<h5 style="line-height: 3.428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 dotum, gulim, 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image: ; background-color: initial; background-position: 0px 100%;">블로그</h5>
+
==블로그==
  
* [http://bomber0.byus.net/index.php/2009/08/19/1428 삼각치환에서 타원적분으로]<br>
+
* [http://bomber0.byus.net/index.php/2010/08/21/1811 1/(1+x^2) 의 적분에 관한 이야기] 피타고라스의 창, 2010-8-21
**  피타고라스의 창, 2009-8-19<br>
+
* [http://bomber0.byus.net/index.php/2009/08/19/1428 삼각치환에서 타원적분으로] 피타고라스의 창, 2009-8-19
* [http://bomber0.byus.net/index.php/2009/02/04/982 미적분학은 사소하지 않다]<br>
+
* [http://bomber0.byus.net/index.php/2009/02/04/982 미적분학은 사소하지 않다] 피타고라스의 창, 2009-2-4
**  피타고라스의 창, 2009-2-4<br>
+
[[분류:입문]]
*  구글 블로그 검색<br>
+
[[분류:타원적분]]
** http://blogsearch.google.com/blogsearch?q=
 
* [http://navercast.naver.com/science/list 네이버 오늘의과학]
 
* [http://math.dongascience.com/ 수학동아]
 
* [http://www.ams.org/mathmoments/ Mathematical Moments from the AMS]
 
* [http://betterexplained.com/ BetterExplained]
 

2014년 5월 28일 (수) 20:34 기준 최신판

개요

  • 타원적분론은 19세기 수학의 중요한 주제이다.
  • 베르누이, 오일러, 르장드르, 가우스, 아벨, 야코비, 리만 등에 의하여 연구되었다.
  • 복소해석학, 리만곡면론의 발전을 이끌었으며, 현대 대수기하학의 궤도에 큰 영향을 주었다.
  • 타원적분의 역함수를 타원함수라 부르며, 이는 역삼각함수와 삼각함수의 관계와 비슷하다.
  • 지금에 와서는 타원적분보다는 타원함수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고 여겨진다.
  • 미적분학에서 다루는 삼각치환오일러치환 을 복습하고 그를 바탕으로 타원적분론에 입문해 보자.



노트


미적분학의 치환적분

유리함수의 적분

유리함수는 부분분수로 분해하여 그 부정적분을 초등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


삼각함수의 적분

삼각함수의 적분은 유리함수의 적분으로 바꿀 수 있으므로, 그 부정적분을 초등함수로 표현할 수 있게 된다.

\(R(x,y)\)는 \(x,y\)의 유리함수라고 가정하자.


\(R(\cos x, \sin x)\)의 적분

  • 다음과 같은 치환적분을 사용

\[t=\tan \frac{x}{2},\frac{dx}{dt}=\frac{2}{1+t^2}\] \[\sin x=\frac{2t}{1+t^2},\cos x=\frac{1-t^2}{1+t^2}\] \[\int R(\cos x, \sin x) \,dx= \int R(\frac{1-t^2}{1+t^2}, \frac{2t}{1+t^2})\frac{2}{1+t^2}\,dt\]


\(R(\cosh x, \sinh x)\)의 적분

  • 다음과 같은 치환적분을 사용

\[t=\tanh \frac{x}{2},\frac{dx}{dt}=\frac{2}{1-t^2}\] \[\sinh x=\frac{2t}{1-t^2},\cosh x=\frac{1+t^2}{1-t^2}\] \[\int R(\cosh x, \sinh x) \,dx= \int R(\frac{1+t^2}{1-t^2}, \frac{2t}{1-t^2})\frac{2}{1-t^2}\,dt\]


이차식에 제곱근이 씌워진 적분

이제 초등함수로 표현할 수 있는 무리함수의 적분을 보도록 하자.

  • \(R(x,\sqrt{1-x^2})\)의 적분, \(x=\cos u\) 치환을 사용하면, \(R'(\cos x, \sin x)\) 의 적분으로 변화
  • \(R(x,\sqrt{x^2-1})\)의 적분, \(x=\cosh u\) 치환을 사용하면, \(R'(\cosh x, \sinh x)\)의 적분으로 변화
  • \(R(x,\sqrt{x^2+1})\)의 적분, \(x=\sinh u\) 치환을 사용하면, \(R'(\cosh x, \sinh x)\)의 적분으로 변화
  • \(R(x,\sqrt{ax^2+bx+c})\)의 적분

\[ax^2+bx+c=\frac{1}{a}\left((ax+b)^2+{ac-b^2}\right)\]

  • \(ac-b^2\)와 \(a\)의 부호에 따라, 적당히 치환하여 위의 경우로 끌고가면 끝.


곡선과 유리함수를 이용한 매개화

이렇게 각각의 경우에 패턴에 따라서, 요렇게 풀고, 저렇게 풀고 하는 방법을 아는 것으로 끝난다면, 이것은 공돌이들의 미적분학 이해와 다를 수 없다. 중요한 것은 각각의 패턴을 관통하는 통일적인 원리의 이해인데, 이런 것이 바른 학습이라고 하겠다.

\(\int R(x,\sqrt{ax^2+bx+c})\,dx\) 형태의 적분이 주어져 있을때, 이러한 삼각치환들이 잘 되는 이유는 ’이차곡선은 유리함수로 매개화 가능’ 하기 때문이다.


즉, \(y^2=ax^2+bx+c\) 라는 곡선을, 유리함수 \(f,g\)를 사용하여 \(x=f(t), y=g(t)\) 형태로 매개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령 단위원의 경우를 보자.

단위원 \(x^2+y^2=1\)의 점들은 다음과 같이 유리함수를 통하여 매개화할 수 있다. \[x=\frac{1-t^2}{1+t^2}\], \(y=\frac{2t}{1+t^2}\) (피타고라스 쌍 참조)


오일러의 적분정리

위의 모든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은 '오일러의 적분정리'를 얻는다. (오일러 치환 항목 참조)


정리 (오일러의 적분정리)

임의의 2변수 유리함수 \(R(x,y)\) 에 대하여, \(\int R(x,\sqrt{ax^2+bx+c})\,dx\) 는 언제나 초등함수로 표현이 가능하다.



타원적분이란?

그러면 이제 제곱근 기호 안에 들어가는 차수가 높아지는 \(\int \frac{dx}{\sqrt{1-x^4}}\) 와 같은 경우 (렘니스케이트(lemniscate) 곡선과 타원적분)는 어떨까?

\(y^2=1-x^4\) 를 유리함수로 매개화할 수 있다면, 부정적분을 구할 수 있지 않을까? 하지만 애석하게도 그러한 유리함수로의 매개화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적분이 바로 19세기의 수학계를 뜨겁게 달구었던 타원적분이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태로 주어지는 적분을 타원적분이라 부른다.


\(\int R(x,y)\,dx\), 여기서 \(R(x,y)\)는 \(x,y\)의 유리함수, \(y^2\)= 중근을 갖지 않는 \(x\)의 3차식 또는 4차식. 즉 다음과 같은 형태의 적분


\(\int R(x,\sqrt{ax^3+bx^2+cx+d}) \,dx\) 또는

\(\int R(x,\sqrt{ax^4+bx^3+cx^2+dx+e}) \,dx\)


타원적분 예1

역사적으로 타원 둘레의 길이를 구하는 적분에서 그 이름이 기원했다고 전해진다.

타원 \(\frac{x^2}{a^2}+\frac{y^2}{b^2}=1\)의 둘레의 길이는 \(4aE(k)\) 로 주어지기 때문이다. 여기서 \(k,E(k)\) 는 다음과 같다.

\(k=\sqrt{1-\frac{b^2}{a^2}}\)

\(E(k)=\int_{0}^{\frac{\pi}{2}}\sqrt{1-k^2\sin^2 \theta} d\theta =\int_{0}^{1}\frac{\sqrt{1-k^2x^2}}{\sqrt{1-x^2}} dx=\int_{0}^{1}\frac{1-k^2x^2}{\sqrt{(1-x^2)(1-k^2x^2)}}\,dx\)

마지막 식에서 볼 수 있듯이, 타원둘레의 길이는

\(R(x,y)=\frac{1-k^2x^2}{y}\) 이고, \(y^2=(1-x^2)(1-k^2x^2)\) 로 주어지는 타원적분이 된다.


타원적분 예2

타원적분을 만날 수 있는 또다른 예는 단진자의 주기를 구하는 과정에서다.

단진자의 운동을 기술하는 미분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d^2\theta\over dt^2}+{g\over \ell} \sin\theta=0 \)

보통의 경우, 위의 비선형 미분방정식을 근사시켜 선형미분방정식을 얻은뒤, 단진자를 단진동으로 이해하여, 그 주기를 \(2\pi\sqrt\frac{\ell}{g}\) 로 표현한다.

그러나 실제로 주어진 미분방정식에 대한 진폭이 \(\theta_0\)인 진자의 주기를 구하면, 다음을 얻는다.

\(T = 4\sqrt{\ell\over {g}}\int_{0}^{\frac{\pi}{2}} \frac{1}{\sqrt{1-k^2\sin\phi}}\,d\phi\). 여기서 \(k=\frac{A}{\sqrt{2}}=\sqrt{\frac{1-\cos\theta_0}{2}}=\sin\frac{\theta_0}{2}\)

이러한 타원적분은 제1종타원적분 K (complete elliptic integral of the first kind) 으로 불리는데, 위의 예1 에서처럼 적당한 변수치환을 통하여, 타원적분의 정의를 만족시키도록 표현할 수 있다.

\(K(k) = \int_0^{\frac{\pi}{2}} \frac{d\theta}{\sqrt{1-k^2 \sin^2\theta}}=\int_0^1\frac{1}{\sqrt{(1-x^2)(1-k^2x^2)}}\,dx\)


위상수학의 역할

오일러의 적분정리가 성립하는 이유는, 근본적으로 2차곡선이 일변수의 유리함수로 매개화가 가능하기 때문이고, 이것은 위상수학의 개념을 가지고 와서야 비로소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초등함수로 표현할 수 있는 적분 \(\int \frac{dx}{\sqrt{1-x^2}}\) 와 초등함수로는 표현되지 않는 적분 \(\int \frac{dx}{\sqrt{1-x^4}}\) 사이의 넘을 수 없는 세계는, 이들 적분과 관련되어 있는 곡면의 구멍이 몇 개인가로 나누어진다.

다시 말하면, 리만곡면론의 관점에서 복소곡선 \(y^2=1-x^2\)는 위상적으로 구면과 같고, \(y^2=1-x^4\)는 위상적으로 토러스가 된다.

무미건조한 미적분학 책을 통해서는 도저히 배울 수 없는, 부정적분과 위상수학의 보이지 않는 관계!


타원적분에서 타원함수로 (나중에 정리)

  • 타원함수
  • 타원적분의 역함수를 타원함수라 부르며, 이는 역삼각함수와 삼각함수의 관계와 비슷하다.
  • 야코비 One of his maxims was: 'Invert, always invert' ('man muss immer umkehren')



역사


관련된 항목들



관련도서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