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가 아니라 2파이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잔글 (찾아 바꾸기 – “<h5 (.*)">” 문자열을 “==” 문자열로)
잔글 (찾아 바꾸기 – “<br><math>” 문자열을 “:<math>” 문자열로)
22번째 줄: 22번째 줄:
  
 
* 다각형의 외각의 합은 언제나 <math>2\pi</math> ([[라디안]])
 
* 다각형의 외각의 합은 언제나 <math>2\pi</math> ([[라디안]])
*  원의 넓이 <br><math>\frac{1}{2} r^2 \times 2\pi</math><br> 삼각형의 넓이의 공식은  <math>\frac{1}{2}  bh</math>  , 부채꼴의 넓이는 <math> \frac{1}{2} r^2 \theta</math> 이다<br>
+
*  원의 넓이 :<math>\frac{1}{2} r^2 \times 2\pi</math><br> 삼각형의 넓이의 공식은  <math>\frac{1}{2}  bh</math>  , 부채꼴의 넓이는 <math> \frac{1}{2} r^2 \theta</math> 이다<br>
* [[삼각함수]]의 주기<br><math>\cos(x+2\pi) = \cos (x)</math><br><math>\sin(x+2\pi) = \sin (x)</math><br>
+
* [[삼각함수]]의 주기:<math>\cos(x+2\pi) = \cos (x)</math>:<math>\sin(x+2\pi) = \sin (x)</math><br>
*  코시 적분 정리 [[유수정리(residue theorem)]][http://en.wikipedia.org/wiki/Cauchy_integral_formula ]http://en.wikipedia.org/wiki/Cauchy_integral_formula<br><math>f(a)=\frac{1}{2\pi}\oint_C \frac{f(x)}{z-a}dz</math><br>
+
*  코시 적분 정리 [[유수정리(residue theorem)]][http://en.wikipedia.org/wiki/Cauchy_integral_formula ]http://en.wikipedia.org/wiki/Cauchy_integral_formula:<math>f(a)=\frac{1}{2\pi}\oint_C \frac{f(x)}{z-a}dz</math><br>
* [[푸리에 급수|푸리에 급수의 계수]]<br><math>c(n) = \frac{1}{2\pi} \int_{0}^{2\pi} f(x) e^{-i n x} \, dx</math><br>
+
* [[푸리에 급수|푸리에 급수의 계수]]:<math>c(n) = \frac{1}{2\pi} \int_{0}^{2\pi} f(x) e^{-i n x} \, dx</math><br>
* [[푸리에 변환]]<br><math>\hat{f}(\xi) = \int_{-\infty}^{\infty} f(x)\ e^{- 2\pi i x \xi}\,dx</math><br>
+
* [[푸리에 변환]]:<math>\hat{f}(\xi) = \int_{-\infty}^{\infty} f(x)\ e^{- 2\pi i x \xi}\,dx</math><br>
*  단위근 [[원분체 (cyclotomic field)]][http://en.wikipedia.org/wiki/Root_of_unity ][http://en.wikipedia.org/wiki/Root_of_unity ][http://en.wikipedia.org/wiki/Root_of_unity ][http://en.wikipedia.org/wiki/Root_of_unity ]http://en.wikipedia.org/wiki/Root_of_unity<br><math>e^{2 \pi i \over n}</math><br>
+
*  단위근 [[원분체 (cyclotomic field)]][http://en.wikipedia.org/wiki/Root_of_unity ][http://en.wikipedia.org/wiki/Root_of_unity ][http://en.wikipedia.org/wiki/Root_of_unity ][http://en.wikipedia.org/wiki/Root_of_unity ]http://en.wikipedia.org/wiki/Root_of_unity:<math>e^{2 \pi i \over n}</math><br>
* [[스털링 공식]]<br><math> n! \approx \sqrt{2\pi} \sqrt{n}\, \left(\frac{n}{e}\right)^{n}</math><br>
+
* [[스털링 공식]]:<math> n! \approx \sqrt{2\pi} \sqrt{n}\, \left(\frac{n}{e}\right)^{n}</math><br>
* [[정수에서의 리만제타함수의 값]]<br><math>\zeta(2n) =(-1)^{n+1}\frac{B_{2n}(2\pi)^{2n}}{2(2n)!}, n \ge 1</math>여기서 <math>B_{2n}</math>은 [[베르누이 수|베르누이수]].<br>
+
* [[정수에서의 리만제타함수의 값]]:<math>\zeta(2n) =(-1)^{n+1}\frac{B_{2n}(2\pi)^{2n}}{2(2n)!}, n \ge 1</math>여기서 <math>B_{2n}</math>은 [[베르누이 수|베르누이수]].<br>
* [[가우시안 적분]]<br><math>\int_{-\infty}^{\infty}e^{-\frac{x^2}{2}}dx=\sqrt{2\pi}</math><br>
+
* [[가우시안 적분]]:<math>\int_{-\infty}^{\infty}e^{-\frac{x^2}{2}}dx=\sqrt{2\pi}</math><br>
* [[정규분포와 그 확률밀도함수]]<br><math>\frac{1}{\sigma\sqrt{2\pi}} \exp( -\frac{(x- \mu)^2}{2\sigma^2} )</math><br>
+
* [[정규분포와 그 확률밀도함수]]:<math>\frac{1}{\sigma\sqrt{2\pi}} \exp( -\frac{(x- \mu)^2}{2\sigma^2} )</math><br>
* [[가우스-보네 정리]]<br><math>\int_M K\;dA+\int_{\partial M}k_g\;ds=2\pi\chi(M)</math><br>
+
* [[가우스-보네 정리]]:<math>\int_M K\;dA+\int_{\partial M}k_g\;ds=2\pi\chi(M)</math><br>
* [[이차 수체에 대한 디리클레 class number 공식 |디리클레 class number 공식]]<br><math>\lim_{s\to 1} (s-1)\zeta_K(s)=\frac{2^{r_1}\cdot(2\pi)^{r_2}\cdot h_K\cdot \operatorname{Reg}_K}{w_K \cdot \sqrt{|D_K|}}</math><br>
+
* [[이차 수체에 대한 디리클레 class number 공식 |디리클레 class number 공식]]:<math>\lim_{s\to 1} (s-1)\zeta_K(s)=\frac{2^{r_1}\cdot(2\pi)^{r_2}\cdot h_K\cdot \operatorname{Reg}_K}{w_K \cdot \sqrt{|D_K|}}</math><br>
*  각운동주기<br><math>T = {{2 \pi} \over \omega }</math><br>
+
*  각운동주기:<math>T = {{2 \pi} \over \omega }</math><br>
*  플랑크 상수 h-bar [http://en.wikipedia.org/wiki/Planck_constant ][http://en.wikipedia.org/wiki/Planck_constant ]http://en.wikipedia.org/wiki/Planck_constant<br><math>\hbar= \frac{h}{2 \pi}</math><br>
+
*  플랑크 상수 h-bar [http://en.wikipedia.org/wiki/Planck_constant ][http://en.wikipedia.org/wiki/Planck_constant ]http://en.wikipedia.org/wiki/Planck_constant:<math>\hbar= \frac{h}{2 \pi}</math><br>
  
 
 
 
 
43번째 줄: 43번째 줄:
 
==재미있는 사실==
 
==재미있는 사실==
  
* [[모든 자연수의 곱과 리만제타함수]]<br><math>\prod_{n=1}^{\infty} n =\sqrt{2\pi}</math>[[모든 자연수의 곱과 리만제타함수|모든 자연수의 곱과 리만제타함수]]<br>
+
* [[모든 자연수의 곱과 리만제타함수]]:<math>\prod_{n=1}^{\infty} n =\sqrt{2\pi}</math>[[모든 자연수의 곱과 리만제타함수|모든 자연수의 곱과 리만제타함수]]<br>
  
 
* [[ζ(2)의 계산, 오일러와 바젤문제(완전제곱수의 역수들의 합)|오일러와 바젤문제(완전제곱수의 역수들의 합)]]
 
* [[ζ(2)의 계산, 오일러와 바젤문제(완전제곱수의 역수들의 합)|오일러와 바젤문제(완전제곱수의 역수들의 합)]]
51번째 줄: 51번째 줄:
 
[[숫자 12와 24]]
 
[[숫자 12와 24]]
  
* [[분할수의 생성함수(오일러 함수)]]<br><math>q=e^{-\epsilon}</math> 으로 두면 <math>\epsilon\to 0</math> 일 때,  <math>\prod_{n=1}^\infty \frac {1}{1-q^n} \sim \frac{(2\pi)^2}{24\epsilon}</math><br>
+
* [[분할수의 생성함수(오일러 함수)]]:<math>q=e^{-\epsilon}</math> 으로 두면 <math>\epsilon\to 0</math> 일 때,  <math>\prod_{n=1}^\infty \frac {1}{1-q^n} \sim \frac{(2\pi)^2}{24\epsilon}</math><br>
  
 
 
 
 

2013년 1월 12일 (토) 11:31 판

이 항목의 스프링노트 원문주소

 

 

개요

  • '만약에 \(\pi\)가 아니라 \(2\pi\)를 근본적인 상수로 정의했더라면 많은 것들이 더 간단해지지 않았을까?' 하는 주장
  • \(2\pi\) 를 상수 \(\tau\)로 하자는 주장 The Tau Manifesto http://tauday.com/  도 등장함
    • 파이데이 3월 14일을 대신하여, 6월 28일을 타우데이로 ..
  • 아래의 항목중 많은 것들은, 원 위에서 한바퀴를 도는 것은  \(2\pi\)라디안만큼의 회전이라는 사실에서 기원한다.
  • [Palais01] 참고

 

 

 

 

재미있는 사실

\(\zeta(2)=\sum_{n=1}^{\infty}\frac{1}{n^2}=\frac{(2\pi)^2}{24}\)

숫자 12와 24

 

 

관련된 항목들

 

 

관련논문

 

 

관련기사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