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 는 무엇일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잔글 (찾아 바꾸기 – “수학사연표” 문자열을 “수학사 연표” 문자열로)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이 항목의 스프링노트 원문주소==
 
 
* [[ i^i 는 무엇일까?|i^i 는 무엇일까?]]<br>
 
 
 
 
 
 
 
 
 
==개요==
 
==개요==
  
* <math>i^{i}</math>의 값은 하나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무한히 많다. 이는 [[복소로그함수]] 가 무한히 많은 값을 갖기 때문이다. <br>
+
* <math>i^{i}</math>의 값은 하나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무한히 많다. 이는 [[복소로그함수]] 무한히 많은 값을 갖기 때문이다.  
* <math>i^{i}=\cdots,e^{-\frac{5\pi}{2}},e^{-\frac{\pi}{2}},e^{\frac{3\pi}{2}},\cdots</math><br>
+
* <math>i^{i}=\cdots,e^{-\frac{5\pi}{2}},e^{-\frac{\pi}{2}},e^{\frac{3\pi}{2}},\cdots</math>
*  주치(principal value)는 <math>e^{-\frac{\pi}{2}}</math>로 주어진다. <br>
+
*  주치(principal value)<math>e^{-\frac{\pi}{2}}</math>로 주어진다.  
  
 
+
  
 
+
  
 
==복소거듭제곱==
 
==복소거듭제곱==
  
대학교 학부과정의 [[복소함수론]]에서는 복소수의 복소수 거듭제곱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대학교 학부과정의 [[복소함수론]]에서는 복소수의 복소수 거듭제곱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복소수 <math>z,\alpha</math>에 대하여,<math>z^{\alpha}:=e^{\alpha \log z}</math>. 여기서 <math>\log z</math>는 [[복소로그함수]].
+
복소수 <math>z,\alpha</math>에 대하여,<math>z^{\alpha}:=e^{\alpha \log z}</math>. 여기서 <math>\log z</math>[[복소로그함수]].
  
(이 정의에서는 복소지수함수 ([[오일러의 공식]] 참조)와 [[복소로그함수]] 가 사용되었다. )
+
(이 정의에서는 복소지수함수 ([[오일러의 공식]] 참조)[[복소로그함수]] 사용되었다. )
  
 
+
  
복소로그함수에 대하여, 잠시 복습을 하자. 복소로그함수는 복소수 <math>z = re^{i\theta}</math>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복소로그함수에 대하여, 잠시 복습을 하자. 복소로그함수는 복소수 <math>z = re^{i\theta}</math>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math>\log z = \ln|z| + i\arg(z) = \ln(r) + i\left(\theta + 2 \pi k \right)</math>. 여기서 <math>k\in\mathbb{Z}</math>.
+
<math>\log z = \ln|z| + i\arg(z) = \ln(r) + i\left(\theta + 2 \pi k \right)</math>. 여기서 <math>k\in\mathbb{Z}</math>.
  
예를 들어보자면, 
+
예를 들어보자면,  
  
 
<math>\log 1 = \ln|1| + i\arg(1) = \ln(1) + i\left(0 + 2 \pi k \right) =\cdots, -6\pi i,-4\pi i,-2\pi i,0,2\pi i,4\pi i,6\pi i, \cdots</math>
 
<math>\log 1 = \ln|1| + i\arg(1) = \ln(1) + i\left(0 + 2 \pi k \right) =\cdots, -6\pi i,-4\pi i,-2\pi i,0,2\pi i,4\pi i,6\pi i, \cdots</math>
  
 
+
  
 
+
  
 
+
  
 
==i^i의 계산==
 
==i^i의 계산==
  
<math>i^{i}=e^{i \log i}</math> 이므로 먼저 <math>\log i</math>를 계산하자. 
+
<math>i^{i}=e^{i \log i}</math> 이므로 먼저 <math>\log i</math>를 계산하자.  
  
 
<math>\log i = \ln|i| + i\arg(i) = i\left(\frac{\pi}{2} + 2 \pi k \right) =\cdots, ,\frac{\pi}{2}i-4\pi i,\frac{\pi}{2}i-2\pi i,\frac{\pi}{2}i,\frac{\pi}{2}i+2\pi i,\frac{\pi}{2}i+4\pi i,\cdots</math>
 
<math>\log i = \ln|i| + i\arg(i) = i\left(\frac{\pi}{2} + 2 \pi k \right) =\cdots, ,\frac{\pi}{2}i-4\pi i,\frac{\pi}{2}i-2\pi i,\frac{\pi}{2}i,\frac{\pi}{2}i+2\pi i,\frac{\pi}{2}i+4\pi i,\cdots</math>
  
 
+
  
이제 정의와 위의 결과를 활용하여, 
+
이제 정의와 위의 결과를 활용하여,  
  
<math>i^{i}=e^{i \log i}=e^{i(\frac{\pi}{2}+2k\pi)i}=e^{-(\frac{\pi}{2}+2k\pi)}=e^{-\frac{\pi}{2}}e^{-2k\pi}</math> ,  <math>k\in\mathbb{Z}</math> 를 얻는다.
+
<math>i^{i}=e^{i \log i}=e^{i(\frac{\pi}{2}+2k\pi)i}=e^{-(\frac{\pi}{2}+2k\pi)}=e^{-\frac{\pi}{2}}e^{-2k\pi}</math> , <math>k\in\mathbb{Z}</math> 얻는다.
  
 
따라서,
 
따라서,
57번째 줄: 49번째 줄:
 
<math>i^{i}=\cdots,e^{-\frac{5\pi}{2}},e^{-\frac{\pi}{2}},e^{\frac{3\pi}{2}},\cdots</math>
 
<math>i^{i}=\cdots,e^{-\frac{5\pi}{2}},e^{-\frac{\pi}{2}},e^{\frac{3\pi}{2}},\cdots</math>
  
주치(principal value)는 k=0인 경우로, <math>i^{i}=e^{-\frac{\pi}{2}}</math>가 된다.
+
주치(principal value)는 k=0인 경우로, <math>i^{i}=e^{-\frac{\pi}{2}}</math>가 된다.
  
 
+
  
 
+
  
 
==역사==
 
==역사==
  
 
+
  
 
* http://www.google.com/search?hl=en&tbs=tl:1&q=
 
* http://www.google.com/search?hl=en&tbs=tl:1&q=
 
* [[수학사 연표]]
 
* [[수학사 연표]]
*  
+
*
  
 
+
  
 
+
  
 
==메모==
 
==메모==
  
 
+
  
 
+
  
 
==관련된 항목들==
 
==관련된 항목들==
  
* [[복소로그함수]]<br>
+
* [[복소로그함수]]
* [[복소수]]<br>
+
* [[복소수]]
 
+
[[분류:복소함수론]]
 
 
 
 
 
 
 
 
==사전 형태의 자료==
 
 
 
* http://ko.wikipedia.org/wiki/
 
* http://en.wikipedia.org/wiki/
 
* http://www.proofwiki.org/wiki/
 
* http://www.wolframalpha.com/input/?i=
 
* [http://dlmf.nist.gov/ NIST Digital Library of Mathematical Functions]
 
* [http://www.research.att.com/%7Enjas/sequences/index.html The On-Line Encyclopedia of Integer Sequences]<br>
 
** http://www.research.att.com/~njas/sequences/?q=
 

2013년 6월 24일 (월) 03:45 기준 최신판

개요

  • \(i^{i}\)의 값은 하나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무한히 많다. 이는 복소로그함수 가 무한히 많은 값을 갖기 때문이다.
  • \(i^{i}=\cdots,e^{-\frac{5\pi}{2}},e^{-\frac{\pi}{2}},e^{\frac{3\pi}{2}},\cdots\)
  • 주치(principal value)는 \(e^{-\frac{\pi}{2}}\)로 주어진다.



복소거듭제곱

대학교 학부과정의 복소함수론에서는 복소수의 복소수 거듭제곱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두 복소수 \(z,\alpha\)에 대하여,\(z^{\alpha}:=e^{\alpha \log z}\). 여기서 \(\log z\)는 복소로그함수.

(이 정의에서는 복소지수함수 (오일러의 공식 참조)와 복소로그함수 가 사용되었다. )


복소로그함수에 대하여, 잠시 복습을 하자. 복소로그함수는 복소수 \(z = re^{i\theta}\)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log z = \ln|z| + i\arg(z) = \ln(r) + i\left(\theta + 2 \pi k \right)\). 여기서 \(k\in\mathbb{Z}\).

예를 들어보자면,

\(\log 1 = \ln|1| + i\arg(1) = \ln(1) + i\left(0 + 2 \pi k \right) =\cdots, -6\pi i,-4\pi i,-2\pi i,0,2\pi i,4\pi i,6\pi i, \cdots\)




i^i의 계산

\(i^{i}=e^{i \log i}\) 이므로 먼저 \(\log i\)를 계산하자.

\(\log i = \ln|i| + i\arg(i) = i\left(\frac{\pi}{2} + 2 \pi k \right) =\cdots, ,\frac{\pi}{2}i-4\pi i,\frac{\pi}{2}i-2\pi i,\frac{\pi}{2}i,\frac{\pi}{2}i+2\pi i,\frac{\pi}{2}i+4\pi i,\cdots\)


이제 정의와 위의 결과를 활용하여,

\(i^{i}=e^{i \log i}=e^{i(\frac{\pi}{2}+2k\pi)i}=e^{-(\frac{\pi}{2}+2k\pi)}=e^{-\frac{\pi}{2}}e^{-2k\pi}\) , \(k\in\mathbb{Z}\) 를 얻는다.

따라서,

\(i^{i}=\cdots,e^{-\frac{5\pi}{2}},e^{-\frac{\pi}{2}},e^{\frac{3\pi}{2}},\cdots\)

주치(principal value)는 k=0인 경우로, \(i^{i}=e^{-\frac{\pi}{2}}\)가 된다.



역사



메모

관련된 항목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