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과 음악

수학노트
http://bomber0.myid.net/ (토론)님의 2009년 5월 14일 (목) 21:39 판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음계의 구성과 수학
  • 으뜸음 tonic 
  • octave 2:1
  • fifth 3:2
  • fourth 4:3
  • 8음계에서 일렬로 배열했을때의 순서
  • 옥타브의 비율은 2:1 즉 12:6
    산술평균을 취하여 새 음을 만들면 9
    9:6 은 fifth
    12:9 는 fourth
    조화평균을 취하여 새 음을 만들면 8
    8:6 은 fourth
    12:8 는 fifth

 

12음계와 수학

1과 2사이의 몇 개의 수를 골라내는 것이 음계를 만들어 내는 것과 동일하다는 사실을 이해했다면, 이제는 그것들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골라낼 것인가에 대해 생각해 볼 때이다.
기준이 되는 음 도와 한 옥타브 올라간 도 그 사이에 놓인 가장 중요한 음은 ‘솔’이다. 이는 솔이 갖는 진동수가 1.5 즉 3/2 이기 때문이다. 도와 솔의 진동수의 비가 간단한 정수비라는 사실은 이 두 소리가 함께 울릴 때 사람의 귀에 조화롭게 들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음의 조화가 수의 비례에 기초하고 있다는 사실을 피타고라스가 처음 발견했다고 알려지고 있다.
1과 3/2 가 갖는 관계를 3/2과 9/4도 갖게 된다. 그러나 9/4는 2를 넘어선 즉 한옥타브 위의 음이므로 한옥타브 낮추어 9/8을 얻으면 이것이 찾고 있던 새로운 음이 된다. 이것이 ‘레’다. 같은 방법으로 ‘라’가 구성되고, 이런 과정을 반복하여 얻을 음계를 피타고라스 음계라고 한다. 즉 도는 1, 레는 9:8, 미 81:64, 파 4:3 솔 3:2 라 27:16 시 243:128 도 2 의 진동수의 음계이다.
이 외에도 5:4 를 끼워넣어 다른 음계를 구성하는 방법도 있고, 많은 방법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이러한 방법은 모두 정수비 즉 유리수에 기초하고 있는 음계이다. 간단한 정수비를 기반으로 하는 것은 인간의 귀에 맞는 방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조가 몇 차례 바뀌어 다시 원래의 조로 돌아왔을 때, 음이 살짝 달라 질수도 있다는 문제는 일으킨다. 따라서 듣기에는 좋을 수 있으나, 연주에 문제가 생긴다.
평균율이란 각 음 사이의 비례를 일정하게 해서 구성한 음계이다. 즉, 12번 곱했을 때 2가 되는 수 즉, r=12√2≒1.0595 가 음사이의 비율이다. r은 무리수이다. 1은 도, r은 도#, r제곱은 레 r세제곱은 레# 이런 식으로 음계를 구성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음계의 솔이 내는 음이 r의 7승 즉 무리수라는 사실 다시 말해, 3/2가 아니라는 사실, 즉 인간의 귀가 듣고 싶어하는 게 아니라는 사실이 바로 문제가 된다.
피아노 연주가는 구원을 얻고 감상자에게는 재앙이 왔는가 ?

 

 

이제 12라는 특정한 수가 어디서 기원했는가를 생각해 볼 때이다. 왜 서양음악의 음계는 12음으로 구성되었는가? 이 질문에 제대로 답하는 것은 서양음악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문헌을 뒤지는 일로서 할 수 있는 일일 것이나, 여기서는 이제 방향을 틀어 수학으로 간다. 그다지 많이는 어렵지 않으므로, 한번 따라가 보는 것도 괜찮을 것이다.
평균율 음계를 구성한다고 가정하고, r^(n/m) 이라는 표현을 r의 n/m 제곱이라고 이해하자.
음계에 필요한 수를 m 개라 하면, r^m=2 를 만족시켜야 한다. 이는 옥타브를 위해 필요한 식이다. 즉 r = 2^(1/m) 이다.
이 음계의 첫음 즉 도는 1=r^0 이다. 다음은 r^1, 셋째음은 r^2 , … , r^m=2가 될 때, 완전한 한음계를 얻는다. 이제 몇 번 째 음으로 하여금 r^n=3/2 가 만족되도록 할 것인가, 즉, 솔을 얻을 것인가를 생각하자. 그러나 이러한 음계에서는 이미 정확하게 3/2를 얻을 수 없다. r은 언제나 무리수니까, 따라서 3/2에 될 수 있으면 가깝게 가도록 하는 것이 답이다. r^n=2^(n/m) 가 3/2 에 가깝도록 만들어야 한다.
2^(n/m)=3/2 라 가정해 놓고, 적당한 계산을 한다면, n/m=log (3/2) / log 2 를 얻는다. 문제는 이제 log (3/2) / log 2 에 가까운 유리수를 찾는 문제로 바뀌었다.
무리수를 유리수로서 근사시키는 기술, 이것이 수학에 있다. 연분수, continued fraction 이라고 하는 것이 이것이다. 유리수의 분모가 커질수록 무리수에 가깝게 갈 수는 있지만, 연분수의 개념은 이러한 유리수들 중에도 특별히 좋을 성질을 갖는 근사가 있음을 알려준다. 이를 적용해 log (3/2) / log 2 에 가까운 유리수를 찾는 과정에 등장하는 수는 1, 1/2, 3/5 , 7/12 , 24/41 … 이다.
n/m=7/12 가 바로 찾던 그 녀석이다. 도,도#,레,레#,미,파,파#,솔 … 7/12 는 12음계의 8번째음이 진동수 3/2 에 가까운 그 음임을 말해준다.
이 방법에 어떤 흥미로운 점을 제공하는 것이 3/5 이 등장한다는 것, 즉 5음계를 구성해도 도와 솔의 관계가 좋다는 것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5음계는 초등학교 때부터 우리에게 친숙한 것이 아니던가.

 

음정의 계산

 

 

하위주제들

 

 

 

하위페이지

 

 

재미있는 사실

 

 

관련된 단원

 

 

많이 나오는 질문

 

 

관련된 고교수학 또는 대학수학

 

 

관련된 다른 주제들

 

 

관련도서 및 추천도서

 

참고할만한 자료

 

관련기사

네이버 뉴스 검색 (키워드 수정)

 

 

블로그

 

이미지 검색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