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케 연산자(Hecke operator)"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5번째 줄: 15번째 줄:
 
T_m f(z) = m^{k-1}\sum_{a,d>0, ad=m}\frac{1}{d^k}\sum_{b \pmod d} f\left(\frac{az+b}{d}\right)=m^{k-1}\sum_{a,d>0, ad=m}\frac{1}{d^k}\sum_{b=0}^{d-1} f\left(\frac{az+b}{d}\right)
 
T_m f(z) = m^{k-1}\sum_{a,d>0, ad=m}\frac{1}{d^k}\sum_{b \pmod d} f\left(\frac{az+b}{d}\right)=m^{k-1}\sum_{a,d>0, ad=m}\frac{1}{d^k}\sum_{b=0}^{d-1} f\left(\frac{az+b}{d}\right)
 
$$
 
$$
* 푸리에 전개가 $f(z)=\sum_{n=0}^{\infty} a(n) q^n$로 주어지면, $T_m f(z)=\sum_{n=0}^{\infty} b(n) q^n$이라 할 때, 다음의 관계가 성립
+
* 푸리에 전개가 $f(z)=\sum_{n=0}^{\infty} c(n) q^n$로 주어지면, $T_m f(z)=\sum_{n=0}^{\infty} \gamma_{m}(n) q^n$이라 할 때, 다음의 관계가 성립
 
$$
 
$$
b(n) = \sum_{r>0, r|(m,n)}r^{k-1}a(\frac{mn}{r^2})
+
\gamma_{m}(n) = \sum_{r>0, r|(m,n)}r^{k-1}c(\frac{mn}{r^2}) \label{im}
 
$$
 
$$
 +
* 가령 $\gamma_{m}(0)=c(0)\sigma_{2k-1}(m)$, $\gamma_{m}(1)=c(m)$
  
  
24번째 줄: 25번째 줄:
 
* 서로 소인 자연수 <math>m,n</math> 에 대하여, <math>T_{mn}=T_{m}T_{n} \label{ram1}</math>
 
* 서로 소인 자연수 <math>m,n</math> 에 대하여, <math>T_{mn}=T_{m}T_{n} \label{ram1}</math>
 
* 소수 $p$와 자연수 $r$에 대하여, <math>T_{p^{r + 1}} = T_{p}T_{p^r} - p^{k-1}T_{p^{r - 1}} \label{ram2}</math>
 
* 소수 $p$와 자연수 $r$에 대하여, <math>T_{p^{r + 1}} = T_{p}T_{p^r} - p^{k-1}T_{p^{r - 1}} \label{ram2}</math>
 +
 +
 +
 +
==고유 형식==
 +
* weight $k>0$인 모듈라 형식 $f\neq 0$가 $\{T_n|n\in \mathbb{N}\}$의 공통 고유 벡터, 즉 적당한 $\lambda(n)$에 대하여,
 +
$$
 +
T_nf=\lambda(n)f
 +
$$
 +
를 만족할 때, 이를 고유 형식이라 한다
 +
* 푸리에 전개가 $f(z)=\sum_{n=0}^{\infty} c(n) q^n$으로 주어지면, \ref{im}로부터 $c(n)=\lambda(n)c(1)$임을 알 수 있고, 따라서 $c(1)=1$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
# 서로 소인 자연수 <math>m,n</math> 에 대하여, <math>c(mn)=c(m)c(n) </math>
 +
# 소수 $p$와 자연수 $r$에 대하여, <math>c(p^{r + 1}) = c(p)c(p^r) - p^{k-1}c(p^{r - 1}) </math>
 +
===예===
 +
* [[아이젠슈타인 급수(Eisenstein series)]]
 +
:<math>E_{2k}(\tau)=\frac{G_{2k}(\tau)}{2\zeta (2k)}= 1+\frac {2}{\zeta(1-2k)}\left(\sum_{n=1}^{\infty} \sigma_{2k-1}(n)q^{n} \right)</math>
 +
* [[판별식 (discriminant) 함수와 라마누잔의 타우 함수(tau function)|판별식 함수]]
 +
:<math>\Delta(\tau)=\eta(\tau)^{24}= q\prod_{n>0}(1-q^n)^{24}=q-24q+252q^2+\cdots</math>
 +
* [[자연수의 약수의 합]]과 라마누잔 타우 함수가 왜 [[수론적 함수(산술함수, arithmetic function)]]인지를 이해할 수 있음
 +
  
  
 
==관련된 항목들==
 
==관련된 항목들==
 
* [[판별식 (discriminant) 함수와 라마누잔의 타우 함수(tau function)]]
 
* [[판별식 (discriminant) 함수와 라마누잔의 타우 함수(tau function)]]
 +
* [[아이젠슈타인 급수(Eisenstein series)]]

2013년 8월 28일 (수) 10:17 판

개요

  • 모듈라 형식의 공간에 작용하는 연산자
  • 헤케 연산자의 고유 벡터가 되는 모듈라 형식의 푸리에 계수는 흥미로운 수론적 성질을 가진다


정의

  • $M_n$ : 행렬식이 $n$인 $2\times 2$ 정수 계수 행렬들의 집합
  • $f$ : weight $k$인 모듈라 형식
  • 자연수 $m$에 대하여, 헤케 연산자 $T_m$을 다음과 같이 정의

$$ T_m f(z) = m^{k-1}\sum_{\left(\begin{smallmatrix}a & b\\ c & d\end{smallmatrix}\right)\in\Gamma\backslash M_m}(cz+d)^{-k}f\left(\frac{az+b}{cz+d}\right) $$ 또는, $$ T_m f(z) = m^{k-1}\sum_{a,d>0, ad=m}\frac{1}{d^k}\sum_{b \pmod d} f\left(\frac{az+b}{d}\right)=m^{k-1}\sum_{a,d>0, ad=m}\frac{1}{d^k}\sum_{b=0}^{d-1} f\left(\frac{az+b}{d}\right) $$

  • 푸리에 전개가 $f(z)=\sum_{n=0}^{\infty} c(n) q^n$로 주어지면, $T_m f(z)=\sum_{n=0}^{\infty} \gamma_{m}(n) q^n$이라 할 때, 다음의 관계가 성립

$$ \gamma_{m}(n) = \sum_{r>0, r|(m,n)}r^{k-1}c(\frac{mn}{r^2}) \label{im} $$

  • 가령 $\gamma_{m}(0)=c(0)\sigma_{2k-1}(m)$, $\gamma_{m}(1)=c(m)$


성질

  • 서로 소인 자연수 \(m,n\) 에 대하여, \(T_{mn}=T_{m}T_{n} \label{ram1}\)
  • 소수 $p$와 자연수 $r$에 대하여, \(T_{p^{r + 1}} = T_{p}T_{p^r} - p^{k-1}T_{p^{r - 1}} \label{ram2}\)


고유 형식

  • weight $k>0$인 모듈라 형식 $f\neq 0$가 $\{T_n|n\in \mathbb{N}\}$의 공통 고유 벡터, 즉 적당한 $\lambda(n)$에 대하여,

$$ T_nf=\lambda(n)f $$ 를 만족할 때, 이를 고유 형식이라 한다

  • 푸리에 전개가 $f(z)=\sum_{n=0}^{\infty} c(n) q^n$으로 주어지면, \ref{im}로부터 $c(n)=\lambda(n)c(1)$임을 알 수 있고, 따라서 $c(1)=1$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1. 서로 소인 자연수 \(m,n\) 에 대하여, \(c(mn)=c(m)c(n) \)
  2. 소수 $p$와 자연수 $r$에 대하여, \(c(p^{r + 1}) = c(p)c(p^r) - p^{k-1}c(p^{r - 1}) \)

\[E_{2k}(\tau)=\frac{G_{2k}(\tau)}{2\zeta (2k)}= 1+\frac {2}{\zeta(1-2k)}\left(\sum_{n=1}^{\infty} \sigma_{2k-1}(n)q^{n} \right)\]

\[\Delta(\tau)=\eta(\tau)^{24}= q\prod_{n>0}(1-q^n)^{24}=q-24q+252q^2+\cdots\]


관련된 항목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