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대수 sl(3,C)의 유한차원 표현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새 문서: ==개요== * 복소수체 위의 8차원 리대수 $\mathfrak{g}=\mathfrak{sl}(3,\mathbb{C})$ $$ \mathfrak{g}=\{X\in \mathfrak{gl}(3,\mathbb{C})|\operatorname{Tr}(X)=0 \} $$ ==리대...)
 
79번째 줄: 79번째 줄:
 
* $A_2$ 카르탄 행렬
 
* $A_2$ 카르탄 행렬
 
:<math>A=\begin{bmatrix} 2 & -1 \\ -1 & 2 \end{bmatrix}</math>
 
:<math>A=\begin{bmatrix} 2 & -1 \\ -1 & 2 \end{bmatrix}</math>
* 루트 시스템
+
* $A_2$ 루트 시스템
 
:<math>\Phi=\{\alpha_1,\alpha_2,\alpha_1+\alpha_2,-\alpha_1,-\alpha_2,-\alpha_1-\alpha_2\}</math>
 
:<math>\Phi=\{\alpha_1,\alpha_2,\alpha_1+\alpha_2,-\alpha_1,-\alpha_2,-\alpha_1-\alpha_2\}</math>
 +
* <math>A_2</math>의 루트 시스템을 <math>\mathbb{R}^3</math>안에서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
** <math>\alpha_1=(1,-1,0)</math>
 +
** <math>\alpha_2=(0,1,-1)</math>
 +
** <math>\alpha_3=\alpha_1+\alpha_2=(1,0,-1)</math>
 +
* weights
 +
** <math>\rho=(1,0,-1)</math>
 +
** <math>\omega_1=(\frac{2}{3},-\frac{1}{3},-\frac{1}{3})</math>
 +
** <math>\omega_2=(\frac{1}{3},\frac{1}{3},-\frac{2}{3})</math>
 +
  
 
==유한차원 기약 표현의 분류==
 
==유한차원 기약 표현의 분류==
 
* 유한차원 기약 표현 $V$에 대하여, 적당한 dominant weight $\omega=a\omega_1+b\omega_2,\quad a,b\in \mathbb{Z}_{\geq 0}$가 존재하여, $V\cong L(\omega)$가 성립
 
* 유한차원 기약 표현 $V$에 대하여, 적당한 dominant weight $\omega=a\omega_1+b\omega_2,\quad a,b\in \mathbb{Z}_{\geq 0}$가 존재하여, $V\cong L(\omega)$가 성립
 +
* [[바일 차원 공식(Weyl dimension formula)]]을 이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dim L(a\omega_1+b\omega_2)=\frac{1}{2} (a+1) (b+1) (a+b+2)
 +
$$
  
  
91번째 줄: 104번째 줄:
 
===예1===
 
===예1===
 
* fundamental 표현, highest weight은 $\omega_1$
 
* fundamental 표현, highest weight은 $\omega_1$
 +
* 3차원 표현
 
[[파일:리대수 sl(3,C)의 유한차원 표현론1.png]]
 
[[파일:리대수 sl(3,C)의 유한차원 표현론1.png]]
  
96번째 줄: 110번째 줄:
 
===예2===
 
===예2===
 
* adjoint 표현, highest weight은 $\omega_1+\omega_2$
 
* adjoint 표현, highest weight은 $\omega_1+\omega_2$
 +
* 8차원 표현
 
[[파일:리대수 sl(3,C)의 유한차원 표현론2.png]]
 
[[파일:리대수 sl(3,C)의 유한차원 표현론2.png]]
  
101번째 줄: 116번째 줄:
 
===예3===
 
===예3===
 
* highest weight이 $3\omega_1+2\omega_2$로 주어진 기약표현
 
* highest weight이 $3\omega_1+2\omega_2$로 주어진 기약표현
 +
* 42차원 표현
 
[[파일:리대수 sl(3,C)의 유한차원 표현론3.png]]
 
[[파일:리대수 sl(3,C)의 유한차원 표현론3.png]]
  

2014년 2월 2일 (일) 23:17 판

개요

  • 복소수체 위의 8차원 리대수 $\mathfrak{g}=\mathfrak{sl}(3,\mathbb{C})$

$$ \mathfrak{g}=\{X\in \mathfrak{gl}(3,\mathbb{C})|\operatorname{Tr}(X)=0 \} $$

리대수

  • 리대수의 기저

$$ \begin{array}{|rcl|} \hline h_1 & = & \left( \begin{array}{ccc} 1 & 0 & 0 \\ 0 & -1 & 0 \\ 0 & 0 & 0 \\ \end{array} \right) \\ \hline h_2 & = & \left( \begin{array}{ccc} 0 & 0 & 0 \\ 0 & 1 & 0 \\ 0 & 0 & -1 \\ \end{array} \right) \\ \hline e_1 & = & \left( \begin{array}{ccc} 0 & 1 & 0 \\ 0 & 0 & 0 \\ 0 & 0 & 0 \\ \end{array} \right) \\ \hline e_2 & = & \left( \begin{array}{ccc} 0 & 0 & 0 \\ 0 & 0 & 1 \\ 0 & 0 & 0 \\ \end{array} \right) \\ \hline e_3 & = & \left( \begin{array}{ccc} 0 & 0 & 1 \\ 0 & 0 & 0 \\ 0 & 0 & 0 \\ \end{array} \right) \\ \hline f_1 & = & \left( \begin{array}{ccc} 0 & 0 & 0 \\ 1 & 0 & 0 \\ 0 & 0 & 0 \\ \end{array} \right) \\ \hline f_2 & = & \left( \begin{array}{ccc} 0 & 0 & 0 \\ 0 & 0 & 0 \\ 0 & 1 & 0 \\ \end{array} \right) \\ \hline f_3 & = & \left( \begin{array}{ccc} 0 & 0 & 0 \\ 0 & 0 & 0 \\ 1 & 0 & 0 \\ \end{array} \right) \\ \hline \end{array} $$

\[A=\begin{bmatrix} 2 & -1 \\ -1 & 2 \end{bmatrix}\]

  • $A_2$ 루트 시스템

\[\Phi=\{\alpha_1,\alpha_2,\alpha_1+\alpha_2,-\alpha_1,-\alpha_2,-\alpha_1-\alpha_2\}\]

  • \(A_2\)의 루트 시스템을 \(\mathbb{R}^3\)안에서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 \(\alpha_1=(1,-1,0)\)
    • \(\alpha_2=(0,1,-1)\)
    • \(\alpha_3=\alpha_1+\alpha_2=(1,0,-1)\)
  • weights
    • \(\rho=(1,0,-1)\)
    • \(\omega_1=(\frac{2}{3},-\frac{1}{3},-\frac{1}{3})\)
    • \(\omega_2=(\frac{1}{3},\frac{1}{3},-\frac{2}{3})\)


유한차원 기약 표현의 분류

  • 유한차원 기약 표현 $V$에 대하여, 적당한 dominant weight $\omega=a\omega_1+b\omega_2,\quad a,b\in \mathbb{Z}_{\geq 0}$가 존재하여, $V\cong L(\omega)$가 성립
  • 바일 차원 공식(Weyl dimension formula)을 이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 \dim L(a\omega_1+b\omega_2)=\frac{1}{2} (a+1) (b+1) (a+b+2) $$


weight diagram

  • 아래의 그림에서 빨간색 원은 highest weight, 숫자는 각 weight 공간의 차원을 의미

예1

  • fundamental 표현, highest weight은 $\omega_1$
  • 3차원 표현

리대수 sl(3,C)의 유한차원 표현론1.png


예2

  • adjoint 표현, highest weight은 $\omega_1+\omega_2$
  • 8차원 표현

리대수 sl(3,C)의 유한차원 표현론2.png


예3

  • highest weight이 $3\omega_1+2\omega_2$로 주어진 기약표현
  • 42차원 표현

리대수 sl(3,C)의 유한차원 표현론3.png


매스매티카 파일 및 계산 리소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