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자연수의 합과 리만제타함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번째 줄: 1번째 줄:
<h5>간단한 소개</h5>
+
<h5>개여ㅛ</h5>
  
* <math>\zeta(-1)= -\frac{1}{12}</math>
+
<math>\zeta(-1)= -\frac{1}{12}</math>
  
* 즉 다음과 같은 (물리적?) 해석이 가능
+
*  다음과 같은 (물리적?) 해석이 가능
* <math>\sum_{n=1}^{\infty} n =1 + 2 + 3 + 4 + 5 +  \cdots = -\frac{1}{12}</math>
+
 
 +
<math>\sum_{n=1}^{\infty} n =1 + 2 + 3 + 4 + 5 +  \cdots = -\frac{1}{12}</math>
 +
 
 +
 
  
 
 
 
 
  
(엄밀한 증명)
+
<h5>증명</h5>
 +
 
 +
리만 제타함수가 만족시키는 다음 함수방정식을 이용한다.
  
리만 제타함수가 만족시키는 다음과 같은 함수방정식을 이용한다.
+
<math>\zeta(s)=2(2\pi)^{s-1}\Gamma(1-s)\sin(\frac{\pi s}{2})\zeta(1-s)</math>
  
<math>\zeta(s)=2(2\pi)^{s-1}\Gamma(1-s)\sin(\frac{\pi s}{2})\zeta(1-s)</math><br> 여기에 <math>s=-1</math> 을 대입하면, 다음을 얻는다.
+
여기에 <math>s=-1</math> 을 대입하면, 다음을 얻는다.
  
 
<math>\zeta(-1)=2(2\pi)^2\Gamma(2)\sin(-\frac{\pi}{2})\zeta(2)=\frac{2}{4\pi^2}(-1)\frac{\pi^2}{6}=-\frac{1}{12}</math>
 
<math>\zeta(-1)=2(2\pi)^2\Gamma(2)\sin(-\frac{\pi}{2})\zeta(2)=\frac{2}{4\pi^2}(-1)\frac{\pi^2}{6}=-\frac{1}{12}</math>
18번째 줄: 23번째 줄:
 
 
 
 
  
(물리학적(?) 증명)
+
<h5>물리학적(?) 증명</h5>
 
 
 
 
  
 
보조정리
 
보조정리
75번째 줄: 78번째 줄:
  
 
조금만 수정하면, 제대로 된 증명이 되도록 할 수 있음.
 
조금만 수정하면, 제대로 된 증명이 되도록 할 수 있음.
 
 
 
 
 
 
 
<h5>간단한 소개</h5>
 
  
 
 
 
 
174번째 줄: 171번째 줄:
 
<h5>블로그</h5>
 
<h5>블로그</h5>
  
 +
* [http://motls.blogspot.com/2007/09/zeta-function-regularization.html Zeta-function regularization]<br>
 +
** The Reference Frame
 +
** 2007-9-18
 
* 구글 블로그 검색 http://blogsearch.google.com/blogsearch?q=
 
* 구글 블로그 검색 http://blogsearch.google.com/blogsearch?q=
 
* 트렌비 블로그 검색 http://www.trenb.com/search.qst?q=
 
* 트렌비 블로그 검색 http://www.trenb.com/search.qst?q=

2009년 12월 24일 (목) 17:00 판

개여ㅛ

\(\zeta(-1)= -\frac{1}{12}\)

  •  다음과 같은 (물리적?) 해석이 가능

\(\sum_{n=1}^{\infty} n =1 + 2 + 3 + 4 + 5 + \cdots = -\frac{1}{12}\)

 

 

증명

리만 제타함수가 만족시키는 다음 함수방정식을 이용한다.

\(\zeta(s)=2(2\pi)^{s-1}\Gamma(1-s)\sin(\frac{\pi s}{2})\zeta(1-s)\)

여기에 \(s=-1\) 을 대입하면, 다음을 얻는다.

\(\zeta(-1)=2(2\pi)^2\Gamma(2)\sin(-\frac{\pi}{2})\zeta(2)=\frac{2}{4\pi^2}(-1)\frac{\pi^2}{6}=-\frac{1}{12}\)

 

물리학적(?) 증명

보조정리

\(1 - 2 + 3 - 4 + 5 - 6 + \cdots = \frac{1}{4}\)

(증명)
테일러정리에 의하면,

\(x-2x^2+3x^3-4x^4+\cdots=\frac{x}{(1+x)^2}\)

본래는 양변에 x=1을 넣는 것이 금지되어 있으나, 위에서 물리학이라고 했으므로 괜찮음.
그러므로,

\(1 - 2 + 3 - 4 + 5 - 6 + \cdots = \frac{1}{4}\)

(증명끝)

본론으로 돌아가서,

\(S=1 + 2 + 3 + 4 + 5 + 6 + \cdots\)

\(2S=2 + 4 + 6 + 8 + \cdots\)

\(4S =2 (2+4+6+8+\cdots)\)

그러므로,

\(1 - 2 + 3 - 4 + 5 - 6 + \cdots + 4S = 1 + 2 + 3 + 4 + 5 + 6 + \cdots= S\)

따라서,

\(-3S= 1 - 2 + 3 - 4 + 5 - 6 + \cdots =\frac{1}{4}\)

\(\sum_{n=1}^{\infty} n =1 + 2 + 3 + 4 + 5 + 6 + \cdots = -\frac{1}{12}\)

 

조금만 수정하면, 제대로 된 증명이 되도록 할 수 있음.

 

 

하위주제들

 

 

 

하위페이지

 

 

재미있는 사실

 

 

관련된 단원

 

 

많이 나오는 질문

 

관련된 고교수학 또는 대학수학

 

 

관련된 다른 주제들

 

 

관련도서 및 추천도서

 

참고할만한 자료

 

관련기사

 

 

블로그

 

이미지 검색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