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과 계수와의 관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잔글 (찾아 바꾸기 – “수학사연표” 문자열을 “수학사 연표” 문자열로)
1번째 줄: 1번째 줄:
==이 항목의 수학노트 원문주소==
 
 
 
 
 
 
 
 
 
==개요==
 
==개요==
  
* 다항식의 계수와 근이 서로 만족시키는 관계.
+
* 다항식의 계수와 근이 서로 만족시키는 관계
* 근을 구하지 않고, 근에 대한 정보를 어느 정도 알 있게 해줌.
+
* $n$차의 복소계수다항식
 +
:<math>P(x)=a_nx^n  + a_{n-1}x^{n-1} +\cdots + a_1 x+ a_0 \, </math>
 +
* [[대수학의 기본정리]]에 의해, $P(x)$는 $n$개의 복소수 근 $x_1,\cdots, x_n$을 갖는다
 +
* 근과 계수와의 관계는 다음을 말한다
 +
:<math>\begin{cases} x_1 + x_2 + \dots + x_{n-1} + x_n = -\tfrac{a_{n-1}}{a_n} \\
 +
(x_1 x_2 + x_1 x_3+\cdots + x_1x_n) + (x_2x_3+x_2x_4+\cdots + x_2x_n)+\cdots + x_{n-1}x_n = \frac{a_{n-2}}{a_n} \\
 +
{} \quad \vdots \\ x_1 x_2 \dots x_n = (-1)^n \tfrac{a_0}{a_n}. \end{cases}</math>
 +
* 다음과 같이 표현할 있다
 +
: <math>\sum_{1\le i_1 < i_2 < \cdots < i_k\le n} x_{i_1}x_{i_2}\cdots x_{i_k}=(-1)^k\frac{a_{n-k}}{a_n}</math>
  
 
 
  
 +
==예==
 +
* 다음은 중고등학교의 수학에 등장하는 근과 계수와의 관계이다
 +
===2차식===
 +
* 다항식 $ax^2+bx+c$의 근이 $\alpha, \beta$라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
$$
 +
\alpha+\beta=-\frac{b}{a},\quad \alpha\beta=\frac{c}{a}
 +
$$
 +
===3차식===
 +
* 다항식 $ax^3+bx^2+cx+d$의 근이 $\alpha, \beta,\gamma$라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
$$
 +
\alpha+\beta+\gamma=-\frac{b}{a},\quad \alpha\beta+\beta\gamma+\gamma\alpha=\frac{c}{a},\quad \alpha\beta\gamma=-\frac{d}{a}
 +
$$
 
 
 
 
  
37번째 줄: 50번째 줄:
 
 
 
 
  
 
 
 
 
 
 
==수학용어번역==
 
 
* 단어사전 http://www.google.com/dictionary?langpair=en|ko&q=
 
* 발음사전 http://www.forvo.com/search/
 
* [http://mathnet.kaist.ac.kr/mathnet/math_list.php?mode=list&ftype=&fstr= 대한수학회 수학 학술 용어집]<br>
 
** http://mathnet.kaist.ac.kr/mathnet/math_list.php?mode=list&ftype=eng_term&fstr=
 
* [http://www.nktech.net/science/term/term_l.jsp?l_mode=cate&s_code_cd=MA 남·북한수학용어비교]
 
* [http://kms.or.kr/home/kor/board/bulletin_list_subject.asp?bulletinid=%7BD6048897-56F9-43D7-8BB6-50B362D1243A%7D&boardname=%BC%F6%C7%D0%BF%EB%BE%EE%C5%E4%B7%D0%B9%E6&globalmenu=7&localmenu=4 대한수학회 수학용어한글화 게시판]
 
 
 
 
 
 
 
 
==사전 형태의 자료[http://mathworld.wolfram.com/VietasFormulas.html ]==
 
  
* [http://ko.wikipedia.org/wiki/%EA%B7%BC%EA%B3%BC_%EA%B3%84%EC%88%98%EC%9D%98_%EA%B4%80%EA%B3%84 http://ko.wikipedia.org/wiki/근과_계수의_관계]
+
==사전 형태의 자료==
* [http://en.wikipedia.org/wiki/Vieta%27s_formulas http://en.wikipedia.org/wiki/Vieta's_formulas]
+
* http://ko.wikipedia.org/wiki/근과_계수의_관계
* [http://eom.springer.de/default.htm The Online Encyclopaedia of Mathematics]<br>
+
* http://en.wikipedia.org/wiki/Vieta's_formulas
 +
* [http://eom.springer.de/default.htm The Online Encyclopaedia of Mathematics]
 
** [http://eom.springer.de/V/v096630.htm Viète theorem]
 
** [http://eom.springer.de/V/v096630.htm Viète theorem]
 
* http://mathworld.wolfram.com/VietasFormulas.html
 
* http://mathworld.wolfram.com/VietasFormulas.html
  
 
 
 
 
 
 
 
 
 
 
 
 
 
 
 
 
 
 
 
 
 
 
==링크==
 
  
* [http://www.ams.org/news/math-in-the-media/mathdigest-index Summaries of Media Coverage of Math]
 
 
[[분류:고교수학]]
 
[[분류:고교수학]]

2014년 1월 19일 (일) 20:58 판

개요

  • 다항식의 계수와 근이 서로 만족시키는 관계
  • $n$차의 복소계수다항식

\[P(x)=a_nx^n + a_{n-1}x^{n-1} +\cdots + a_1 x+ a_0 \, \]

  • 대수학의 기본정리에 의해, $P(x)$는 $n$개의 복소수 근 $x_1,\cdots, x_n$을 갖는다
  • 근과 계수와의 관계는 다음을 말한다

\[\begin{cases} x_1 + x_2 + \dots + x_{n-1} + x_n = -\tfrac{a_{n-1}}{a_n} \\ (x_1 x_2 + x_1 x_3+\cdots + x_1x_n) + (x_2x_3+x_2x_4+\cdots + x_2x_n)+\cdots + x_{n-1}x_n = \frac{a_{n-2}}{a_n} \\ {} \quad \vdots \\ x_1 x_2 \dots x_n = (-1)^n \tfrac{a_0}{a_n}. \end{cases}\]

  •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sum_{1\le i_1 < i_2 < \cdots < i_k\le n} x_{i_1}x_{i_2}\cdots x_{i_k}=(-1)^k\frac{a_{n-k}}{a_n}\]


  • 다음은 중고등학교의 수학에 등장하는 근과 계수와의 관계이다

2차식

  • 다항식 $ax^2+bx+c$의 근이 $\alpha, \beta$라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 \alpha+\beta=-\frac{b}{a},\quad \alpha\beta=\frac{c}{a} $$

3차식

  • 다항식 $ax^3+bx^2+cx+d$의 근이 $\alpha, \beta,\gamma$라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 \alpha+\beta+\gamma=-\frac{b}{a},\quad \alpha\beta+\beta\gamma+\gamma\alpha=\frac{c}{a},\quad \alpha\beta\gamma=-\frac{d}{a} $$  

역사

 

 

메모

 

 

관련된 항목들

 


사전 형태의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