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별식 (discriminant) 함수와 라마누잔의 타우 함수(tau function)"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Pythagoras0 (토론 | 기여) |
Pythagoras0 (토론 | 기여)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개요== |
+ | * 복소타원곡선의 판별식으로부터 weight이 12인 모듈라 형식 $\Delta(\tau)$이 얻어짐 | ||
+ | * 푸리에 전개 $\Delta(\tau)=\sum_{n=1}^{\infty}\tau(n)q^n$로부터 얻어지는 계수 $\tau(n)$를 라마누잔의 타우 함수라 하며, 이는 많은 흥미로운 수론적 성질을 가짐 | ||
− | |||
− | |||
− | |||
− | |||
− | |||
− | + | ==판별식 함수== | |
− | |||
− | == | + | ===타원곡선의 판별식=== |
− | * <math>\ | + | * <math>\tau\in \mathbb H</math> 에 대응되는 타원곡선 <math>y^2=4x^3-g_2(\tau)x-g_3(\tau)</math> 의 판별식은 다음과 주어짐.:<math>F(\tau)=g_2(\tau)^3-27g_3^2(\tau)</math> |
− | * <math>\ | + | * 정의에 따라 <math>F</math>는 weight 12인 모듈라 형식이 됨. |
+ | * 또한 cusp 형식이 됨.:<math>g_2(i\infty)=\frac{4\pi^4}{3}</math>, <math>g_3(i\infty)=\frac{8\pi^6}{27}</math> 이므로,:<math>F(i\infty)=(\frac{4\pi^4}{3})^3-27(\frac{8\pi^6}{27})^2=0</math> | ||
+ | * 이 함수의 <math>\tau=i\infty</math>에서의 푸리에 전개는:<math>g_2(\tau)^3-27g_3^2(\tau)=(2\pi)^{12}(q-24q+\cdots)</math> 로 주어짐. | ||
+ | * <math>g_2, g_3</math>에 대해서는 [[아이젠슈타인 급수(Eisenstein series)]] 항목을 참조 | ||
− | |||
− | |||
− | == | + | ===정의=== |
− | * | + | * <math>\Delta(\tau)=\frac{F(\tau)}{(2\pi)^{12}}= q-24q+252q^2\cdots</math> 를 discriminant 함수의 정의로 함. |
+ | * <math>\Delta(\tau)=\frac{1}{1728}(E_4^3-E_6^2)</math> 로 표현가능 | ||
− | + | ||
− | + | ||
− | == | + | ===모듈라 성질=== |
− | * | + | * 위에서 이미 언급했듯이, weight 12인 모듈라 형식이 됨:<math>\Delta \left( \frac {a\tau+b} {c\tau+d}\right) = \left(c\tau+d\right)^{12} \Delta(\tau)</math> |
− | + | ||
+ | |||
+ | ===무한곱 표현과 데데킨트 에타함수=== | ||
+ | |||
+ | * [[데데킨트 에타함수]]:<math>\eta(\tau) = q^{1/24} \prod_{n=1}^{\infty} (1-q^{n})</math> 의 24승으로 주어지는 함수는 weight 12인 cusp 형식이 되므로, discriminant 함수와 같게 됨. 즉,:<math>\Delta(\tau)=\eta(\tau)^{24}= q\prod_{n>0}(1-q^n)^{24}=q-24q+252q^2+\cdots</math> | ||
+ | |||
+ | |||
==라마누잔의 타우 함수== | ==라마누잔의 타우 함수== | ||
− | * discriminant 함수의 푸리에 급수에 등장하는 계수를 라마누잔의 타우함수로 정의함. 즉,:<math>\Delta(\tau)=q\prod_{n>0}(1-q^n)^{24}= \sum_{n=1}^{\infty}\tau(n)q^n</math> | + | * discriminant 함수의 푸리에 급수에 등장하는 계수를 라마누잔의 타우함수로 정의함. 즉,:<math>\Delta(\tau)=q\prod_{n>0}(1-q^n)^{24}= \sum_{n=1}^{\infty}\tau(n)q^n</math> |
+ | |||
+ | |||
− | + | ===수론적 성질=== | |
− | |||
− | |||
− | + | ===라마누잔의 추측=== | |
− | * | + | # 서로 소인 자연수 <math>m,n</math> 에 대하여, <math>\tau(mn)=\tau(m)\tau(n)</math> |
+ | # 소수 $p$와 자연수 $r$에 대하여, <math>\tau(p^{r + 1}) = \tau(p)\tau(p^r) - p^{11}\tau(p^{r - 1})</math> | ||
+ | # 소수 $p$에 대하여 <math>|\tau(p)| \leq 2p^{11/2}</math> | ||
+ | * 1917년 모델 (Mordell)이 처음 두 성질을 증명 | ||
+ | * 1974년 Deligne이 Weil 추측을 증명함으로써 해결됨 | ||
− | + | ||
− | + | ||
− | ==Lehmer의 추측== | + | ===Lehmer의 추측=== |
− | * 모든 <math>n\in \mathbb{N}</math>에 대하여 <math>\tau(n)\neq 0 </math>이다 | + | * 모든 <math>n\in \mathbb{N}</math>에 대하여 <math>\tau(n)\neq 0 </math>이다 |
− | * http://mathoverflow.net/questions/31058/the-vanishing-of-ramanujans-function-taun | + | * http://mathoverflow.net/questions/31058/the-vanishing-of-ramanujans-function-taun |
− | * 미해결 | + | * 미해결 |
− | + | ||
− | + | ||
==메모== | ==메모== | ||
− | * Hecke’s theory of Hecke operators | + | * Hecke’s theory of Hecke operators |
− | * Serre’s theory of modular l-adic Galois representations | + | * Serre’s theory of modular l-adic Galois representations |
− | * Ramanujan-Petersson Conjectures | + | * Ramanujan-Petersson Conjectures |
− | + | ||
− | + | ||
==관련된 항목들== | ==관련된 항목들== | ||
76번째 줄: | 84번째 줄: | ||
* [[데데킨트 에타함수]] | * [[데데킨트 에타함수]] | ||
* [[라마누잔(1887- 1920)]] | * [[라마누잔(1887- 1920)]] | ||
+ | * [[수론적 함수(산술함수, arithmetic function)]] | ||
+ | |||
− | + | ||
− | ==계산 리소스== | + | ==매스매티카 파일 및 계산 리소스== |
* http://oeis.org/A000594 | * http://oeis.org/A000594 | ||
* http://aleph.sagemath.org/?q=3a221ddb-d5ba-4c2e-9f0e-7446d8170b21&lang=sage | * http://aleph.sagemath.org/?q=3a221ddb-d5ba-4c2e-9f0e-7446d8170b21&lang=sage | ||
− | + | * http://mathworld.wolfram.com/TauFunction.html | |
− | |||
− | ==사전 | + | ==사전 형태의 자료== |
+ | * http://ko.wikipedia.org/wiki/ | ||
+ | * http://en.wikipedia.org/wiki/Ramanujan_tau_function | ||
+ | * http://en.wikipedia.org/wiki/Ramanujan–Petersson_conjecture | ||
+ | |||
− | + | ==리뷰, 에세이, 강의노트== | |
− | * | + | * Rankin, R. A. 1986. “Fourier Coefficients of Cusp Forms.” Mathematical Proceedings of the Cambridge Philosophical Society 100 (1): 5–29. doi:http://dx.doi.org/10.1017/S030500410006583X. |
− | |||
− | |||
− | |||
− | |||
− | |||
− | |||
− | |||
==관련논문== | ==관련논문== | ||
− | * [http://dx.doi.org/10.1215/S0012-7094-47-01436-1 The vanishing of Ramanujan’s τ(n)] | + | * Lehmer, D.H. [http://dx.doi.org/10.1215/S0012-7094-47-01436-1 The vanishing of Ramanujan’s τ(n)], Duke Math. J. 14, 429–433 (1947) |
− | + | * Mordell, L. J., [http://www.archive.org/stream/proceedingsofcam1920191721camb#page/n133 On Mr. Ramanujan's empirical expansions of modular functions], Cambr. Phil. Soc. Proc. 19, 117-124 (1917) | |
− | |||
− | * http://www. | ||
− |
2013년 8월 27일 (화) 01:52 판
개요
- 복소타원곡선의 판별식으로부터 weight이 12인 모듈라 형식 $\Delta(\tau)$이 얻어짐
- 푸리에 전개 $\Delta(\tau)=\sum_{n=1}^{\infty}\tau(n)q^n$로부터 얻어지는 계수 $\tau(n)$를 라마누잔의 타우 함수라 하며, 이는 많은 흥미로운 수론적 성질을 가짐
판별식 함수
타원곡선의 판별식
- \(\tau\in \mathbb H\) 에 대응되는 타원곡선 \(y^2=4x^3-g_2(\tau)x-g_3(\tau)\) 의 판별식은 다음과 주어짐.\[F(\tau)=g_2(\tau)^3-27g_3^2(\tau)\]
- 정의에 따라 \(F\)는 weight 12인 모듈라 형식이 됨.
- 또한 cusp 형식이 됨.\[g_2(i\infty)=\frac{4\pi^4}{3}\], \(g_3(i\infty)=\frac{8\pi^6}{27}\) 이므로,\[F(i\infty)=(\frac{4\pi^4}{3})^3-27(\frac{8\pi^6}{27})^2=0\]
- 이 함수의 \(\tau=i\infty\)에서의 푸리에 전개는\[g_2(\tau)^3-27g_3^2(\tau)=(2\pi)^{12}(q-24q+\cdots)\] 로 주어짐.
- \(g_2, g_3\)에 대해서는 아이젠슈타인 급수(Eisenstein series) 항목을 참조
정의
- \(\Delta(\tau)=\frac{F(\tau)}{(2\pi)^{12}}= q-24q+252q^2\cdots\) 를 discriminant 함수의 정의로 함.
- \(\Delta(\tau)=\frac{1}{1728}(E_4^3-E_6^2)\) 로 표현가능
모듈라 성질
- 위에서 이미 언급했듯이, weight 12인 모듈라 형식이 됨\[\Delta \left( \frac {a\tau+b} {c\tau+d}\right) = \left(c\tau+d\right)^{12} \Delta(\tau)\]
무한곱 표현과 데데킨트 에타함수
- 데데킨트 에타함수\[\eta(\tau) = q^{1/24} \prod_{n=1}^{\infty} (1-q^{n})\] 의 24승으로 주어지는 함수는 weight 12인 cusp 형식이 되므로, discriminant 함수와 같게 됨. 즉,\[\Delta(\tau)=\eta(\tau)^{24}= q\prod_{n>0}(1-q^n)^{24}=q-24q+252q^2+\cdots\]
라마누잔의 타우 함수
- discriminant 함수의 푸리에 급수에 등장하는 계수를 라마누잔의 타우함수로 정의함. 즉,\[\Delta(\tau)=q\prod_{n>0}(1-q^n)^{24}= \sum_{n=1}^{\infty}\tau(n)q^n\]
수론적 성질
라마누잔의 추측
- 서로 소인 자연수 \(m,n\) 에 대하여, \(\tau(mn)=\tau(m)\tau(n)\)
- 소수 $p$와 자연수 $r$에 대하여, \(\tau(p^{r + 1}) = \tau(p)\tau(p^r) - p^{11}\tau(p^{r - 1})\)
- 소수 $p$에 대하여 \(|\tau(p)| \leq 2p^{11/2}\)
- 1917년 모델 (Mordell)이 처음 두 성질을 증명
- 1974년 Deligne이 Weil 추측을 증명함으로써 해결됨
Lehmer의 추측
- 모든 \(n\in \mathbb{N}\)에 대하여 \(\tau(n)\neq 0 \)이다
- http://mathoverflow.net/questions/31058/the-vanishing-of-ramanujans-function-taun
- 미해결
메모
- Hecke’s theory of Hecke operators
- Serre’s theory of modular l-adic Galois representations
- Ramanujan-Petersson Conjectures
관련된 항목들
매스매티카 파일 및 계산 리소스
- http://oeis.org/A000594
- http://aleph.sagemath.org/?q=3a221ddb-d5ba-4c2e-9f0e-7446d8170b21&lang=sage
- http://mathworld.wolfram.com/TauFunction.html
사전 형태의 자료
- http://ko.wikipedia.org/wiki/
- http://en.wikipedia.org/wiki/Ramanujan_tau_function
- http://en.wikipedia.org/wiki/Ramanujan–Petersson_conjecture
리뷰, 에세이, 강의노트
- Rankin, R. A. 1986. “Fourier Coefficients of Cusp Forms.” Mathematical Proceedings of the Cambridge Philosophical Society 100 (1): 5–29. doi:http://dx.doi.org/10.1017/S030500410006583X.
관련논문
- Lehmer, D.H. The vanishing of Ramanujan’s τ(n), Duke Math. J. 14, 429–433 (1947)
- Mordell, L. J., On Mr. Ramanujan's empirical expansions of modular functions, Cambr. Phil. Soc. Proc. 19, 117-124 (1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