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정의 역사
imported>Pythagoras0님의 2014년 1월 1일 (수) 19:21 판
- http://www.amazon.com/World-Balance-Historic-Absolute-Measurement/dp/0393343545
- 중국 - 궁중의 예법으로서의 음악이 도량형의 표준 문제와 밀접하게 연계됨
86p
사회적 측면에서 국가 정체성이라는 개념은 도량형 통일과 점점 밀접한 관계가 되었다. 사회적 서열을 거부하고 공통의 '인류애'를 받아들이면서 도량형을 공유하고 공정하게 적용해야 하며 도량형을 악용하여 착취하는 중세의 악습을 철폐해야 한다는 생각이 커졌다. 쿨라는 공통의 인류애야말로 근대 이전의 유럽의 농업 국가가 측정 체계를 뜯어고칠 수 있었던 필요조건이었다고 주장한다. "인권 선언을 공포하고 봉건적 권리를 잀하고 시장 경제를 발전시키지 않고서는 도량형을 개혁할 수 없다." 거꾸로 보면 도량형을 개혁하지 않고서는 인류애라는 고귀한 이상을 떠받칠 수 없다. 쿨라가 말한다. "도량형의 표준화가 진척되는 과정은 매우, 어쩌면 가장 중요한 역사적 과정, 즉 인류의 연대가 굳건해지는 과정을 뚜렷이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