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벡터의 외적(cross product)"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30번째 줄: 30번째 줄: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2em;">성질</h5>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2em;">성질</h5>
  
*  bilinearity<br>
+
겹선형성 (bilinearity)<br>
 
* <math>\mathbf{a}\times\mathbf{b}=-(\mathbf{b}\times\mathbf{a})</math><br>
 
* <math>\mathbf{a}\times\mathbf{b}=-(\mathbf{b}\times\mathbf{a})</math><br>
 
* <math>\mathbf{a}\cdot(\mathbf{a}\times \mathbf{b}) = \mathbf{b}\cdot(\mathbf{a}\times \mathbf{b})=0</math>
 
* <math>\mathbf{a}\cdot(\mathbf{a}\times \mathbf{b}) = \mathbf{b}\cdot(\mathbf{a}\times \mathbf{b})=0</math>
61번째 줄: 61번째 줄:
 
** <math>\mathbf{a}\cdot(\mathbf{a}\times \mathbf{b}) = \mathbf{b}\cdot(\mathbf{a}\times \mathbf{b})=0</math>
 
** <math>\mathbf{a}\cdot(\mathbf{a}\times \mathbf{b}) = \mathbf{b}\cdot(\mathbf{a}\times \mathbf{b})=0</math>
 
**  라그랑지 항등식 <math>|\mathbf{a}\times\mathbf{b}|^{2}+|\mathbf{a}\cdot \mathbf{b}|^{2}=|\mathbf{a}}|^{2}|\mathbf{b}|^{2}</math><br>
 
**  라그랑지 항등식 <math>|\mathbf{a}\times\mathbf{b}|^{2}+|\mathbf{a}\cdot \mathbf{b}|^{2}=|\mathbf{a}}|^{2}|\mathbf{b}|^{2}</math><br>
*  이 세 조건을 만족시키는 <math>\mathbb{R}^{n}</math> 위에 정의된 이항연산이 존재한다면, <math>n=1,3,7</math> 이 성립한다. '''[Massey1983]''', '''[Walsh1967]''' 참조<br>
+
*  이 세 조건을 만족시키는 <math>\mathbb{R}^{n}</math> 위에 정의된 이항연산이 존재한다면, <math>n=1,3,7</math> 이 성립한다.<br>
 +
*  (증명) '''[Massey1983]''', '''[Walsh1967]''' 참조<br> 외적의 공리를 만족시키는 <math>\mathbb{R}^{n}</math> 위에 정의된 이항연산 x 가 존재한다고 하자. <math>\mathbb{R}^{n+1}</math> 위에 다음과 같은 이항연산을 정의할 수 있다.<br><math>(a,\mathbf{x)}\cdot(b,\mathbf{y)}:=(ab-\mathbf{x}\cdot\mathbf{y},a\mathbf{y}+b\mathbf{x}+\mathbf{x}\times\mathbf{y})</math><br> 그러면 다음의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br>  <br><math>(1,\mathbf{0)}\cdot(a,\mathbf{x)}=(a,\mathbf{x)}\cdot(1,\mathbf{0)}=(a,\mathbf{x)}</math><br><math>|(a,\mathbf{x)}\cdot(b,\mathbf{y)}|^2=|(a,\mathbf{x)}|^{2}|(b,\mathbf{y)}|^2</math> <br>
 
* [[1,2,4,8 과 1,3,7]] 항목 참조<br>
 
* [[1,2,4,8 과 1,3,7]] 항목 참조<br>
  
95번째 줄: 96번째 줄:
  
 
* [http://mathnet.kaist.ac.kr/mathnet/math_list.php?mode=list&ftype=&fstr= 대한수학회 수학 학술 용어집]<br>
 
* [http://mathnet.kaist.ac.kr/mathnet/math_list.php?mode=list&ftype=&fstr= 대한수학회 수학 학술 용어집]<br>
** http://mathnet.kaist.ac.kr/mathnet/math_list.php?mode=list&ftype=eng_term&fstr=
+
** http://mathnet.kaist.ac.kr/mathnet/math_list.php?mode=list&ftype=eng_term&fstr=bilinear
 
* [http://kms.or.kr/home/kor/board/bulletin_list_subject.asp?bulletinid=%7BD6048897-56F9-43D7-8BB6-50B362D1243A%7D&boardname=%BC%F6%C7%D0%BF%EB%BE%EE%C5%E4%B7%D0%B9%E6&globalmenu=7&localmenu=4 대한수학회 수학용어한글화 게시판]
 
* [http://kms.or.kr/home/kor/board/bulletin_list_subject.asp?bulletinid=%7BD6048897-56F9-43D7-8BB6-50B362D1243A%7D&boardname=%BC%F6%C7%D0%BF%EB%BE%EE%C5%E4%B7%D0%B9%E6&globalmenu=7&localmenu=4 대한수학회 수학용어한글화 게시판]
  

2010년 9월 16일 (목) 12:55 판

이 항목의 스프링노트 원문주소

 

 

개요
  • 삼차원 유클리드 공간의 두 벡터 \(\mathbf{a}, \mathbf{b}\)에 정의된 이항연산
  • 두 벡터에 수직이며, 크기가 \(|\mathbf{a}| |\mathbf{b}|\sin\theta\)인 벡터
  • 벡터의 크기는 두 벡터가 만드는 평행사변형의 넓이와 같게 됨

 

 

 

정의
  • 단위벡터 \(\mathbf{i}=(1,0,0), \mathbf{j}=(0,1,0), \mathbf{k}=(0,0,1)\)
  • 두 벡터 \(\mathbf a = (a_1, a_2, a_3)\)과 \(\mathbf b = (b_1, b_2, b_3)\)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됨
    \(\mathbf{a}\times\mathbf{b}=\det \begin{bmatrix} \mathbf{i} & \mathbf{j} & \mathbf{k} \\ a_1 & a_2 & a_3 \\ b_1 & b_2 & b_3 \\ \end{bmatrix}\)
    \(\mathbf{a}\times\mathbf{b}=(a_2b_3-a_3b_2,a_3b_1-a_1b_3,a_1b_2-a_2b_1)\)

 

 

성질
  • 겹선형성 (bilinearity)
  • \(\mathbf{a}\times\mathbf{b}=-(\mathbf{b}\times\mathbf{a})\)
  • \(\mathbf{a}\cdot(\mathbf{a}\times \mathbf{b}) = \mathbf{b}\cdot(\mathbf{a}\times \mathbf{b})=0\)
  • 라그랑지 항등식
    \(|\mathbf{a}\times\mathbf{b}|^{2}+|\mathbf{a}\cdot \mathbf{b}|^{2}=|\mathbf{a}}|^{2}|\mathbf{b}|^{2}\)
  • 벡터 삼중곱 (라그랑지 공식)
    \(\mathbf{a}\times (\mathbf{b}\times \mathbf{c}) = (\mathbf{a}\cdot\mathbf{c})\mathbf{b} - (\mathbf{a}\cdot\mathbf{b})\mathbf{c}\)
  • 스칼라 삼중곱
    \(\mathbf{a}\cdot(\mathbf{b}\times \mathbf{c})= \mathbf{b}\cdot(\mathbf{c}\times \mathbf{a})= \mathbf{c}\cdot(\mathbf{a}\times \mathbf{b}) = \begin{vmatrix} a_1 & a_2 & a_3 \\ b_1 & b_2 & b_3 \\ c_1 & c_2 & c_3 \\ \end{vmatrix}\)

 

 

사원수와의 관계
  • 사원수의 곱셈은 3차원 벡터의 내적, 외적과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 사원수 \(a+x_1i+x_2j+x_3k\)를 \(\mathbf{x}=(x_1,x_2,x_3)\)로 두어 \((a,\mathbf{x)}\)로 쓰자.
  • \((a+x_1i+x_2j+x_3k)\cdot (b+y_1i+y_2j+y_3k)=(a,\mathbf{x)}\cdot(b,\mathbf{y)}=(ab-\mathbf{x}\cdot\mathbf{y},a\mathbf{y}+b\mathbf{x}+\mathbf{x}\times\mathbf{y})\)
  • 여기서 \(\times\) 는 3차원 벡터의 외적

 

 

외적의 일반화
  • 외적의 공리
    • bilinearity
    • \(\mathbf{a}\cdot(\mathbf{a}\times \mathbf{b}) = \mathbf{b}\cdot(\mathbf{a}\times \mathbf{b})=0\)
    • 라그랑지 항등식 \(|\mathbf{a}\times\mathbf{b}|^{2}+|\mathbf{a}\cdot \mathbf{b}|^{2}=|\mathbf{a}}|^{2}|\mathbf{b}|^{2}\)
  • 이 세 조건을 만족시키는 \(\mathbb{R}^{n}\) 위에 정의된 이항연산이 존재한다면, \(n=1,3,7\) 이 성립한다.
  • (증명) [Massey1983], [Walsh1967] 참조
    외적의 공리를 만족시키는 \(\mathbb{R}^{n}\) 위에 정의된 이항연산 x 가 존재한다고 하자. \(\mathbb{R}^{n+1}\) 위에 다음과 같은 이항연산을 정의할 수 있다.
    \((a,\mathbf{x)}\cdot(b,\mathbf{y)}:=(ab-\mathbf{x}\cdot\mathbf{y},a\mathbf{y}+b\mathbf{x}+\mathbf{x}\times\mathbf{y})\)
    그러면 다음의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1,\mathbf{0)}\cdot(a,\mathbf{x)}=(a,\mathbf{x)}\cdot(1,\mathbf{0)}=(a,\mathbf{x)}\)
    \(|(a,\mathbf{x)}\cdot(b,\mathbf{y)}|^2=|(a,\mathbf{x)}|^{2}|(b,\mathbf{y)}|^2\) 
  • 1,2,4,8 과 1,3,7 항목 참조

 

 

재미있는 사실

 

 

역사

 

 

관련된 항목들

 

 

수학용어번역

 

사전 형태의 자료

 

 

관련논문

 

관련도서 및 추천도서

 

 

관련기사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