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리클레 유수 (class number) 공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section '관련논문' added)
3번째 줄: 3번째 줄:
 
:<math> \lim_{s\to 1} (s-1)\zeta_K(s)=\frac{2^{r_1}\cdot(2\pi)^{r_2}\cdot h_K\cdot \operatorname{Reg}_K}{w_K \cdot \sqrt{|d_K|}}</math>
 
:<math> \lim_{s\to 1} (s-1)\zeta_K(s)=\frac{2^{r_1}\cdot(2\pi)^{r_2}\cdot h_K\cdot \operatorname{Reg}_K}{w_K \cdot \sqrt{|d_K|}}</math>
 
* 기호  
 
* 기호  
** $r_1$는 real embedding 의 개수,  $2r_2$는 complex embedding의 개수
+
** <math>r_1</math>는 real embedding 의 개수,  <math>2r_2</math>는 complex embedding의 개수
 
** <math>h_K</math> 는 class number
 
** <math>h_K</math> 는 class number
 
** <math>w_K</math>는 <math>K</math>에 있는 1의 단위원 개수
 
** <math>w_K</math>는 <math>K</math>에 있는 1의 단위원 개수
 
** <math>d_K</math>는 <math>K</math>의 판별식(discriminant)
 
** <math>d_K</math>는 <math>K</math>의 판별식(discriminant)
** $\operatorname{Reg}_K$는 regulator
+
** <math>\operatorname{Reg}_K</math>는 regulator
  
  

2020년 11월 16일 (월) 04:17 판

개요

  • 디리클레의 유수 공식은 수체의 유수(class number)를 비롯한 여러 불변량과 \(\zeta_{K}(s)\)의 \(s=1\)에서의 residue 사이의 관계를 표현

\[ \lim_{s\to 1} (s-1)\zeta_K(s)=\frac{2^{r_1}\cdot(2\pi)^{r_2}\cdot h_K\cdot \operatorname{Reg}_K}{w_K \cdot \sqrt{|d_K|}}\]

  • 기호
    • \(r_1\)는 real embedding 의 개수, \(2r_2\)는 complex embedding의 개수
    • \(h_K\) 는 class number
    • \(w_K\)는 \(K\)에 있는 1의 단위원 개수
    • \(d_K\)는 \(K\)의 판별식(discriminant)
    • \(\operatorname{Reg}_K\)는 regulator


데데킨트 제타함수

\[\zeta_{K}(s)=\sum_{I \text{:ideals}}\frac{1}{N(I)^s}=\prod_{\wp \text{:prime ideals}} \frac{1}{1-N(\wp)^{-s}}\]


메모


관련된 항목들


수학용어번역

  • class - 대한수학회 수학용어집


사전형태의 자료

관련논문

  • Bruce W. Jordan, Bjorn Poonen, The analytic class number formula for orders in products of number fields, arXiv:1604.04564 [math.NT], April 15 2016, http://arxiv.org/abs/1604.045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