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코비의 네 제곱수 정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ythagoras0 (토론 | 기여)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개요== | |
− | * [[ | + | * [[라그랑지의 네 제곱수 정리]]는 모든 자연수는 네 개의 제곱수의 합으로 표현가능함을 말해준다 |
+ | * 자코비는 [[자코비 세타함수]] 를 이용하여 주어진 자연수가 네 개의 제곱수의 합으로 얼마나 많은 방법으로 표현가능한지의 문제를 해결 | ||
+ | * 모듈라 형식의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 ||
− | + | ||
− | + | ==세타함수와 네 제곱수의 합== | |
+ | * 네 제곱수의 합으로 표현하는 방법의 수에 대한 생성함수로서 세타함수를 사용 | ||
+ | * [[자코비 세타함수]] | ||
+ | :<math>\theta_3(\tau)=\sum_{n=-\infty}^\infty q^{n^2/2}= \sum_{n=-\infty}^\infty e^{\pi i n^2\tau},\quad q=e^{2\pi i \tau}</math> | ||
+ | * <math>x=e^{\pi i \tau}</math> 로 두면,:<math>\theta(x)=\sum_{n=-\infty}^\infty x^{n^2}=1+2\sum_{n=1}^\infty x^{n^2}</math> | ||
+ | * 세타함수의 네 제곱을 취하면 자연수를 네 제곱으로 표현하는 방법에 대한 [[생성함수]]를 얻는다 | ||
+ | :<math> | ||
+ | \begin{aligned} | ||
+ | \theta^4(x)& =(\sum_{n=-\infty}^\infty x^{n^2})^4=(1+2\sum_{n=1}^\infty x^{n^2})^4=1+\sum_{n=1}^\infty r_4(n)x^n \\ | ||
+ | & =1 + 8 x + 24 x^2 + 32 x^3 + 24 x^4 + 48 x^5 + 96 x^6 + 64 x^7 + 24 x^8+\cdots | ||
+ | \end{aligned} | ||
+ | </math> | ||
+ | 여기서 <math>r_4(n)</math> 는 <math>x_1^2+x_2^2+x_3^2+x_4^2=n</math>의 정수해 <math>(x_1,x_2,x_3,x_4)</math>의 개수, 즉 자연수 <math>n</math>을 네 정수의 제곱의 합으로 쓰는 방법의 수 | ||
+ | ;정리 | ||
+ | :<math>r_4(n)=8\sum_{m|n,4\nmid m}m</math> | ||
+ | |||
− | + | ||
− | + | ===예=== | |
− | |||
− | |||
− | + | * <math>r_4(1)=8</math>:<math>(\pm1)^2+0^2+0^2+0^2=1</math>이므로 :<math>2\times {4\choose 1}=8</math> | |
+ | * <math>r_4(2)=24</math>:<math>(\pm1)^2+(\pm1)^2+0^2+0^2=2</math> ... 으로부터:<math>4\times {4\choose 2}=24</math> | ||
+ | * <math>r_4(3)=32</math>:<math>(\pm1)^2+(\pm1)^2+(\pm1)^2+0^2=3</math> ... 으로부터:<math>8\times {4\choose 1}=32</math> | ||
− | + | ||
− | < | + | * <math>r_4(4)=24</math>:<math>(\pm1)^2+(\pm1)^2+(\pm1)^2+(\pm1)^2=(\pm2)^2+0^2+0^2+0^2=4</math> ... 으로부터:<math>16+2 \times {4\choose 1}=24</math> |
− | |||
− | |||
− | + | ==모듈라 형식을 이용한 증명== | |
+ | 아래에서 <math>q=e^{2\pi i \tau}</math>, <math>x=e^{\pi i \tau}</math> 이다. | ||
+ | <math>r_4(n)</math>의 생성함수를 세타함수의 거듭제곱으로 나타내자. | ||
+ | :<math>\theta^4(x)=(\sum_{n=-\infty}^\infty x^{n^2})^4=(1+2\sum_{n=1}^\infty x^{n^2})^4=1+\sum_{n=1}^\infty r_4(n)x^n</math> | ||
+ | 세타함수의 [[데데킨트 에타함수]] 표현을 이용하자. ([[자코비 세타함수]]의 해당부분 참조) | ||
+ | :<math>\theta(\tau)=\frac{\eta(\tau)^5}{\eta(2\tau)^2\eta(\frac{\tau}{2})^2}</math> | ||
+ | :<math>\theta^4(\tau)=\frac{\eta(\tau)^{20}}{\eta(2\tau)^{8}\eta(\frac{\tau}{2})^{8}}</math> | ||
+ | <math>\theta^4(\tau)</math>는 군 <math>\Gamma(2)</math>에 대한 weight 2인 [[모듈라 형식(modular forms)]]이다. | ||
+ | 한편 <math>\frac{\eta(2\tau)^8}{\eta(\frac{\tau}{2})^8}</math>는 <math>\Gamma(2)</math>에 대한 모듈라 함수이다. | ||
+ | 적당한 상수 <math>c</math>에 대하여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 | ||
+ | :<math>\frac{d}{d\tau}\log \frac{\eta(2\tau)}{\eta(\frac{\tau}{2})}=c\frac{\eta(\tau)^{20}}{\eta(2\tau)^{8}\eta(\frac{\tau}{2})^{8}}=c\theta^4(\tau)</math> | ||
+ | 이제 | ||
+ | :<math>\frac{\eta(2\tau)^8}{\eta(\frac{\tau}{2})^8}=x\prod_{n=1}^{\infty}\frac{(1-x^{4n})^8}{(1-x^{n})^8}</math>에 미분연산자 <math>x\frac{d}{dx}\log</math>(즉 로그를 취한뒤, 미분 후, x 곱하기) 을 취하면, | ||
+ | :<math>1+8\sum_{n=1}^{\infty}\frac{nx^n}{1-x^n}-8\sum_{n=1}^{\infty}\frac{4nx^{4n}}{1-x^{4n}}=1+8\sum_{n=1}^{\infty}(\sum_{d|n,4\nmid d}d)q^n</math>를 얻는다. | ||
+ | 따라서 :<math>r_4(n)=8\sum_{d|n,4\nmid d}d.</math>■ | ||
− | + | ==타원함수론을 이용한 증명== | |
+ | :<math>\theta^4(q)=(\sum_{n=-\infty}^\infty q^{n^2})^4=(1+2\sum_{n=1}^\infty q^{n^2})^4=1+\sum_{n=1}^\infty r_4(n)q^n</math> | ||
+ | :<math>A(q)=\sum_{m=1}^{\infty}\frac{mq^m}{1-q^m}=\sum_{m=1}^{\infty}{mq^m}(1+q^m+q^{2m}+\cdots)=\sum_{n=1}^{\infty}\sigma(n)q^n</math> | ||
+ | 여기서 <math>\sigma(n)</math> 에 대해서는 [[자연수의 약수의 합]] 항목 참조. | ||
+ | :<math>B(q)=\sum_{m=1}^{\infty}\frac{(1+(-1)^m)}{2}\cdot \frac{2mq^{2m}}{1-q^{2m}}=\sum_{m=1}^{\infty}\frac{(1+(-1)^m)}{2}\cdot{2mq^{2m}}(1+q^{2m}+q^{4m}+\cdots)=\sum_{m=1,n=1}^{\infty}m(1+(-1)^m){q^{2mn}}= \sum_{n=1}^{\infty}(\sum_{d|n,4|d}d)q^n</math> | ||
+ | 이제 <math>\theta^4(q)=1+8A(q)-8B(q)</math> 를 증명하면 된다. | ||
− | + | ||
− | + | ==역사== | |
− | |||
− | |||
− | + | * [[수학사 연표]] | |
− | + | ||
− | + | ||
− | |||
− | |||
+ | ==메모== | ||
[[자코비 세타함수]]의 삼중곱 정리로부터, 다음을 얻는다. | [[자코비 세타함수]]의 삼중곱 정리로부터,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math>\theta(\tau)=\sum_{n=-\infty}^\infty x^{n^2}=\prod_{m=1}^\infty \left( 1 - x^{2m}\right) \left( 1 + x^{2m-1}\right) \left( 1 + x^{2m-1}\right)</math> | <math>\theta(\tau)=\sum_{n=-\infty}^\infty x^{n^2}=\prod_{m=1}^\infty \left( 1 - x^{2m}\right) \left( 1 + x^{2m-1}\right) \left( 1 + x^{2m-1}\right)</math> | ||
− | + | 여기서 <math>x=e^{\pi i \tau}</math>.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관련된 항목들== | |
− | + | * [[라그랑지의 네 제곱수 정리]] | |
+ | * [[아이젠슈타인 급수(Eisenstein series)]] | ||
+ | * [[자연수의 약수의 합]] | ||
+ | * [[자코비 세타함수]] | ||
− | |||
− | * | + | ==계산 리소스== |
− | + | * https://docs.google.com/file/d/0B8XXo8Tve1cxUHlpRnYtSU8yNEE/edit | |
− | * | + | * http://aleph.sagemath.org/?q=329834bd-a2df-4abe-aa26-2ff806674362&lang=sage |
− | + | * [http://aleph.sagemath.org/?q=899fa122-c523-422d-8a14-03a071dd1f4c&lang=sage 헤케 연산자] | |
+ | * http://oeis.org/A000118 | ||
− | + | ||
− | + | ==관련논문== | |
+ | * [http://www.jstor.org/stable/2043837 A Simple Derivation of Jacobi's Four-Square Formula] | ||
+ | ** John A. Ewell, 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Vol. 85, No. 3 (Jul., 1982), pp. 323-326 | ||
− | |||
− | + | [[분류:초등정수론]] | |
− | |||
− | |||
− |
2020년 12월 28일 (월) 02:53 기준 최신판
개요
- 라그랑지의 네 제곱수 정리는 모든 자연수는 네 개의 제곱수의 합으로 표현가능함을 말해준다
- 자코비는 자코비 세타함수 를 이용하여 주어진 자연수가 네 개의 제곱수의 합으로 얼마나 많은 방법으로 표현가능한지의 문제를 해결
- 모듈라 형식의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세타함수와 네 제곱수의 합
- 네 제곱수의 합으로 표현하는 방법의 수에 대한 생성함수로서 세타함수를 사용
- 자코비 세타함수
\[\theta_3(\tau)=\sum_{n=-\infty}^\infty q^{n^2/2}= \sum_{n=-\infty}^\infty e^{\pi i n^2\tau},\quad q=e^{2\pi i \tau}\]
- \(x=e^{\pi i \tau}\) 로 두면,\[\theta(x)=\sum_{n=-\infty}^\infty x^{n^2}=1+2\sum_{n=1}^\infty x^{n^2}\]
- 세타함수의 네 제곱을 취하면 자연수를 네 제곱으로 표현하는 방법에 대한 생성함수를 얻는다
\[ \begin{aligned} \theta^4(x)& =(\sum_{n=-\infty}^\infty x^{n^2})^4=(1+2\sum_{n=1}^\infty x^{n^2})^4=1+\sum_{n=1}^\infty r_4(n)x^n \\ & =1 + 8 x + 24 x^2 + 32 x^3 + 24 x^4 + 48 x^5 + 96 x^6 + 64 x^7 + 24 x^8+\cdots \end{aligned} \] 여기서 \(r_4(n)\) 는 \(x_1^2+x_2^2+x_3^2+x_4^2=n\)의 정수해 \((x_1,x_2,x_3,x_4)\)의 개수, 즉 자연수 \(n\)을 네 정수의 제곱의 합으로 쓰는 방법의 수
- 정리
\[r_4(n)=8\sum_{m|n,4\nmid m}m\]
예
- \(r_4(1)=8\)\[(\pm1)^2+0^2+0^2+0^2=1\]이므로 \[2\times {4\choose 1}=8\]
- \(r_4(2)=24\)\[(\pm1)^2+(\pm1)^2+0^2+0^2=2\] ... 으로부터\[4\times {4\choose 2}=24\]
- \(r_4(3)=32\)\[(\pm1)^2+(\pm1)^2+(\pm1)^2+0^2=3\] ... 으로부터\[8\times {4\choose 1}=32\]
- \(r_4(4)=24\)\[(\pm1)^2+(\pm1)^2+(\pm1)^2+(\pm1)^2=(\pm2)^2+0^2+0^2+0^2=4\] ... 으로부터\[16+2 \times {4\choose 1}=24\]
모듈라 형식을 이용한 증명
아래에서 \(q=e^{2\pi i \tau}\), \(x=e^{\pi i \tau}\) 이다. \(r_4(n)\)의 생성함수를 세타함수의 거듭제곱으로 나타내자. \[\theta^4(x)=(\sum_{n=-\infty}^\infty x^{n^2})^4=(1+2\sum_{n=1}^\infty x^{n^2})^4=1+\sum_{n=1}^\infty r_4(n)x^n\] 세타함수의 데데킨트 에타함수 표현을 이용하자. (자코비 세타함수의 해당부분 참조) \[\theta(\tau)=\frac{\eta(\tau)^5}{\eta(2\tau)^2\eta(\frac{\tau}{2})^2}\] \[\theta^4(\tau)=\frac{\eta(\tau)^{20}}{\eta(2\tau)^{8}\eta(\frac{\tau}{2})^{8}}\] \(\theta^4(\tau)\)는 군 \(\Gamma(2)\)에 대한 weight 2인 모듈라 형식(modular forms)이다. 한편 \(\frac{\eta(2\tau)^8}{\eta(\frac{\tau}{2})^8}\)는 \(\Gamma(2)\)에 대한 모듈라 함수이다. 적당한 상수 \(c\)에 대하여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 \[\frac{d}{d\tau}\log \frac{\eta(2\tau)}{\eta(\frac{\tau}{2})}=c\frac{\eta(\tau)^{20}}{\eta(2\tau)^{8}\eta(\frac{\tau}{2})^{8}}=c\theta^4(\tau)\] 이제 \[\frac{\eta(2\tau)^8}{\eta(\frac{\tau}{2})^8}=x\prod_{n=1}^{\infty}\frac{(1-x^{4n})^8}{(1-x^{n})^8}\]에 미분연산자 \(x\frac{d}{dx}\log\)(즉 로그를 취한뒤, 미분 후, x 곱하기) 을 취하면, \[1+8\sum_{n=1}^{\infty}\frac{nx^n}{1-x^n}-8\sum_{n=1}^{\infty}\frac{4nx^{4n}}{1-x^{4n}}=1+8\sum_{n=1}^{\infty}(\sum_{d|n,4\nmid d}d)q^n\]를 얻는다. 따라서 \[r_4(n)=8\sum_{d|n,4\nmid d}d.\]■
타원함수론을 이용한 증명
\[\theta^4(q)=(\sum_{n=-\infty}^\infty q^{n^2})^4=(1+2\sum_{n=1}^\infty q^{n^2})^4=1+\sum_{n=1}^\infty r_4(n)q^n\] \[A(q)=\sum_{m=1}^{\infty}\frac{mq^m}{1-q^m}=\sum_{m=1}^{\infty}{mq^m}(1+q^m+q^{2m}+\cdots)=\sum_{n=1}^{\infty}\sigma(n)q^n\] 여기서 \(\sigma(n)\) 에 대해서는 자연수의 약수의 합 항목 참조. \[B(q)=\sum_{m=1}^{\infty}\frac{(1+(-1)^m)}{2}\cdot \frac{2mq^{2m}}{1-q^{2m}}=\sum_{m=1}^{\infty}\frac{(1+(-1)^m)}{2}\cdot{2mq^{2m}}(1+q^{2m}+q^{4m}+\cdots)=\sum_{m=1,n=1}^{\infty}m(1+(-1)^m){q^{2mn}}= \sum_{n=1}^{\infty}(\sum_{d|n,4|d}d)q^n\] 이제 \(\theta^4(q)=1+8A(q)-8B(q)\) 를 증명하면 된다.
역사
메모
자코비 세타함수의 삼중곱 정리로부터, 다음을 얻는다. \(\theta(\tau)=\sum_{n=-\infty}^\infty x^{n^2}=\prod_{m=1}^\infty \left( 1 - x^{2m}\right) \left( 1 + x^{2m-1}\right) \left( 1 + x^{2m-1}\right)\)
여기서 \(x=e^{\pi i \tau}\).
관련된 항목들
계산 리소스
- https://docs.google.com/file/d/0B8XXo8Tve1cxUHlpRnYtSU8yNEE/edit
- http://aleph.sagemath.org/?q=329834bd-a2df-4abe-aa26-2ff806674362&lang=sage
- 헤케 연산자
- http://oeis.org/A000118
관련논문
- A Simple Derivation of Jacobi's Four-Square Formula
- John A. Ewell, 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Vol. 85, No. 3 (Jul., 1982), pp. 323-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