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n면체의 각도에 관하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8번째 줄: 8번째 줄:
 
:<math>\theta=\cos^{-1}\left(-\frac{1}{3}\right)\approx 1.91 \approx 109.5^\circ</math>
 
:<math>\theta=\cos^{-1}\left(-\frac{1}{3}\right)\approx 1.91 \approx 109.5^\circ</math>
  
이 문제를 아주 깔끔하게 푼 걸 찾았는데요, 싸이트 이름은 1073741824.org이고 [http://1073741824.org/index.cgi/TetrahedronAngles 여기]를 눌러서 보세요. 이걸 보셔야 아래 내용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이 문제를 아주 깔끔하게 푼 걸 찾았는데요, 싸이트 이름은 1073741824.org이고 [http://1073741824.org/index.cgi/TetrahedronAngles 여기]를 눌러서 보세요. 이걸 보셔야 아래 내용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제 n이 3보다 큰 경우...인데 머리가 복잡해지죠;;; 간단히 생각해보면, 각 점들의 최적의 위치는 n차원 공간에서는 정n+1다면체의 꼭지점들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위 싸이트의 풀이를 나이브하게 적용해보면 다음 결과를 추측할 수 있습니다.
 
이제 n이 3보다 큰 경우...인데 머리가 복잡해지죠;;; 간단히 생각해보면, 각 점들의 최적의 위치는 n차원 공간에서는 정n+1다면체의 꼭지점들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위 싸이트의 풀이를 나이브하게 적용해보면 다음 결과를 추측할 수 있습니다.
 
:<math>\theta=\cos^{-1}\left(-\frac{1}{n}\right)</math>
 
:<math>\theta=\cos^{-1}\left(-\frac{1}{n}\right)</math>
  
n을 무한대로 보내면 θ는 π/2가 됩니다. 좀더 직관적으로(?) 생각하기 위해 n=2에서 n=3으로 넘어갈 때를 봅시다. 그냥 처음부터 3차원 공간의 단위구 위에서 점이 3개였다가 4개로 늘어난다고 생각합시다. 점 3개만 있는 경우 이들이 서로 멀리 떨어지려고 한다면 대원 위에 있겠죠. 물론 정삼각형을 이루면서 말입니다. 그중 한 점의 위치를 고정시켰다고 해요. 나머지 두 점을 잇는 직선은 고정된 점과 원점을 잇는 직선에 수직이고요. 원점과 이 직선 사이의 거리가 위 답 중에 1/n, 즉 1/2에 해당합니다.
+
n을 무한대로 보내면 θ는 π/2가 됩니다. 좀더 직관적으로(?) 생각하기 위해 n=2에서 n=3으로 넘어갈 때를 봅시다. 그냥 처음부터 3차원 공간의 단위구 위에서 점이 3개였다가 4개로 늘어난다고 생각합시다. 3개만 있는 경우 이들이 서로 멀리 떨어지려고 한다면 대원 위에 있겠죠. 물론 정삼각형을 이루면서 말입니다. 그중 한 점의 위치를 고정시켰다고 해요. 나머지 두 점을 잇는 직선은 고정된 점과 원점을 잇는 직선에 수직이고요. 원점과 이 직선 사이의 거리가 위 답 중에 1/n, 즉 1/2에 해당합니다.
  
 
그 상태에서 점을 하나 추가합니다. 고정된 놈 말고 나머지 두 놈은 새로 들어온 놈하고 멀어지려 할테고 그러다보면 이 놈들끼리도 정삼각형을 만들 겁니다. 이 정삼각형은 고정된 놈과 원점을 잇는 직선에 수직이겠죠. 물론 고정된 놈과의 관계까지 고려해야 하는데, 그러다보면 이 새 정삼각형과 원점 사이의 거리는 1/3이 됩니다. 이 거리가 줄어들수록 고정된 놈과 다른 놈들 사이의 각도도 줄어들고 위에 쓴대로 1/n이라고 가정한다면 결국 n이 무한대일 때 θ는 π/2가 되겠죠.
 
그 상태에서 점을 하나 추가합니다. 고정된 놈 말고 나머지 두 놈은 새로 들어온 놈하고 멀어지려 할테고 그러다보면 이 놈들끼리도 정삼각형을 만들 겁니다. 이 정삼각형은 고정된 놈과 원점을 잇는 직선에 수직이겠죠. 물론 고정된 놈과의 관계까지 고려해야 하는데, 그러다보면 이 새 정삼각형과 원점 사이의 거리는 1/3이 됩니다. 이 거리가 줄어들수록 고정된 놈과 다른 놈들 사이의 각도도 줄어들고 위에 쓴대로 1/n이라고 가정한다면 결국 n이 무한대일 때 θ는 π/2가 되겠죠.
  
 
하지만 이 나이브한 가정은 n=4에서부터 맞지 않습니다. 4차원 공간의 단위[http://exactitude.tistory.com/767 초구] 위의 5개의 점들의 위치를 아래처럼 씁니다.
 
하지만 이 나이브한 가정은 n=4에서부터 맞지 않습니다. 4차원 공간의 단위[http://exactitude.tistory.com/767 초구] 위의 5개의 점들의 위치를 아래처럼 씁니다.
$$
+
:<math>
 
v_i =(\cos\theta_i,\sin\theta_i\cos\phi_i,\sin\theta_i\sin\phi_i\cos\alpha_i,\sin\theta_i\sin\phi_i\sin\alpha_i)\\ v_5=(1,0,0,0)
 
v_i =(\cos\theta_i,\sin\theta_i\cos\phi_i,\sin\theta_i\sin\phi_i\cos\alpha_i,\sin\theta_i\sin\phi_i\sin\alpha_i)\\ v_5=(1,0,0,0)
$$
+
</math>
  
 
i는 1부터 4까지입니다. 위에서 '고정된 놈'이 여기서는 5번 점입니다. 4차원 공간 위의 정5면체(이런게 존재하나요?;;)라고 하면 여기서 모든 θ<sub>i</sub>는 θ로 같다고 해도 됩니다. 나머지 φ들과 α들은 n=2,3인 경우에 얻은 결과를 그대로 이용합니다. 위에서 n=2에서 n=3으로 넘어가면서 고정된 놈을 제외하고 정삼각형이 다시 만들어진 것처럼 말이죠. 여튼 최소화하려는 함수를 다음처럼 씁니다.
 
i는 1부터 4까지입니다. 위에서 '고정된 놈'이 여기서는 5번 점입니다. 4차원 공간 위의 정5면체(이런게 존재하나요?;;)라고 하면 여기서 모든 θ<sub>i</sub>는 θ로 같다고 해도 됩니다. 나머지 φ들과 α들은 n=2,3인 경우에 얻은 결과를 그대로 이용합니다. 위에서 n=2에서 n=3으로 넘어가면서 고정된 놈을 제외하고 정삼각형이 다시 만들어진 것처럼 말이죠. 여튼 최소화하려는 함수를 다음처럼 씁니다.

2020년 12월 28일 (월) 04:00 기준 최신판

친구 블로그에서 재미있는 문제를 발견하여 조금 풀어봤습니다. 문제를 제가 이해한대로 다시 정리하면, n차원 공간 위에 n+1개의 점이 원점을 중심으로 반지름이 1인 초구 위에 놓여 있는데 이 점들은 모두 서로에게서 최대한 멀리 떨어져 있으려고 합니다. 이때 가까운 두 점 사이의 각도 θ는 얼마일까?가 문제입니다. 각 점의 위치로 벡터를 정의하면, 두 점 사이의 각도는 두 벡터 사이의 각도를 뜻합니다.

n=1인 경우 각 점의 위치는 -1과 +1이고 θ는 π겠죠.

n=2인 경우 단위원에 내접하는 정삼각형의 꼭지점들이 답이며, 이때 θ는 2π/3입니다.

n=3인 경우 단위구에 내접하는 정사면체의 꼭지점들이 답이며, 각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theta=\cos^{-1}\left(-\frac{1}{3}\right)\approx 1.91 \approx 109.5^\circ\]

이 문제를 아주 깔끔하게 푼 걸 찾았는데요, 싸이트 이름은 1073741824.org이고 여기를 눌러서 보세요. 이걸 보셔야 아래 내용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제 n이 3보다 큰 경우...인데 머리가 복잡해지죠;;; 간단히 생각해보면, 각 점들의 최적의 위치는 n차원 공간에서는 정n+1다면체의 꼭지점들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위 싸이트의 풀이를 나이브하게 적용해보면 다음 결과를 추측할 수 있습니다. \[\theta=\cos^{-1}\left(-\frac{1}{n}\right)\]

n을 무한대로 보내면 θ는 π/2가 됩니다. 좀더 직관적으로(?) 생각하기 위해 n=2에서 n=3으로 넘어갈 때를 봅시다. 그냥 처음부터 3차원 공간의 단위구 위에서 점이 3개였다가 4개로 늘어난다고 생각합시다. 점 3개만 있는 경우 이들이 서로 멀리 떨어지려고 한다면 대원 위에 있겠죠. 물론 정삼각형을 이루면서 말입니다. 그중 한 점의 위치를 고정시켰다고 해요. 나머지 두 점을 잇는 직선은 고정된 점과 원점을 잇는 직선에 수직이고요. 원점과 이 직선 사이의 거리가 위 답 중에 1/n, 즉 1/2에 해당합니다.

그 상태에서 점을 하나 추가합니다. 고정된 놈 말고 나머지 두 놈은 새로 들어온 놈하고 멀어지려 할테고 그러다보면 이 놈들끼리도 정삼각형을 만들 겁니다. 이 정삼각형은 고정된 놈과 원점을 잇는 직선에 수직이겠죠. 물론 고정된 놈과의 관계까지 고려해야 하는데, 그러다보면 이 새 정삼각형과 원점 사이의 거리는 1/3이 됩니다. 이 거리가 줄어들수록 고정된 놈과 다른 놈들 사이의 각도도 줄어들고 위에 쓴대로 1/n이라고 가정한다면 결국 n이 무한대일 때 θ는 π/2가 되겠죠.

하지만 이 나이브한 가정은 n=4에서부터 맞지 않습니다. 4차원 공간의 단위초구 위의 5개의 점들의 위치를 아래처럼 씁니다. \[ v_i =(\cos\theta_i,\sin\theta_i\cos\phi_i,\sin\theta_i\sin\phi_i\cos\alpha_i,\sin\theta_i\sin\phi_i\sin\alpha_i)\\ v_5=(1,0,0,0) \]

i는 1부터 4까지입니다. 위에서 '고정된 놈'이 여기서는 5번 점입니다. 4차원 공간 위의 정5면체(이런게 존재하나요?;;)라고 하면 여기서 모든 θi는 θ로 같다고 해도 됩니다. 나머지 φ들과 α들은 n=2,3인 경우에 얻은 결과를 그대로 이용합니다. 위에서 n=2에서 n=3으로 넘어가면서 고정된 놈을 제외하고 정삼각형이 다시 만들어진 것처럼 말이죠. 여튼 최소화하려는 함수를 다음처럼 씁니다. \[H=\sum_{i<j} v_i \cdot v_j = \frac{556}{81}\cos^2\theta+4\cos\theta-\frac{70}{81}\]

이걸 최소로 하는 θ를 구합니다. \[\theta=\cos^{-1}\left(-\frac{81}{278}\right) \approx 1.87 \approx 106.9^\circ\]

보시면 아크코사인 안에 1/4보다 큰 81/278이 들어있습니다. 이걸 보면 n이 커질수록 1/n보다 느리게 줄어드는 것처럼 보이는데 그러면 n이 무한대일 때 어떻게 될지 모르겠네요;;;

관련된 항목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