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우스 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ythagoras0 (토론 | 기여)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개요== | |
− | * [[ | + | * [[이차잉여의 상호법칙]] 을 증명하기 위해 가우스가 도입 |
+ | * 유한군 위에 정의된 [[푸리에 변환]]의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음 | ||
+ | * 이차잉여에 등장하는 자코비 부호의 푸리에 변환 | ||
+ | * [[자코비 세타함수]]의 행동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 ||
− | |||
− | |||
− | < | + | ==초등정수론의 가우스합== |
+ | ===정의=== | ||
+ | * <math>p</math> 는 홀수인 소수 | ||
+ | * 가우스합을 다음과 같이 정의 | ||
+ | :<math>G(p) := \sum_{a \in \mathbb Z/p\mathbb Z} \left(\frac{a}{p}\right)e^{2 \pi i a/p}=\sum_{a \in \mathbb Z/p\mathbb Z} \left(\frac{a}{p}\right) \zeta^a=\sum_{a=1}^{p-1} \left(\frac{a}{p}\right) \zeta^a</math> | ||
− | |||
− | + | ===또다른 정의=== | |
+ | * 위의 정의 대신 다음 정의를 사용하기도 함 | ||
+ | :<math>G'(p):=\sum_{r=0}^{p-1} e^{2\pi i r^2/p}</math> | ||
+ | * 이 두 정의가 같음을 보이자 | ||
+ | :<math>\sum_{a=1}^{p-1} \left(\frac{a}{p}\right) \zeta^a=\sum_{r=0}^{p-1} e^{2\pi i r^2/p}</math> | ||
+ | ;증명 | ||
+ | <math>A,B</math>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 ||
+ | :<math>A=\sum_{a\in QR} \zeta^a=\frac{1}{2}\sum_{r=1}^{p-1} e^{2\pi i r^2/p}, \label{AQR}</math> | ||
+ | :<math>B=\sum_{a\in QNR} \zeta^a</math> | ||
+ | 다음이 성립한다 | ||
+ | :<math>A+B=-1 \label{sum}</math> | ||
+ | :<math>A-B=\sum_{a=1}^{p-1} \left(\frac{a}{p}\right) \zeta^a \label{diff}</math> | ||
+ | \ref{sum}과 \ref{diff}의 양변을 더하여 다음을 얻는다 | ||
+ | :<math>2A+1=\sum_{a=1}^{p-1} \left(\frac{a}{p}\right) \zeta^a</math> | ||
+ | 한편, \ref{AQR}로부터, | ||
+ | :<math>2A+1=\sum_{r=0}^{p-1} e^{2\pi i r^2/p}</math> 이므로, | ||
+ | :<math>\sum_{a=1}^{p-1} \left(\frac{a}{p}\right) \zeta^a=\sum_{r=0}^{p-1} e^{2\pi i r^2/p}</math> 를 얻는다.■ | ||
− | |||
− | + | ;정리 | |
− | |||
− | |||
− | |||
− | |||
홀수인 소수 <math>p</math>에 대하여 가우스합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홀수인 소수 <math>p</math>에 대하여 가우스합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math>p \equiv 1 \pmod 4</math> 일 때, <math> | + | <math>p \equiv 1 \pmod 4</math> 일 때, <math>G(p)=\sqrt{p}</math> |
− | <math>p \equiv 3 \pmod 4</math> 일 때, <math> | + | <math>p \equiv 3 \pmod 4</math> 일 때, <math>G(p)=i\sqrt{p}</math> |
− | * | + | ===일반화=== |
+ | * 소수가 아닌 모든 자연수 <math>M</math>에 대해서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음 | ||
+ | :<math>G(M) := \sum_{r=0}^{M-1} e^{2\pi i r^2/M}</math> | ||
+ | <math>M \equiv 1 \pmod 4</math> 일 때, <math>G(M)=\sqrt{M}</math> | ||
− | <math>\ | + | <math>M \equiv 2 \pmod 4</math> 일 때, <math>G(M)=0</math> |
− | + | <math>M \equiv 3 \pmod 4</math> 일 때, <math>G(M)=i\sqrt{M}</math> | |
− | <math>\ | + | <math>M \equiv 0 \pmod 4</math> 일 때, <math>G(M)=(1+i)\sqrt{M}</math> |
− | ( | + | ==가우스합 S(p,q)와 상호법칙== |
− | <math> | + | * <math>pq</math>가 짝수인 자연수p,q에 대하여 다음을 정의:<math>S(p,q)=\sum_{r=0}^{q-1} e^{\pi i pr^2/q}</math> |
+ | * <math>p=2</math>로 두면 위에서 정의한 가우스합을 다시 얻게 된다:<math>S(2,q)=G(q)</math> | ||
+ | * 성질:<math>S(ap,aq)=S(ap,aq)</math>:<math>S(a^2p,q)=S(p,q)</math>:<math>S(ap,q)=\left(\frac{a}{q}\right) S(p,q)</math> | ||
+ | * [[자코비 세타함수]]의 cusp에서의 변화를 기술할 때 사용될 수 있음. | ||
+ | * 가우스합의 상호법칙 자연수p,q에 대하여 <math>pq</math>가 짝수라고 하자. 다음이 성립한다.:<math>\sqrt{q}\overline{S(q,p)}=e^{-\pi i/4}\sqrt{p}S(p,q)</math> | ||
+ | * 증명은 [[가우스 합의 상호법칙(Landsberg-Schaar relation)]] 항목을 참조 | ||
− | |||
− | |||
− | <math> | + | ==디리클레 캐릭터와 가우스합== |
− | + | * 더 일반적인 가우스합을 정의할 수 있음 | |
− | <math> | + | * [[유한아벨군과 이산푸리에변환|유한아벨군 위에 정의된 푸리에 변환]] 으로 이해할 수 있음 |
− | + | * <math>a\in (\mathbb Z/f \mathbb Z)^{*}</math>와 준동형사상 <math>\chi \colon (\mathbb Z/f\mathbb Z)^{*} \to \mathbb C^{*}</math>에 대하여 가우스합을 다음과 같이 정의함 | |
− | * | + | :<math>g_a(\chi) := \sum_{(t,f)=1} \chi(t) e^{2 \pi i a t/f}=\sum_{(t,f)=1} \chi(t) \zeta^{a t}</math> |
− | + | 여기서 <math> \zeta = e^{2\pi i/f}</math> | |
− | + | * 소수 <math>p</math>에 대하여, <math>a=1</math>, <math>\chi(t)=\left(\frac{t}{p}\right)</math>로 두면, 맨 처음에 정의한 가우스합 <math>G(p)</math>을 다시 얻게 됨. <math>G(p)=g_1(\chi)</math>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정리 |
+ | :<math>g_a(\chi) = \chi(a^{-1}) g_1(\chi)=\bar\chi(a)g_1(\chi)</math> | ||
+ | :<math>\chi(n)=\frac{1}{f}\sum_{(a,f)=1}g_a(\chi)e^{-2\pi i n a/f}</math> | ||
− | |||
− | |||
− | + | ;정리 | |
− | + | primitive인 준동형사상 <math>\chi \colon (\mathbb Z/f\mathbb Z)^{*} \to \mathbb C^{*}</math>에 대하여, 가우스합은 다음을 만족시킴 | |
− | + | <math>\tau(\chi)=g_1(\chi)</math>라 두면, <math>|\tau(\chi)|=\sqrt{f}</math> | |
− | |||
− | |||
− | |||
− | + | ||
+ | ;정리 | ||
− | 실수값을 갖는 | + | 실수값을 갖는 primitive인 준동형사상 <math>\chi \colon (\mathbb Z/f\mathbb Z)^{*} \to \mathbb C^{*}</math>에 대해서 다음이 성립한다. |
− | <math>\chi(-1)=1</math>일때, | + | <math>\chi(-1)=1</math>일때, <math>\tau(\chi)=\sqrt{f}</math> |
− | <math>\chi(-1)=-1</math>일 때, | + | <math>\chi(-1)=-1</math>일 때, <math>\tau(\chi)=i\sqrt{f}</math> |
− | + | ||
− | |||
− | < | + | ==이차수체와 가우스 합== |
+ | * 판별식이 <math>d_K</math>인 이차수체 <math>K</math>가 주어졌을 때, 임의의 홀수인 소수 <math>p\in \mathbb{Z}</math>에 대하여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는 준동형사상 <math>\chi \colon(\mathbb{Z}/d_K\mathbb{Z})^\times \to \mathbb{C}^{\times}</math>가 존재한다 | ||
+ | :<math>\chi(p)=\left(\frac{d_K}{p}\right)</math> | ||
<math>q \geq 2</math> 는 소수라 가정하자. | <math>q \geq 2</math> 는 소수라 가정하자. | ||
− | + | ===<math>K=\mathbb{Q}(\sqrt{-q})</math>, <math>q \geq 3</math> , <math>q \equiv 3 \pmod{4}</math> 인 경우=== | |
− | |||
− | <math>K=\mathbb{Q}(\sqrt{-q})</math>, <math>q \geq 3</math> , <math>q \equiv 3 \pmod{4}</math> | ||
<math>d_K=-q</math>, <math>(\mathbb Z/q \mathbb Z)^{*}</math> | <math>d_K=-q</math>, <math>(\mathbb Z/q \mathbb Z)^{*}</math> | ||
106번째 줄: | 108번째 줄: | ||
<math>\chi(-1)=-1</math>, <math>\tau(\chi)=i\sqrt{q}</math> | <math>\chi(-1)=-1</math>, <math>\tau(\chi)=i\sqrt{q}</math> | ||
+ | |||
− | + | ===<math>K=\mathbb{Q}(\sqrt{q})</math> , <math>q \geq 5</math>, <math>q \equiv 1 \pmod{4}</math> 인 경우=== | |
− | |||
− | |||
− | |||
− | |||
<math>d_K=q</math>, <math>(\mathbb Z/q \mathbb Z)^{*}</math> | <math>d_K=q</math>, <math>(\mathbb Z/q \mathbb Z)^{*}</math> | ||
119번째 줄: | 118번째 줄: | ||
<math>\chi(-1)=1</math>, <math>\tau(\chi)=\sqrt{q}</math> | <math>\chi(-1)=1</math>, <math>\tau(\chi)=\sqrt{q}</math> | ||
− | |||
− | |||
− | <math>K=\mathbb{Q}(\sqrt{-q})</math> | + | ===<math>K=\mathbb{Q}(\sqrt{-q})</math> , <math>q \geq 1</math> , <math>q \equiv 1 \pmod{4}</math> 인 경우=== |
<math>d_K=-4q</math>, <math>(\mathbb Z/4q \mathbb Z)^{*}</math> | <math>d_K=-4q</math>, <math>(\mathbb Z/4q \mathbb Z)^{*}</math> | ||
133번째 줄: | 130번째 줄: | ||
<math>\chi(-1)=-1</math>, <math>\tau(\chi)=2i\sqrt{q}</math> | <math>\chi(-1)=-1</math>, <math>\tau(\chi)=2i\sqrt{q}</math> | ||
− | |||
− | |||
− | |||
− | |||
− | |||
− | + | ===<math>K=\mathbb{Q}(\sqrt{q})</math> , <math>q \geq 3</math>, <math>q \equiv 3 \pmod{4}</math> 인 경우=== | |
<math>d_K=4q</math>, <math>(\mathbb Z/4q \mathbb Z)^{*}</math> | <math>d_K=4q</math>, <math>(\mathbb Z/4q \mathbb Z)^{*}</math> | ||
− | |||
일반적인<math>n\in \mathbb{Z}</math>, <math>(n,4q)=1</math> 에 대해서는 | 일반적인<math>n\in \mathbb{Z}</math>, <math>(n,4q)=1</math> 에 대해서는 | ||
149번째 줄: | 140번째 줄: | ||
<math>\chi(n)=(-1)^{\frac{n-1}{2}}\left(\frac{n}{q}\right)</math> | <math>\chi(n)=(-1)^{\frac{n-1}{2}}\left(\frac{n}{q}\right)</math> | ||
− | <math>\chi(-1)=1</math>, | + | <math>\chi(-1)=1</math>, <math>\tau(\chi)=2\sqrt{q}</math> |
− | |||
− | |||
− | + | ==정17각형의 작도 문제의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가우스합== | |
− | * <math>\zeta=e^{2\pi i \over 17}</math> | + | * <math>\zeta=e^{2\pi i \over 17}</math> 로 두자. 이 값을 대수적으로 구하는 것이 목표. |
* <math>(3^1, 3^2,3^3, 3^4, 3^5, 3^7, 3^8, 3^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equiv (3, 9, 10, 13, 5, 15, 11, 16, 14, 8, 7, 4,12, 2, 6, 1) \pmod {17}</math> | * <math>(3^1, 3^2,3^3, 3^4, 3^5, 3^7, 3^8, 3^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equiv (3, 9, 10, 13, 5, 15, 11, 16, 14, 8, 7, 4,12, 2, 6, 1) \pmod {17}</math> | ||
− | * 이 순서대로 2로 나눈 나머지에 따라서 분류 | + | * 이 순서대로 2로 나눈 나머지에 따라서 분류 |
** <math>A_0 = \zeta^{9} + \zeta^{13} + \zeta^{15} + \zeta^{16}+\zeta^{8} + \zeta^{4} + \zeta^{2} +\zeta^{1}</math> | ** <math>A_0 = \zeta^{9} + \zeta^{13} + \zeta^{15} + \zeta^{16}+\zeta^{8} + \zeta^{4} + \zeta^{2} +\zeta^{1}</math> | ||
** <math>A_1 = \zeta^3 + \zeta^{10} + \zeta^{5} + \zeta^{11}+\zeta^{14} + \zeta^{7} + \zeta^{12} +\zeta^{6}</math> | ** <math>A_1 = \zeta^3 + \zeta^{10} + \zeta^{5} + \zeta^{11}+\zeta^{14} + \zeta^{7} + \zeta^{12} +\zeta^{6}</math> | ||
− | ** <math>A_0+A_1= -1</math> | + | ** <math>A_0+A_1= -1</math> 임은 쉽게 알 수 있음 |
− | ** <math>A_0-A_1</math> | + | ** <math>A_0-A_1</math> 는 가우스합이므로 <math>A_0-A_1=\sqrt{17}</math> |
− | ** <math>A_0 = \frac{-1 + \sqrt{17}}{2}</math> | + | ** <math>A_0 = \frac{-1 + \sqrt{17}}{2}</math> , <math>A_1= \frac{-1 - \sqrt{17}}{2}</math> |
+ | |||
+ | |||
+ | |||
+ | ==메모== | ||
− | + | <math>\sqrt{y}\theta(\frac{p}{q}+iy)\sim \frac{1}{q}S(p,q)</math> | |
− | + | ||
− | + | ||
− | + | ==관련된 항목들== | |
* [[가우스와 정17각형의 작도]] | * [[가우스와 정17각형의 작도]] | ||
179번째 줄: | 172번째 줄: | ||
* [[푸리에 변환]] | * [[푸리에 변환]] | ||
* [[유한군의 표현론]] | * [[유한군의 표현론]] | ||
− | * [[순환군과 유한아벨군의 표현론|순환군의 표현론]][[p진해석학(p-adic analysis)|]] | + | * [[순환군과 유한아벨군의 표현론|순환군의 표현론]][[p진해석학(p-adic analysis)|p진해석학]] |
* [[p진해석학(p-adic analysis)]] | * [[p진해석학(p-adic analysis)]] | ||
* [[p진 감마함수(p-adic gamma function)|p-adic 감마함수]] | * [[p진 감마함수(p-adic gamma function)|p-adic 감마함수]] | ||
* [[자코비 세타함수]] | * [[자코비 세타함수]] | ||
− | + | ||
− | |||
− | |||
− | + | ||
− | + | ==매스매티카 파일 및 계산 리소스== | |
− | + | * https://docs.google.com/file/d/0B8XXo8Tve1cxNjE2MTliMzMtYzk5Ni00M2YyLTkwYzctMjVkYjJiNzkwNTNk/edi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관련도서== | |
− | + | * Kenneth Ireland, Michael Rosen, [http://www.amazon.com/Classical-Introduction-Modern-Graduate-Mathematics/dp/038797329X A Classical Introduction to Modern Number Theory](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v. 84) | |
− | + | ==사전 형태의 자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http://ko.wikipedia.org/wiki/%EA%B0%80%EC%9A%B0%EC%8A%A4%ED%95%A9 http://ko.wikipedia.org/wiki/가우스합] | * [http://ko.wikipedia.org/wiki/%EA%B0%80%EC%9A%B0%EC%8A%A4%ED%95%A9 http://ko.wikipedia.org/wiki/가우스합] | ||
* http://en.wikipedia.org/wiki/Quadratic_Gauss_sum | * http://en.wikipedia.org/wiki/Quadratic_Gauss_sum | ||
− | |||
− | |||
− | |||
− | |||
− | |||
− | |||
− | + | ==관련논문== | |
− | + | * Malikiosis, Romanos-Diogenes, Sinai Robins, and Yichi Zhang. “Polyhedral Gauss Sums, and Polytopes with Symmetry.” arXiv:1508.01876 [math], August 8, 2015. http://arxiv.org/abs/1508.01876. | |
− | + | * Wu, Siye. “Miniscule Representations, Gauss Sum and Modular Invariance.” arXiv:0802.2038 [math], February 14, 2008. http://arxiv.org/abs/0802.2038. | |
+ | * [http://archive.numdam.org/ARCHIVE/RSMUP/RSMUP_2001__105_/RSMUP_2001__105__157_0/RSMUP_2001__105__157_0.pdf The Gross Koblitz formula revisited] | ||
+ | ** A. Robert, Rend. Sem. Mat. Univ. Padova 105 (2001) 157 170 | ||
+ | * [http://www.jstage.jst.go.jp/article/kyushujm/49/2/49_233/_article Gaussian sums, Dedekind sums and the Jacobi triple product identity] | ||
+ | ** Robert SCZECH, Kyushu Journal of Mathematics, Vol. 49 (1995) , No. 2 233-241 | ||
+ | * [http://projecteuclid.org/euclid.bams/1183548292 The determination of Gauss sums] | ||
+ | ** Bruce C. Berndt and Ronald J. Evans, Bull. Amer. Math. Soc. (N.S.) Volume 5, Number 2 (1981), 107-129 | ||
+ | * [http://www.jstor.org/stable/1971226 Gauss Sums and the p-adic Γ-function] | ||
+ | ** Benedict H. Gross and Neal Koblitz, The Annals of Mathematics, Second Series, Vol. 109, No. 3 (May, 1979), pp. 569-581 | ||
+ | * Matthews, C. R. “Gauss Sums and Elliptic Functions: II. The Quartic Sum.” Inventiones Mathematicae 54, no. 1 (February 1979): 23–52. doi:10.1007/BF01391175. | ||
+ | * Matthews, C. R. “Gauss Sums and Elliptic Functions.” Inventiones Mathematicae 52, no. 2 (June 1979): 163–85. doi:10.1007/BF01403063. | ||
− | + | [[분류:정수론]] | |
− | * | + | ==메타데이터== |
− | * | + | ===위키데이터=== |
+ | * ID : [https://www.wikidata.org/wiki/Q7268351 Q7268351] | ||
+ | ===Spacy 패턴 목록=== | ||
+ | * [{'LOWER': 'quadratic'}, {'LOWER': 'gauss'}, {'LEMMA': 'sum'}] |
2021년 2월 17일 (수) 03:55 기준 최신판
개요
- 이차잉여의 상호법칙 을 증명하기 위해 가우스가 도입
- 유한군 위에 정의된 푸리에 변환의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음
- 이차잉여에 등장하는 자코비 부호의 푸리에 변환
- 자코비 세타함수의 행동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초등정수론의 가우스합
정의
- \(p\) 는 홀수인 소수
- 가우스합을 다음과 같이 정의
\[G(p) := \sum_{a \in \mathbb Z/p\mathbb Z} \left(\frac{a}{p}\right)e^{2 \pi i a/p}=\sum_{a \in \mathbb Z/p\mathbb Z} \left(\frac{a}{p}\right) \zeta^a=\sum_{a=1}^{p-1} \left(\frac{a}{p}\right) \zeta^a\]
또다른 정의
- 위의 정의 대신 다음 정의를 사용하기도 함
\[G'(p):=\sum_{r=0}^{p-1} e^{2\pi i r^2/p}\]
- 이 두 정의가 같음을 보이자
\[\sum_{a=1}^{p-1} \left(\frac{a}{p}\right) \zeta^a=\sum_{r=0}^{p-1} e^{2\pi i r^2/p}\]
- 증명
\(A,B\)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A=\sum_{a\in QR} \zeta^a=\frac{1}{2}\sum_{r=1}^{p-1} e^{2\pi i r^2/p}, \label{AQR}\] \[B=\sum_{a\in QNR} \zeta^a\] 다음이 성립한다 \[A+B=-1 \label{sum}\] \[A-B=\sum_{a=1}^{p-1} \left(\frac{a}{p}\right) \zeta^a \label{diff}\] \ref{sum}과 \ref{diff}의 양변을 더하여 다음을 얻는다 \[2A+1=\sum_{a=1}^{p-1} \left(\frac{a}{p}\right) \zeta^a\] 한편, \ref{AQR}로부터, \[2A+1=\sum_{r=0}^{p-1} e^{2\pi i r^2/p}\] 이므로, \[\sum_{a=1}^{p-1} \left(\frac{a}{p}\right) \zeta^a=\sum_{r=0}^{p-1} e^{2\pi i r^2/p}\] 를 얻는다.■
- 정리
홀수인 소수 \(p\)에 대하여 가우스합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p \equiv 1 \pmod 4\) 일 때, \(G(p)=\sqrt{p}\)
\(p \equiv 3 \pmod 4\) 일 때, \(G(p)=i\sqrt{p}\)
일반화
- 소수가 아닌 모든 자연수 \(M\)에 대해서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음
\[G(M) := \sum_{r=0}^{M-1} e^{2\pi i r^2/M}\] \(M \equiv 1 \pmod 4\) 일 때, \(G(M)=\sqrt{M}\)
\(M \equiv 2 \pmod 4\) 일 때, \(G(M)=0\)
\(M \equiv 3 \pmod 4\) 일 때, \(G(M)=i\sqrt{M}\)
\(M \equiv 0 \pmod 4\) 일 때, \(G(M)=(1+i)\sqrt{M}\)
가우스합 S(p,q)와 상호법칙
- \(pq\)가 짝수인 자연수p,q에 대하여 다음을 정의\[S(p,q)=\sum_{r=0}^{q-1} e^{\pi i pr^2/q}\]
- \(p=2\)로 두면 위에서 정의한 가우스합을 다시 얻게 된다\[S(2,q)=G(q)\]
- 성질\[S(ap,aq)=S(ap,aq)\]\[S(a^2p,q)=S(p,q)\]\[S(ap,q)=\left(\frac{a}{q}\right) S(p,q)\]
- 자코비 세타함수의 cusp에서의 변화를 기술할 때 사용될 수 있음.
- 가우스합의 상호법칙 자연수p,q에 대하여 \(pq\)가 짝수라고 하자. 다음이 성립한다.\[\sqrt{q}\overline{S(q,p)}=e^{-\pi i/4}\sqrt{p}S(p,q)\]
- 증명은 가우스 합의 상호법칙(Landsberg-Schaar relation) 항목을 참조
디리클레 캐릭터와 가우스합
- 더 일반적인 가우스합을 정의할 수 있음
- 유한아벨군 위에 정의된 푸리에 변환 으로 이해할 수 있음
- \(a\in (\mathbb Z/f \mathbb Z)^{*}\)와 준동형사상 \(\chi \colon (\mathbb Z/f\mathbb Z)^{*} \to \mathbb C^{*}\)에 대하여 가우스합을 다음과 같이 정의함
\[g_a(\chi) := \sum_{(t,f)=1} \chi(t) e^{2 \pi i a t/f}=\sum_{(t,f)=1} \chi(t) \zeta^{a t}\] 여기서 \( \zeta = e^{2\pi i/f}\)
- 소수 \(p\)에 대하여, \(a=1\), \(\chi(t)=\left(\frac{t}{p}\right)\)로 두면, 맨 처음에 정의한 가우스합 \(G(p)\)을 다시 얻게 됨. \(G(p)=g_1(\chi)\)
- 정리
\[g_a(\chi) = \chi(a^{-1}) g_1(\chi)=\bar\chi(a)g_1(\chi)\] \[\chi(n)=\frac{1}{f}\sum_{(a,f)=1}g_a(\chi)e^{-2\pi i n a/f}\]
- 정리
primitive인 준동형사상 \(\chi \colon (\mathbb Z/f\mathbb Z)^{*} \to \mathbb C^{*}\)에 대하여, 가우스합은 다음을 만족시킴
\(\tau(\chi)=g_1(\chi)\)라 두면, \(|\tau(\chi)|=\sqrt{f}\)
- 정리
실수값을 갖는 primitive인 준동형사상 \(\chi \colon (\mathbb Z/f\mathbb Z)^{*} \to \mathbb C^{*}\)에 대해서 다음이 성립한다.
\(\chi(-1)=1\)일때, \(\tau(\chi)=\sqrt{f}\)
\(\chi(-1)=-1\)일 때, \(\tau(\chi)=i\sqrt{f}\)
이차수체와 가우스 합
- 판별식이 \(d_K\)인 이차수체 \(K\)가 주어졌을 때, 임의의 홀수인 소수 \(p\in \mathbb{Z}\)에 대하여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는 준동형사상 \(\chi \colon(\mathbb{Z}/d_K\mathbb{Z})^\times \to \mathbb{C}^{\times}\)가 존재한다
\[\chi(p)=\left(\frac{d_K}{p}\right)\]
\(q \geq 2\) 는 소수라 가정하자.
\(K=\mathbb{Q}(\sqrt{-q})\), \(q \geq 3\) , \(q \equiv 3 \pmod{4}\) 인 경우
\(d_K=-q\), \((\mathbb Z/q \mathbb Z)^{*}\)
\(\chi(a)=\left(\frac{a}{q}\right)\)
\(\chi(-1)=-1\), \(\tau(\chi)=i\sqrt{q}\)
\(K=\mathbb{Q}(\sqrt{q})\) , \(q \geq 5\), \(q \equiv 1 \pmod{4}\) 인 경우
\(d_K=q\), \((\mathbb Z/q \mathbb Z)^{*}\)
\(\chi(a)=\left(\frac{a}{q}\right)\)
\(\chi(-1)=1\), \(\tau(\chi)=\sqrt{q}\)
\(K=\mathbb{Q}(\sqrt{-q})\) , \(q \geq 1\) , \(q \equiv 1 \pmod{4}\) 인 경우
\(d_K=-4q\), \((\mathbb Z/4q \mathbb Z)^{*}\)
\(n\in \mathbb{Z}\), \((n,4q)=1\) 에 대해서는
\(\chi(n)=(-1)^{\frac{n-1}{2}}\left(\frac{n}{q}\right)\)
\(\chi(-1)=-1\), \(\tau(\chi)=2i\sqrt{q}\)
\(K=\mathbb{Q}(\sqrt{q})\) , \(q \geq 3\), \(q \equiv 3 \pmod{4}\) 인 경우
\(d_K=4q\), \((\mathbb Z/4q \mathbb Z)^{*}\)
일반적인\(n\in \mathbb{Z}\), \((n,4q)=1\) 에 대해서는
\(\chi(n)=(-1)^{\frac{n-1}{2}}\left(\frac{n}{q}\right)\)
\(\chi(-1)=1\), \(\tau(\chi)=2\sqrt{q}\)
정17각형의 작도 문제의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가우스합
- \(\zeta=e^{2\pi i \over 17}\) 로 두자. 이 값을 대수적으로 구하는 것이 목표.
- \((3^1, 3^2,3^3, 3^4, 3^5, 3^7, 3^8, 3^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equiv (3, 9, 10, 13, 5, 15, 11, 16, 14, 8, 7, 4,12, 2, 6, 1) \pmod {17}\)
- 이 순서대로 2로 나눈 나머지에 따라서 분류
- \(A_0 = \zeta^{9} + \zeta^{13} + \zeta^{15} + \zeta^{16}+\zeta^{8} + \zeta^{4} + \zeta^{2} +\zeta^{1}\)
- \(A_1 = \zeta^3 + \zeta^{10} + \zeta^{5} + \zeta^{11}+\zeta^{14} + \zeta^{7} + \zeta^{12} +\zeta^{6}\)
- \(A_0+A_1= -1\) 임은 쉽게 알 수 있음
- \(A_0-A_1\) 는 가우스합이므로 \(A_0-A_1=\sqrt{17}\)
- \(A_0 = \frac{-1 + \sqrt{17}}{2}\) , \(A_1= \frac{-1 - \sqrt{17}}{2}\)
메모
\(\sqrt{y}\theta(\frac{p}{q}+iy)\sim \frac{1}{q}S(p,q)\)
관련된 항목들
- 가우스와 정17각형의 작도
- 이차잉여의 상호법칙
- 이차 수체에 대한 디리클레 class number 공식
- 푸리에 변환
- 유한군의 표현론
- 순환군의 표현론p진해석학
- p진해석학(p-adic analysis)
- p-adic 감마함수
- 자코비 세타함수
매스매티카 파일 및 계산 리소스
관련도서
- Kenneth Ireland, Michael Rosen, A Classical Introduction to Modern Number Theory(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v. 84)
사전 형태의 자료
관련논문
- Malikiosis, Romanos-Diogenes, Sinai Robins, and Yichi Zhang. “Polyhedral Gauss Sums, and Polytopes with Symmetry.” arXiv:1508.01876 [math], August 8, 2015. http://arxiv.org/abs/1508.01876.
- Wu, Siye. “Miniscule Representations, Gauss Sum and Modular Invariance.” arXiv:0802.2038 [math], February 14, 2008. http://arxiv.org/abs/0802.2038.
- The Gross Koblitz formula revisited
- A. Robert, Rend. Sem. Mat. Univ. Padova 105 (2001) 157 170
- Gaussian sums, Dedekind sums and the Jacobi triple product identity
- Robert SCZECH, Kyushu Journal of Mathematics, Vol. 49 (1995) , No. 2 233-241
- The determination of Gauss sums
- Bruce C. Berndt and Ronald J. Evans, Bull. Amer. Math. Soc. (N.S.) Volume 5, Number 2 (1981), 107-129
- Gauss Sums and the p-adic Γ-function
- Benedict H. Gross and Neal Koblitz, The Annals of Mathematics, Second Series, Vol. 109, No. 3 (May, 1979), pp. 569-581
- Matthews, C. R. “Gauss Sums and Elliptic Functions: II. The Quartic Sum.” Inventiones Mathematicae 54, no. 1 (February 1979): 23–52. doi:10.1007/BF01391175.
- Matthews, C. R. “Gauss Sums and Elliptic Functions.” Inventiones Mathematicae 52, no. 2 (June 1979): 163–85. doi:10.1007/BF01403063.
메타데이터
위키데이터
- ID : Q7268351
Spacy 패턴 목록
- [{'LOWER': 'quadratic'}, {'LOWER': 'gauss'}, {'LEMMA': 's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