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에서의 리만제타함수의 값"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ythagoras0 (토론 | 기여)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개요== | |
− | * [[ | + | * 홀수인 자연수를 제외한 모든 정수에 대하여 리만제타함수의 값은 닫힌 형태로 알려져 있음.:<math>\zeta(2n) =(-1)^{n+1}\frac{B_{2n}(2\pi)^{2n}}{2(2n)!}, n \ge 1</math>여기서 <math>B_{2n}</math>은 [[베르누이 수|베르누이수]]. :<math>\zeta(-n)=-\frac{B_{n+1}}{n+1}, n \ge 1</math> 또는<math>\zeta(1-2n)=-\frac{B_{2n}}{2n}, n \ge 1</math>:<math>\zeta(0)=-\frac{1}{2}</math> |
+ | * 참고로 [[베르누이 수]]의 처음 몇개는 다음과 같음 | ||
− | + | <math>B_0=1</math>, <math>B_1=-{1 \over 2}</math>, <math>B_2={1\over 6}</math>, <math>B_3=0</math>, <math>B_4=-\frac{1}{30}</math>, <math>B_5=0</math>, <math>B_6=\frac{1}{42}</math>, <math>B_8=-\frac{1}{30}</math>, <math>B_{10}=\frac{5}{66}</math>, <math>B_{12}=-\frac{691}{2730}</math>,<math>B_{14}=\frac{7}{6}</math> | |
− | + | ||
− | + | ||
− | + | ==유수정리를 이용한 증명== | |
− | |||
− | + | <math>\zeta(4)</math> 를 구하는 방법을 통해서 일반적인 경우의 증명도 알 수 있다. <math>\oint_{C_{R}}\frac{\pi\cot(\pi z)}{z^{4}}dz</math> | |
− | |||
− | |||
− | |||
− | |||
− | |||
− | |||
− | |||
− | <math>\zeta(4)</math> | ||
<math>C_{R}</math>는 원점을 중심으로 반지금이<math>R</math> 인 원 | <math>C_{R}</math>는 원점을 중심으로 반지금이<math>R</math> 인 원 | ||
− | + | 반지름을<math>R=n+1/2 (n\in \mathbb{N})</math> 형태로 잡아 크게 하면, 적분은 0으로 수렴한다. | |
− | 유수정리를 사용하자. | + | 유수정리를 사용하자. |
− | 0이 아닌 정수 <math>k</math>에 | + | 0이 아닌 정수 <math>k</math>에 대하여 <math>z\approx k</math> 이면, <math>\pi \cot \pi z \approx \frac{1}{z-k}</math> |
− | 한편<math>\frac{\pi\cot(\pi z)}{z^{4}}</math> | + | 한편<math>\frac{\pi\cot(\pi z)}{z^{4}}</math>의 0이 아닌 정수 <math>k</math>에서의 유수(residue)는 <math>\frac{1}{k^{4}}</math>로 주어진다. |
<math>\cot x = \frac {1} {x} - \frac {x}{3} - \frac {x^3} {45} - \frac {2 x^5} {945} - \cdots = \sum_{n=0}^\infty \frac{(-1)^n 2^{2n} B_{2n} x^{2n-1}}{(2n)!}</math>([[코탄젠트]] 참조) | <math>\cot x = \frac {1} {x} - \frac {x}{3} - \frac {x^3} {45} - \frac {2 x^5} {945} - \cdots = \sum_{n=0}^\infty \frac{(-1)^n 2^{2n} B_{2n} x^{2n-1}}{(2n)!}</math>([[코탄젠트]] 참조) | ||
− | 를 | + | 를 이용하면 0 에서의 유수는 <math>-\pi^{4}/45</math> 임을 알 수 있다. |
− | + | 그러므로 모든 유수의 합은 <math>-\frac{\pi^4}{45}+2\sum_{k=1}^{\infty}\frac{1}{k^{4}}=0</math>. 따라서 <math>\zeta(4)=\frac{\pi^4}{90}</math> 를 얻는다. | |
− | + | 일반적인 자연수 <math>n</math> 에 대하여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 |
− | |||
− | 일반적인 | ||
<math>2\zeta(2n)+\frac{(-1)^n 2^{2n}B_{2n}\pi^{2n}}{(2n)!}=0</math> | <math>2\zeta(2n)+\frac{(-1)^n 2^{2n}B_{2n}\pi^{2n}}{(2n)!}=0</math> | ||
− | + | <math>\zeta(2n) =(-1)^{n+1}\frac{B_{2n}(2\pi)^{2n}}{2(2n)!}, n \ge 1</math> | |
을 얻는다. | 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왓슨 변환(Watson transform)]] | |
− | |||
− | + | ||
− | + | ||
− | + | ==맥클로린급수== | |
− | * <math>\ | + | * [[로그감마 함수]]의 맥클로린 급수는 다음으로 주어진다:<math>\log\Gamma(1+x) =-\gamma x+\sum_{k=2}^{\infty}(-1)^k \frac{\zeta(k)}{k}x^k</math> |
− | + | * [[코탄젠트]]의 맥클로린 급수:<math>\pi x\cot \pi x =-2 \sum_{n=0}^\infty \zeta(2n)x^{2n}</math> | |
− | * | ||
− | |||
− | + | ||
− | + | ||
− | + | ==홀수에서의 리만제타함수의 값== | |
− | * | + | * <math>\zeta(1)</math> 는 발산한다. |
− | * | + | * <math>\zeta(3), \zeta(5), \zeta(7), \cdots</math> 의 닫힌 형식이 어떤 것인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짝수에서의 값에 비해 훨씬 어려운 문제이다.) |
− | + | * <math>\zeta(3)</math> 이 무리수인 것은 Apéry가 1979년 증명했다. 초월성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ζ(3)는 무리수이다(아페리의 정리)]] 항목 참조. | |
− | * | + | * 리만 제타 함수를 무리수로 만드는 홀수는 무한히 많다는 사실, 그리고 <math>\zeta(5), \zeta(7), \zeta(9), \zeta(11)</math> 중 적어도 하나는 무리수라는 사실이 증명되어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역사== | |
− | + | * [[수학사 연표]] | |
− | + | ||
− | + | ||
− | + | ==관련된 항목들== | |
− | + | * [[ζ(2)의 계산, 오일러와 바젤문제(완전제곱수의 역수들의 합)|오일러와 바젤문제(완전제곱수의 역수들의 합)]] | |
+ | * [[모든 자연수의 곱과 리만제타함수]] | ||
+ | * [[모든 자연수의 합과 리만제타함수]] | ||
+ | * [[ζ(2)의 계산, 오일러와 바젤문제(완전제곱수의 역수들의 합)]] | ||
+ | * [[ζ(4)와 슈테판-볼츠만 법칙]] | ||
+ | * [[베르누이 수|베르누이 수와 베르누이 다항식]] | ||
− | + | ||
− | + | ||
− | + | ==관련도서== | |
− | |||
− | |||
− | |||
− | |||
− | |||
− | + | ==블로그== | |
− | * | + | * [http://sos440.tistory.com/6 오늘의 계산 00 : 짝수의 자연수에 대한 제타함수 값의 유도], 2008-3-19 |
− | |||
− | |||
− | |||
− | |||
− | |||
− | |||
− | + | ==관련논문== | |
+ | * Samuel G. Moreno, Esther M. García--Caballero, On <math>ζ(2n)</math>. Even simpler, arXiv:1602.03486 [math.NT], February 10 2016, http://arxiv.org/abs/1602.03486 | ||
+ | * Haynes, Alan, and Wadim Zudilin. “Hankel Determinants of Zeta Values.” arXiv:1510.01901 [math], October 7, 2015. http://arxiv.org/abs/1510.01901. | ||
− | |||
− | + | [[분류:원주율]] | |
− | + | [[분류:리만 제타 함수]] | |
− | |||
− |
2020년 12월 28일 (월) 02:54 기준 최신판
개요
- 홀수인 자연수를 제외한 모든 정수에 대하여 리만제타함수의 값은 닫힌 형태로 알려져 있음.\[\zeta(2n) =(-1)^{n+1}\frac{B_{2n}(2\pi)^{2n}}{2(2n)!}, n \ge 1\]여기서 \(B_{2n}\)은 베르누이수. \[\zeta(-n)=-\frac{B_{n+1}}{n+1}, n \ge 1\] 또는\(\zeta(1-2n)=-\frac{B_{2n}}{2n}, n \ge 1\)\[\zeta(0)=-\frac{1}{2}\]
- 참고로 베르누이 수의 처음 몇개는 다음과 같음
\(B_0=1\), \(B_1=-{1 \over 2}\), \(B_2={1\over 6}\), \(B_3=0\), \(B_4=-\frac{1}{30}\), \(B_5=0\), \(B_6=\frac{1}{42}\), \(B_8=-\frac{1}{30}\), \(B_{10}=\frac{5}{66}\), \(B_{12}=-\frac{691}{2730}\),\(B_{14}=\frac{7}{6}\)
유수정리를 이용한 증명
\(\zeta(4)\) 를 구하는 방법을 통해서 일반적인 경우의 증명도 알 수 있다. \(\oint_{C_{R}}\frac{\pi\cot(\pi z)}{z^{4}}dz\)
\(C_{R}\)는 원점을 중심으로 반지금이\(R\) 인 원
반지름을\(R=n+1/2 (n\in \mathbb{N})\) 형태로 잡아 크게 하면, 적분은 0으로 수렴한다.
유수정리를 사용하자.
0이 아닌 정수 \(k\)에 대하여 \(z\approx k\) 이면, \(\pi \cot \pi z \approx \frac{1}{z-k}\)
한편\(\frac{\pi\cot(\pi z)}{z^{4}}\)의 0이 아닌 정수 \(k\)에서의 유수(residue)는 \(\frac{1}{k^{4}}\)로 주어진다.
\(\cot x = \frac {1} {x} - \frac {x}{3} - \frac {x^3} {45} - \frac {2 x^5} {945} - \cdots = \sum_{n=0}^\infty \frac{(-1)^n 2^{2n} B_{2n} x^{2n-1}}{(2n)!}\)(코탄젠트 참조)
를 이용하면 0 에서의 유수는 \(-\pi^{4}/45\) 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모든 유수의 합은 \(-\frac{\pi^4}{45}+2\sum_{k=1}^{\infty}\frac{1}{k^{4}}=0\). 따라서 \(\zeta(4)=\frac{\pi^4}{90}\) 를 얻는다.
일반적인 자연수 \(n\) 에 대하여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2\zeta(2n)+\frac{(-1)^n 2^{2n}B_{2n}\pi^{2n}}{(2n)!}=0\)
\(\zeta(2n) =(-1)^{n+1}\frac{B_{2n}(2\pi)^{2n}}{2(2n)!}, n \ge 1\)
을 얻는다.
맥클로린급수
- 로그감마 함수의 맥클로린 급수는 다음으로 주어진다\[\log\Gamma(1+x) =-\gamma x+\sum_{k=2}^{\infty}(-1)^k \frac{\zeta(k)}{k}x^k\]
- 코탄젠트의 맥클로린 급수\[\pi x\cot \pi x =-2 \sum_{n=0}^\infty \zeta(2n)x^{2n}\]
홀수에서의 리만제타함수의 값
- \(\zeta(1)\) 는 발산한다.
- \(\zeta(3), \zeta(5), \zeta(7), \cdots\) 의 닫힌 형식이 어떤 것인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짝수에서의 값에 비해 훨씬 어려운 문제이다.)
- \(\zeta(3)\) 이 무리수인 것은 Apéry가 1979년 증명했다. 초월성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ζ(3)는 무리수이다(아페리의 정리) 항목 참조.
- 리만 제타 함수를 무리수로 만드는 홀수는 무한히 많다는 사실, 그리고 \(\zeta(5), \zeta(7), \zeta(9), \zeta(11)\) 중 적어도 하나는 무리수라는 사실이 증명되어 있다.
역사
관련된 항목들
- 오일러와 바젤문제(완전제곱수의 역수들의 합)
- 모든 자연수의 곱과 리만제타함수
- 모든 자연수의 합과 리만제타함수
- ζ(2)의 계산, 오일러와 바젤문제(완전제곱수의 역수들의 합)
- ζ(4)와 슈테판-볼츠만 법칙
- 베르누이 수와 베르누이 다항식
관련도서
블로그
- 오늘의 계산 00 : 짝수의 자연수에 대한 제타함수 값의 유도, 2008-3-19
관련논문
- Samuel G. Moreno, Esther M. García--Caballero, On \(ζ(2n)\). Even simpler, arXiv:1602.03486 [math.NT], February 10 2016, http://arxiv.org/abs/1602.03486
- Haynes, Alan, and Wadim Zudilin. “Hankel Determinants of Zeta Values.” arXiv:1510.01901 [math], October 7, 2015. http://arxiv.org/abs/1510.01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