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 바일 대수와 양자평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잔글 (찾아 바꾸기 – “<h5>” 문자열을 “==” 문자열로)
잔글 (찾아 바꾸기 – “</h5>” 문자열을 “==” 문자열로)
1번째 줄: 1번째 줄: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이 항목의 수학노트 원문주소</h5>
+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이 항목의 수학노트 원문주소==
  
 
 
 
 
7번째 줄: 7번째 줄:
 
 
 
 
  
==개요</h5>
+
==개요==
  
 
* <math>\mathbb{C}[q,q^{-1}]</math> 위에서 u,v 로 생성되는 대수, <math>uv=qvu</math> 를 만족시킴<br>
 
* <math>\mathbb{C}[q,q^{-1}]</math> 위에서 u,v 로 생성되는 대수, <math>uv=qvu</math> 를 만족시킴<br>
18번째 줄: 18번째 줄:
 
 
 
 
  
==q-이항계수</h5>
+
==q-이항계수==
  
 
*  세 변수 <math>x,y,q</math> 사이에 다음과 같은 관계를 정의<br><math>yx=qxy,xq=qx,yq=qy</math><br>
 
*  세 변수 <math>x,y,q</math> 사이에 다음과 같은 관계를 정의<br><math>yx=qxy,xq=qx,yq=qy</math><br>
27번째 줄: 27번째 줄:
 
 
 
 
  
==역사</h5>
+
==역사==
  
 
 
 
 
38번째 줄: 38번째 줄:
 
 
 
 
  
==메모</h5>
+
==메모==
  
 
 
 
 
48번째 줄: 48번째 줄:
 
 
 
 
  
==관련된 항목들</h5>
+
==관련된 항목들==
  
 
* [[양자 조화진동자]]
 
* [[양자 조화진동자]]
57번째 줄: 57번째 줄: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수학용어번역</h5>
+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수학용어번역==
  
 
*  단어사전<br>
 
*  단어사전<br>
73번째 줄: 73번째 줄:
 
 
 
 
  
==매스매티카 파일 및 계산 리소스</h5>
+
==매스매티카 파일 및 계산 리소스==
  
 
* https://docs.google.com/file/d/0B8XXo8Tve1cxN2FLUWE2ZXVlUU0/edit
 
* https://docs.google.com/file/d/0B8XXo8Tve1cxN2FLUWE2ZXVlUU0/edit
88번째 줄: 88번째 줄:
 
 
 
 
  
==사전 형태의 자료</h5>
+
==사전 형태의 자료==
  
 
* http://ko.wikipedia.org/wiki/
 
* http://ko.wikipedia.org/wiki/
100번째 줄: 100번째 줄:
 
 
 
 
  
==리뷰논문, 에세이, 강의노트</h5>
+
==리뷰논문, 에세이, 강의노트==
  
 
 
 
 
108번째 줄: 108번째 줄:
 
 
 
 
  
==관련논문</h5>
+
==관련논문==
  
 
* Kirkman, E., C. Procesi, and L. Small. 1994. “A Q-analog for the Virasoro Algebra.” <em>Communications in Algebra</em> 22 (10): 3755–3774. doi:10.1080/00927879408825052.
 
* Kirkman, E., C. Procesi, and L. Small. 1994. “A Q-analog for the Virasoro Algebra.” <em>Communications in Algebra</em> 22 (10): 3755–3774. doi:10.1080/00927879408825052.
122번째 줄: 122번째 줄:
 
 
 
 
  
==관련도서</h5>
+
==관련도서==
  
 
*  도서내검색<br>
 
*  도서내검색<br>
 
** http://books.google.com/books?q=
 
** http://books.google.com/books?q=
 
** http://book.daum.net/search/contentSearch.do?query=
 
** http://book.daum.net/search/contentSearch.do?query=

2012년 11월 1일 (목) 13:56 판

이 항목의 수학노트 원문주소==      

개요

 

 

 

q-이항계수

  • 세 변수 \(x,y,q\) 사이에 다음과 같은 관계를 정의
    \(yx=qxy,xq=qx,yq=qy\)
  • 다음과 같은 전개를 얻는다
    \((x+y)^4=x^4+(1+q+q^2+q^3)x^3y+\left(1+q^2\right) \left(1+q+q^2\right)x^2y^2+(1+q+q^2+q^3)xy^3+y^4\)

 

 

역사

 

 

 

메모

 

 

 

관련된 항목들

 

 

수학용어번역==    

매스매티카 파일 및 계산 리소스

 

 

사전 형태의 자료

 

 

리뷰논문, 에세이, 강의노트

 

 

 

관련논문

  • Kirkman, E., C. Procesi, and L. Small. 1994. “A Q-analog for the Virasoro Algebra.” Communications in Algebra 22 (10): 3755–3774. doi:10.1080/00927879408825052.

 

 

관련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