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론(field theory)"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항목의 스프링노트 원문주소==
Pythagoras0 (토론 | 기여) 잔글 (찾아 바꾸기 – “<h5>” 문자열을 “==” 문자열로) |
Pythagoras0 (토론 | 기여) 잔글 (찾아 바꾸기 – “</h5>” 문자열을 “==” 문자열로)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이 항목의 스프링노트 원문주소 | + |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이 항목의 스프링노트 원문주소== |
* [[체론(field theory)]]<br> | * [[체론(field theory)]]<br>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 |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개요 | + |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개요== |
* 사칙연산을 할 수 있는 대수적 구조<br> | * 사칙연산을 할 수 있는 대수적 구조<br>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 |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2em;">체(field)의 정의 | + |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2em;">체(field)의 정의== |
* 체 <math><\mathbb{F}, +, \cdot, 0,1></math><br> | * 체 <math><\mathbb{F}, +, \cdot, 0,1></math><br> | ||
28번째 줄: | 28번째 줄: | ||
− |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2em;">체확장 | + |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2em;">체확장== |
* 체 K가 체 F를 포함할 때, 즉 <math>F\subset K</math>일때, K를 F의 체확장이라 한다<br> | * 체 K가 체 F를 포함할 때, 즉 <math>F\subset K</math>일때, K를 F의 체확장이라 한다<br> | ||
36번째 줄: | 36번째 줄: | ||
− |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2em;">순환체확장(cyclic extension) | + |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2em;">순환체확장(cyclic extension)== |
* [[순환 체확장(cyclic extension)]]<br> | * [[순환 체확장(cyclic extension)]]<br> | ||
44번째 줄: | 44번째 줄: | ||
− |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2em;">거듭제곱근 체확장(radical extension) | + |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2em;">거듭제곱근 체확장(radical extension)== |
* 주어진 체에서 시작하여 거듭제곱근들을 넣어 만들 수 있는 체확장의 종류<br> | * 주어진 체에서 시작하여 거듭제곱근들을 넣어 만들 수 있는 체확장의 종류<br> | ||
56번째 줄: | 56번째 줄: | ||
− |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2em;">다항식과 갈루아체확장 | + |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2em;">다항식과 갈루아체확장== |
* (기약)다항식으로부터 얻어지는 해를 모두 추가하여 주어진 체를 확장시킬 수 있음<br> | * (기약)다항식으로부터 얻어지는 해를 모두 추가하여 주어진 체를 확장시킬 수 있음<br> | ||
68번째 줄: | 68번째 줄: | ||
− | ==역사 | + | ==역사== |
80번째 줄: | 80번째 줄: | ||
− | ==메모 | + | ==메모== |
86번째 줄: | 86번째 줄: | ||
− | ==관련된 항목들 | + | ==관련된 항목들== |
* [[갈루아 이론]]<br> | * [[갈루아 이론]]<br> | ||
98번째 줄: | 98번째 줄: | ||
− |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수학용어번역 | + |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수학용어번역== |
* 단어사전 http://www.google.com/dictionary?langpair=en|ko&q= | * 단어사전 http://www.google.com/dictionary?langpair=en|ko&q= | ||
111번째 줄: | 111번째 줄: | ||
− | ==사전 형태의 자료 | + | ==사전 형태의 자료== |
* [http://ko.wikipedia.org/wiki/%EC%B2%B4 http://ko.wikipedia.org/wiki/체] | * [http://ko.wikipedia.org/wiki/%EC%B2%B4 http://ko.wikipedia.org/wiki/체] | ||
128번째 줄: | 128번째 줄: | ||
− | ==관련논문 | + | ==관련논문== |
* [http://www.jstor.org/stable/2589500 Field Theory: From Equations to Axiomatization, Part I]<br> | * [http://www.jstor.org/stable/2589500 Field Theory: From Equations to Axiomatization, Part I]<br> | ||
139번째 줄: | 139번째 줄: | ||
− |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관련도서 | + |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관련도서== |
* [http://www.amazon.com/exec/obidos/ASIN/0817646841/ebooksclub-20/ A History of Abstract Algebra]<br> | * [http://www.amazon.com/exec/obidos/ASIN/0817646841/ebooksclub-20/ A History of Abstract Algebra]<br> | ||
156번째 줄: | 156번째 줄: | ||
− | ==블로그 | + | ==블로그== |
* 구글 블로그 검색<br> | * 구글 블로그 검색<br> |
2012년 11월 1일 (목) 13:04 판
이 항목의 스프링노트 원문주소==
개요==
- 사칙연산을 할 수 있는 대수적 구조
- 유리수, 실수, 복소수, 유한체, p-adic 체, function field 등
- 5차방정식과 근의 공식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개념틀
체(field)의 정의==
- 체 \(<\mathbb{F}, +, \cdot, 0,1>\)
- 집합 F와 더하기(+), 곱하기(·) 연산이 정의되어 있으며, 0과 1이라는 원소가 있어,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시킴
\((\mathbb{F}, +)\)는 아벨군이며 0은 항등원이다. 즉 덧셈에 대한 아벨군을 이룬다.
\((\mathbb{F}^{*}, \cdot)\)는 아벨군이며 1은 항등원이다. 여기서 \(\mathbb{F}^{*}\)은 0을 제외한 원소들의 집합.
더하기와 곱하기는 분배법칙을 만족시킨다. 즉, 모든 원소 \(a,b,c\in \mathbb{F}\)에 대하여 \(a \cdot (b+c) = (a \cdot b) + (a \cdot c)\) 이 성립한다.
체확장==
- 체 K가 체 F를 포함할 때, 즉 \(F\subset K\)일때, K를 F의 체확장이라 한다
순환체확장(cyclic extension)==
거듭제곱근 체확장(radical extension)==
- 주어진 체에서 시작하여 거듭제곱근들을 넣어 만들 수 있는 체확장의 종류
- 정다각형의 작도, 5차방정식과 근의 공식 에서 중요하게 사용되는 개념이다
- 거듭제곱근 체확장(radical extension) 항목에서 자세히 다룸
다항식과 갈루아체확장==
- (기약)다항식으로부터 얻어지는 해를 모두 추가하여 주어진 체를 확장시킬 수 있음
- 유리수체 \(\mathbb{Q}\)에서 정의된 다항식 \(x^3-2=0\)
- 해는 \(\sqrt[3]{2}, \omega\sqrt[3]{2}, \omega^2\sqrt[3]{2}\) 세 개가 존재
- 유리수체 \(\mathbb{Q}\)에 \(\sqrt[3]{2}, \omega\sqrt[3]{2}, \omega^2\sqrt[3]{2}\)를 집어넣으면 유리수체의 확장 \(K=\mathbb{Q}(\omega, \sqrt[3]{2})\) 를 얻음
- 이 때, 체 \(K\)는 유리수체 \(\mathbb{Q}\)위에 정의된 벡터공간이 되며, 벡터공간으로서의 차원은 \([K : \mathbb{Q}]=6\)이 됨
역사
메모
관련된 항목들
수학용어번역==
- 단어사전 http://www.google.com/dictionary?langpair=en%7Cko&q=
- 발음사전 http://www.forvo.com/search/
- 대한수학회 수학 학술 용어집
- 남·북한수학용어비교
- 대한수학회 수학용어한글화 게시판
사전 형태의 자료
- http://ko.wikipedia.org/wiki/체
- http://en.wikipedia.org/wiki/Field_(mathematics)
- http://en.wikipedia.org/wiki/Field_extension
- http://en.wikipedia.org/wiki/
- http://www.wolframalpha.com/input/?i=
- NIST Digital Library of Mathematical Functions
- The On-Line Encyclopedia of Integer Sequences
관련논문
- Field Theory: From Equations to Axiomatization, Part I
- Israel Kleiner,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Vol. 106, No. 7 (Aug. - Sep., 1999), pp. 677-684
- Field Theory: From Equations to Axiomatization, Part II
- Israel Kleiner,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Vol. 106, No. 9 (Nov., 1999), pp. 859-863
관련도서==
- A History of Abstract Algebra
- Israel Kleiner
- 도서내검색
- 도서검색
블로그
- 사칙연산을 할 수 있는 대수적 구조
- 유리수, 실수, 복소수, 유한체, p-adic 체, function field 등
- 5차방정식과 근의 공식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개념틀
- 체 \(<\mathbb{F}, +, \cdot, 0,1>\)
- 집합 F와 더하기(+), 곱하기(·) 연산이 정의되어 있으며, 0과 1이라는 원소가 있어,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시킴
\((\mathbb{F}, +)\)는 아벨군이며 0은 항등원이다. 즉 덧셈에 대한 아벨군을 이룬다.
\((\mathbb{F}^{*}, \cdot)\)는 아벨군이며 1은 항등원이다. 여기서 \(\mathbb{F}^{*}\)은 0을 제외한 원소들의 집합.
더하기와 곱하기는 분배법칙을 만족시킨다. 즉, 모든 원소 \(a,b,c\in \mathbb{F}\)에 대하여 \(a \cdot (b+c) = (a \cdot b) + (a \cdot c)\) 이 성립한다.
- 체 K가 체 F를 포함할 때, 즉 \(F\subset K\)일때, K를 F의 체확장이라 한다
- 주어진 체에서 시작하여 거듭제곱근들을 넣어 만들 수 있는 체확장의 종류
- 정다각형의 작도, 5차방정식과 근의 공식 에서 중요하게 사용되는 개념이다
- 거듭제곱근 체확장(radical extension) 항목에서 자세히 다룸
- (기약)다항식으로부터 얻어지는 해를 모두 추가하여 주어진 체를 확장시킬 수 있음
- 유리수체 \(\mathbb{Q}\)에서 정의된 다항식 \(x^3-2=0\)
- 해는 \(\sqrt[3]{2}, \omega\sqrt[3]{2}, \omega^2\sqrt[3]{2}\) 세 개가 존재
- 유리수체 \(\mathbb{Q}\)에 \(\sqrt[3]{2}, \omega\sqrt[3]{2}, \omega^2\sqrt[3]{2}\)를 집어넣으면 유리수체의 확장 \(K=\mathbb{Q}(\omega, \sqrt[3]{2})\) 를 얻음
- 이 때, 체 \(K\)는 유리수체 \(\mathbb{Q}\)위에 정의된 벡터공간이 되며, 벡터공간으로서의 차원은 \([K : \mathbb{Q}]=6\)이 됨
- 단어사전 http://www.google.com/dictionary?langpair=en%7Cko&q=
- 발음사전 http://www.forvo.com/search/
- 대한수학회 수학 학술 용어집
- 남·북한수학용어비교
- 대한수학회 수학용어한글화 게시판
사전 형태의 자료
- http://ko.wikipedia.org/wiki/체
- http://en.wikipedia.org/wiki/Field_(mathematics)
- http://en.wikipedia.org/wiki/Field_extension
- http://en.wikipedia.org/wiki/
- http://www.wolframalpha.com/input/?i=
- NIST Digital Library of Mathematical Functions
- The On-Line Encyclopedia of Integer Sequences
관련논문
- Field Theory: From Equations to Axiomatization, Part I
- Israel Kleiner,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Vol. 106, No. 7 (Aug. - Sep., 1999), pp. 677-684
- Field Theory: From Equations to Axiomatization, Part II
- Israel Kleiner,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Vol. 106, No. 9 (Nov., 1999), pp. 859-863
관련도서==
- A History of Abstract Algebra
- Israel Kleiner
- 도서내검색
- 도서검색
블로그
- Israel Klei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