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수의 분할수(integer partitions)"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h5 style="margin: 0px; line-height: 3.428em;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dotum,gulim,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position: 0px 100%;">이 항목의 스프링노트 원문주소</h5>
+
==개요==
 
 
* [[자연수의 분할수(integer partitions)|분할수]]
 
 
 
 
 
 
 
 
 
 
 
<h5>간단한 소개</h5>
 
  
 
* 분할수란 주어진 자연수를 자연수들의 덧셈으로 표현하는 방법의 수를 말함.
 
* 분할수란 주어진 자연수를 자연수들의 덧셈으로 표현하는 방법의 수를 말함.
 
* 주어진 자연수를 자연수 몇 개로 쪼개서 그 합으로 쓸 수 있는 방법의 수
 
* 주어진 자연수를 자연수 몇 개로 쪼개서 그 합으로 쓸 수 있는 방법의 수
 
* 가령 주어진 수가 3 이라면, 1+1+1, 2+1, 3 세 가지 방법
 
* 가령 주어진 수가 3 이라면, 1+1+1, 2+1, 3 세 가지 방법
* 주어진 자연수가 5 라면 1+1+1+1+1, 2+1+1+1, 2+2+1, 3+1+1, 3+2, 4+1, 일곱가지 방법
+
* 주어진 자연수가 5 라면 1+1+1+1+1, 2+1+1+1, 2+2+1, 3+1+1, 3+2, 4+1, 일곱가지 방법
*  자연수 n에 대하여 이런 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의 수를 p(n) (n의 분할수, partition number)라 한다.<br>
+
*  자연수 n에 대하여 이런 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의 수를 <math>p(n)</math> (n의 분할수, partition number)라 한다.
** p(3)=3, p(5)=7
+
** <math>p(3)=3, p(5)=7</math>
 
+
* 정수론, 조합론, 통계물리 등에서 중요한 역할 (모듈라 형식과 q-초기하급수 등)
 
 
 
 
 
 
 
 
<h5>수가 작은 경우의 분할수</h5>
 
  
n  p(n)
 
 
0    1<br> 1    1<br> 2    2<br> 3    3<br> 4    5<br> 5    7<br> 6    11<br> 7    15<br> 8    22<br> 9    30<br> 10    42<br> 11    56<br> 12    77<br> 13    101<br> 14    135<br> 15    176<br> 16    231<br> 17    297<br> 18    385<br> 19    490<br> 20    627
 
  
 +
==수가 작은 경우의 분할수==
 +
\begin{array}{c|c}
 +
n & p(n) \\
 +
\hline
 +
1 & 1 \\
 +
2 & 2 \\
 +
3 & 3 \\
 +
4 & 5 \\
 +
5 & 7 \\
 +
6 & 11 \\
 +
7 & 15 \\
 +
8 & 22 \\
 +
9 & 30 \\
 +
10 & 42 \\
 +
11 & 56 \\
 +
12 & 77 \\
 +
13 & 101 \\
 +
14 & 135 \\
 +
15 & 176 \\
 +
16 & 231 \\
 +
17 & 297 \\
 +
18 & 385 \\
 +
19 & 490 \\
 +
20 & 627 \\
 +
\end{array}
 
* [[200까지의 분할수 목록]]
 
* [[200까지의 분할수 목록]]
* 분할수가 상당히 빨리 증가함을 볼 수 있음
 
  
 
+
  
 
+
==생성함수==
  
<h5 style="line-height: 3.428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 dotum, gulim, 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image: ; background-color: initial; background-position: 0px 100%;">생성함수</h5>
+
*  분할수의 [[생성함수]]는 무한곱으로 표현가능
 +
:<math>\sum_{n=0}^\infty p(n)q^n= 1+q+2 q^2+3 q^3+5 q^4+7 q^5+11 q^6+15 q^7+22 q^8+30 q^9+42 q^{10}+\cdots</math>
 +
:<math>\sum_{n=0}^\infty p(n)q^n = \prod_{n=1}^\infty \frac {1}{1-q^n} = \prod_{n=1}^\infty (1-q^n)^{-1} </math>
 +
* [[분할수의 생성함수(오일러 함수)]] 항목을 참조
  
*  분할수의 [[생성함수]]는 무한곱으로 표현가능<br><math>\sum_{n=0}^\infty p(n)q^n= 1+q+2 q^2+3 q^3+5 q^4+7 q^5+11 q^6+15 q^7+22 q^8+30 q^9+42 q^{10}+\cdots</math><br>
 
  
<math>\sum_{n=0}^\infty p(n)q^n = \prod_{n=1}^\infty \frac {1}{1-q^n} \right = \prod_{n=1}^\infty (1-q^n)^{-1} </math>
+
==분할수의 점화식==
  
위의 무한곱표현과 [[오일러의 오각수정리(pentagonal number theorem)]]를 비교<br><math>(1-q)(1-q^2)(1-q^3) \cdots = 1 - q - q^2 + q^5 + q^7 - q^{12} - q^{15} + q^{22} + q^{26} + \cdots</math><br><math>\prod_{n=1}^\infty (1-q^n)=\sum_{k=-\infty}^\infty(-1)^kq^{k(3k-1)/2}</math><br>
+
분할수는 아래의 점화식을 만족시키는데, 컴퓨터가 등장하기 전에는 이 점화식을 이용하여, 분할수의 표를 작성했을 것이라 추측됨
* 위의 무한곱표현에 대한 더 자세한 이야기는 [[데데킨트 에타함수]] 항목을 참조
+
:<math>p(k) =p(k-1) + p(k-2)-p(k-5)-p(k-7)+p(k-12)+p(k-15)-p(k-22)+\cdots</math>
  
 
+
;증명
  
 
+
[[오일러의 오각수정리(pentagonal number theorem)]] 를 이용하자.
 +
:<math>(1-q)(1-q^2)(1-q^3) \cdots = 1 - q - q^2 + q^5 + q^7 - q^{12} - q^{15} + q^{22} + q^{26} + \cdots</math>
  
<h5 style="line-height: 3.428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 dotum, gulim, 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image: ; background-color: initial; background-position: 0px 100%;">분할수의 점화식</h5>
+
이는 [[분할수의 생성함수(오일러 함수)]]
  
<math>p(k) =p(k-1) + p(k-2)-p(k-5)-p(k-7)+p(k-12)+p(k-15)-p(k-22)+\cdots</math>
+
:<math>\sum_{n=0}^\infty p(n)q^n = \prod_{n=1}^\infty (1-q^n)^{-1} </math> 의 역수이므로, 둘을 곱하여
 +
:<math>(\sum_{n=0}^\infty p(n)q^n)(1 - q - q^2 + q^5 + q^7 - q^{12} - q^{15} + q^{22} + q^{26} + \cdots)=1</math>  
  
 
+
을 얻는다. 이로부터
 +
:<math>p(k) =p(k-1) + p(k-2)-p(k-5)-p(k-7)+p(k-12)+p(k-15)-p(k-22)+\cdots</math>
 +
를 얻을 수 있다.  ■
  
(증명)
+
===예===
 +
* <math>p(10)=42</math>
 +
* <math>p(9) + p(8)-p(5)-p(3)=30+22-7-3=42</math>
  
<math>\sum_{n=0}^\infty p(n)q^n = \prod_{n=1}^\infty (1-q^n)^{-1} </math> 와 <math>(1-q)(1-q^2)(1-q^3) \cdots = 1 - q - q^2 + q^5 + q^7 - q^{12} - q^{15} + q^{22} + q^{26} + \cdots</math> 의 양변을 곱하면,
+
  
<math>(\sum_{n=0}^\infty p(n)q^n)(1 - q - q^2 + q^5 + q^7 - q^{12} - q^{15} + q^{22} + q^{26} + \cdots)=1</math> 을 얻는다.
+
  
이로부터
+
==분할수가 만족시키는 합동식==
 +
*  라마누잔의 발견:<math>p(5k+4)\equiv 0 \pmod 5</math>:<math>p(7k+5)\equiv 0 \pmod 7</math>:<math>p(11k+6)\equiv 0 \pmod {11}</math>
 +
* [[분할수가 만족시키는 합동식]] 항목 참조
  
<math>p(k) =p(k-1) + p(k-2)-p(k-5)-p(k-7)+p(k-12)+p(k-15)-p(k-22)+\cdots</math>
+
  
를 얻을 수 있다.  (증명끝)
+
  
*  예<br>
+
==분할수의 근사공식==
** <math>p(10)=42</math>
+
* [[분할수의 근사 공식 (하디-라마누잔-라데마커 공식)|하디-라마누잔 분할수 공식]]
** <math>p(9) + p(8)-p(5)-p(3)=30+22-7-3=42</math>
+
:<math>p(n) \approx \frac {e^{\pi\sqrt{\frac{2n}{3}}}} {4\sqrt{3}n}</math>
  
 
 
  
 
 
  
 
+
==메모==
  
<h5>근사공식</h5>
+
* http://www.math.upenn.edu/~wilf/PIMS/PIMSLectures.pdf
  
'''함수의 크기'''
 
  
함수의 정확한 값보다 그것의 대충의 크기를 알고 싶은 것이므로,'asymptotic'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자.
+
  
<br> 두 함수 f(x)와 g(x)가 위와 같은 조건을 만족할 때, 두 함수가 'asymptotic'이라고 하고, f(x)~g(x) 라고 표현한다. 이것의 의미는 x가 충분히 크다면, 두 함수의 행동이 비슷하다는 것을 뜻한다. 물론, 함수의 정확한 값은 차이가 날 수도 있지만, 눈을 크게 뜨고 멀리서 바라보면, 둘이 같다는 것이다. 가령 이라는 함수가 있다고 생각해 보자. x값이 작을 때야, 가 함수값에 꽤나 영향을 미치겠지만, x가 커지면 커질수록, 는 거대한 지수함수  앞에서 미미한 존재가 될 뿐이다. 즉 함수의 행동을 지배하는 것은 지수함수이다. 이러한 sense에서 asymptotic을 이해하자.
+
==관련된 항목들==
  
정수에 관계된 함수의 큰 행동을 이해하는 것은 수학의 어렵고도 중요한 주제중의 하나이다.
+
* [[라마누잔(1887- 1920)|라마누잔의 수학]]
 
+
* [[데데킨트 에타함수]]
'''MacMahon의 경험'''
+
* [[패리 수열(Farey series)|Farey series]]
 
+
* [[분할수의 근사 공식 (하디-라마누잔-라데마커 공식)|하디-라마누잔 분할수 공식]]
{| class="g2"
+
* [[수학사 연표]]
|-
+
* [[오일러의 오각수정리(pentagonal number theorem)]]
| The table can be extended further of course no apparent pattern emerges. There is a famous story concerning the search for some kind of pattern in this table. This is told of Major MacMahon who kept a list of these partition numbers arranged one under another up into the hundreds. It suddenly occurred to him that, viewed from a distance, the outline of the digits seemed to form a parabola! Thus the number of digits in p(n), the number of partitions of n, is around  or, p(n) itself is very roughly  . The first crude assesment of p(n)!
+
* [[Q-초기하급수(q-hypergeometric series)와 양자미적분학(q-calculus)|q-초기하급수(q-hypergeometric series)]]
Donald J.Newman 이 지은 'Analytic Number Theory'중에서
 
 
 
|-
 
| (생략)좀 떨어진 거리에서, 수의 끝부분은 포물선을 이룬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생략)
 
|}
 
 
 
위에 써 있는 내용을 이해하는 것은 log 함수의 이해를 필요로 한다. p(n)가 쓰여진 길이는 그 것의 자릿수에 비례하는 것이고, 한편 log p(n) 값은 그 자릿수에 비례한다. p(n)의 자릿수가 대충 이라면 라는 얘기가 된다. (여기서 C는 적당한 상수) 너무 대충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겠지만, 무언가를 발견한다는 것은 개연성 있는 직관이면 족한 것이다!<br> 그럼 이제 맥머흔 소령의 경험을 재현하자!
 
 
 
다음 그림은 Partition Number를 1부터 200까지 아래로 죽 늘어뜨린 다음에 글씨체를 상당히 작게 한 것이다. 그 다음에 아래위를 뒤집었다.짜잔!!!
 
 
 
<br> 당신의 눈에도 포물선이 보이는가?<br> 숫자같이 보이지 않겠지만
 
 
 
 
 
 
 
요런 것을 글씨체를 작게 하면 저렇게 된다.<br> 위에서 얻은 그림을 가로로 좀 더 잡아 당겨서 다음 그림을 얻었다.
 
 
 
<br> 정말로 꽤나 그럴듯한 포물선이다.<br> 이것으로 미루어 보아 맥머흔의 글씨체는 상당히 옆으로 퍼졌던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 본다.
 
 
 
'''맥머흔의 관찰은 옳았던가?'''
 
 
 
맥머흔의 이 매우 흥미로운 경험은 후대의 연구에 의하여, 틀린 것으로 판명되었다. 알려진 결과에 의하면 분할수의 근사공식은 다음과 같다.
 
 
 
<math>p(n) \approx \frac {e^{\pi\sqrt{\frac{2n}{3}}}} {4\sqrt{3}n}</math><br> 엄밀히 말해 맥머흔의 추론은 틀린 것이다. 그러나 맥머흔의 관찰이 의미없는 것은 아니다. 비록 정확하지는 못했지만 n이 상대적으로 작았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맥머흔의 경험은 공식에 그럴듯한 접근은 한 것이다. 또한 partition number에도 어떠한 규칙이 있을 가능성을 보였다는 점에서 충분히 의미가 있는 일일테니까.<br> 이제 위의 근사공식이 얼마나 그럴듯한 것인지를 확인하며 마무리를 하자.
 
 
 
위에서 얻은 근사공식은 <math>n=200</math>인 경우, 그 값이 <math>4.10025 \times 10^{12}</math>정도 된다. 한편, 이 경우 분할수의 값은 p(200)=3972999029388이므로, 공식이 정확히 맞지는 않아도, 꽤나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h5>메모</h5>
 
 
 
* [http://www.math.upenn.edu/%7Ewilf/PIMS/PIMSLectures.pdf ][http://www.math.upenn.edu/%7Ewilf/PIMS/PIMSLectures.pdf http://www.math.upenn.edu/~wilf/PIMS/PIMSLectures.pdf]
 
 
 
 
 
 
 
 
 
 
 
<h5>재미있는 사실</h5>
 
 
 
 
 
  
 
 
  
<h5>관련된 고교수학 또는 대학수학</h5>
+
===관련된 고교수학 또는 대학수학===
  
 
* [[일변수미적분학]]
 
* [[일변수미적분학]]
141번째 줄: 114번째 줄:
 
* [[해석적정수론]]
 
* [[해석적정수론]]
  
 
 
 
 
 
 
<h5>관련된 다른 주제들</h5>
 
 
* [[라마누잔(1887- 1920)|라마누잔의 수학]]
 
* [[데데킨트 에타함수]]
 
* [[패리 수열(Farey series)|Farey series]]
 
* [[분할수의 근사 공식 (하디-라마누잔-라데마커 공식)|하디-라마누잔 분할수 공식]]
 
* [[수학사연표 (역사)|수학사연표]]
 
* [[오일러의 오각수정리(pentagonal number theorem)]]
 
 
 
 
 
 
 
 
<h5>관련도서 및 추천도서</h5>
 
 
* [http://www.amazon.com/Theory-Partitions-Encyclopedia-Mathematics-Applications/dp/052163766X The Theory of Partitions]<br>
 
**  George E. Andrews<br>
 
*  도서내검색<br>
 
** http://books.google.com/books?q=
 
** http://book.daum.net/search/contentSearch.do?query=
 
*  도서검색<br>
 
** http://www.amazon.com/s/ref=nb_ss_gw?url=search-alias%3Dstripbooks&field-keywords=
 
** http://book.daum.net/search/mainSearch.do?query=
 
  
 
+
 +
==매스매티카 파일 및 계산 리소스==
 +
* https://docs.google.com/file/d/0B8XXo8Tve1cxbXN3Zm5LZnFPNU0/edit
 +
  
 
+
==관련도서==
 +
*  George E. Andrews, [http://www.amazon.com/Theory-Partitions-Encyclopedia-Mathematics-Applications/dp/052163766X The Theory of Partitions]
  
<h5>관련논문</h5>
 
  
* [http://www.jstor.org/stable/3618767 Computations of the Partition Function]<br>
+
** P. Shiu, <cite>The Mathematical Gazette</cite>, Vol. 81, No. 490 (Mar., 1997), pp. 45-52
 
* [http://projecteuclid.org/DPubS?service=UI&version=1.0&verb=Display&handle=euclid.bams/1183554533 Dyson's crank of a partition]<br>
 
** George E. Andrews and F. G. Garvan, Source: Bull. Amer. Math. Soc. (N.S.) Volume 18, Number 2 (1988), 167-171
 
  
 
+
  
 
+
==리뷰논문, 에세이, 강의노트==
 +
* [http://link.springer.com/article/10.1023%2FA%3A1026224002193?LI=true Partitions : at the interface of q-series and modular forms] Andrews, George E., 2003
 +
* George E. Andrews [http://www.ams.org/bull/2007-44-04/S0273-0979-07-01180-9/ Euler's "De Partitio Numerorum"], Bull. Amer. Math. Soc. 44 (2007), 561-573.
 +
* P. Shiu, [http://www.jstor.org/stable/3618767 Computations of the Partition Function] <cite>The Mathematical Gazette</cite>, Vol. 81, No. 490 (Mar., 1997), pp. 45-52
  
<h5>사전 형태의 자료</h5>
 
  
* http://ko.wikipedia.org/wiki/
+
==관련논문==
* [http://en.wikipedia.org/wiki/Partition_%28number_theory%29 http://en.wikipedia.org/wiki/Partition_(number_theory)]
+
* Koustav Banerjee, Prabir Das Adhikary, An elementary alternative proof for chan's analogue of ramanujan's most beautiful identity and some inequality of the cubic partition, arXiv:1604.03439 [math.NT], April 12 2016, http://arxiv.org/abs/1604.03439
* http://en.wikipedia.org/wiki/
+
* Scott Ahlgren, Nickolas Andersen, Algebraic and transcendental formulas for the smallest parts function, 10.1016/j.aim.2015.11.011, http://dx.doi.org/10.1016/j.aim.2015.11.011, Adv. Math. 289 (2016) 411-437, http://arxiv.org/abs/1504.02500v3
 +
* Judge, Samuel D., William J. Keith, and Fabrizio Zanello. “On the Density of the Odd Values of the Partition Function.” arXiv:1511.05531 [math], November 17, 2015. http://arxiv.org/abs/1511.05531.
 +
* Belmont, Eva, Holden Lee, Alexandra Musat, and Sarah Trebat-Leder. “L-Adic Properties of Partition Functions.” arXiv:1510.01202 [math], October 5, 2015. http://arxiv.org/abs/1510.01202.
 +
* Alwaise, Ethan, Robert Dicks, Jason Friedman, Lianyan Gu, Zach Harner, Hannah Larson, Madeline Locus, Ian Wagner, and Josh Weinstock. “Shifted Distinct-Part Partition Identities in Arithmetic Progressions.” arXiv:1507.07943 [math], July 28, 2015. http://arxiv.org/abs/1507.07943.
 +
* O’Sullivan, Cormac. “Asymptotics for the Partial Fractions of the Restricted Partition Generating Function I.” arXiv:1507.07975 [math], July 28, 2015. http://arxiv.org/abs/1507.07975.
 +
* O’Sullivan, Cormac. “Asymptotics for the Partial Fractions of the Restricted Partition Generating Function II.” arXiv:1507.07977 [math], July 28, 2015. http://arxiv.org/abs/1507.07977.
 +
* Engel, Benjamin. “Log-Concavity of the Overpartition Function.” arXiv:1412.4603 [math], December 15, 2014. http://arxiv.org/abs/1412.4603.
 +
* DeSalvo, Stephen, and Igor Pak. “Log-Concavity of the Partition Function.” arXiv:1310.7982 [math], October 29, 2013. http://arxiv.org/abs/1310.7982.
  
 
+
==사전 형태의 자료==
 +
* http://ko.wikipedia.org/wiki/분할수
 +
* http://en.wikipedia.org/wiki/Partition_(number_theory)
  
<h5>블로그</h5>
+
[[분류:q-급수]]
 +
[[분류:분할수]]
  
* 구글 블로그 검색 http://blogsearch.google.com/blogsearch?q=
+
==메타데이터==
* 트렌비 블로그 검색 http://www.trenb.com/search.qst?q=
+
===위키데이터===
 +
* ID :  [https://www.wikidata.org/wiki/Q298708 Q298708]
 +
===Spacy 패턴 목록===
 +
* [{'LEMMA': 'partition'}]

2021년 2월 17일 (수) 05:57 기준 최신판

개요

  • 분할수란 주어진 자연수를 자연수들의 덧셈으로 표현하는 방법의 수를 말함.
  • 주어진 자연수를 자연수 몇 개로 쪼개서 그 합으로 쓸 수 있는 방법의 수
  • 가령 주어진 수가 3 이라면, 1+1+1, 2+1, 3 세 가지 방법
  • 주어진 자연수가 5 라면 1+1+1+1+1, 2+1+1+1, 2+2+1, 3+1+1, 3+2, 4+1, 5 일곱가지 방법
  • 자연수 n에 대하여 이런 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의 수를 \(p(n)\) (n의 분할수, partition number)라 한다.
    • \(p(3)=3, p(5)=7\)
  • 정수론, 조합론, 통계물리 등에서 중요한 역할 (모듈라 형식과 q-초기하급수 등)


수가 작은 경우의 분할수

\begin{array}{c|c} n & p(n) \\ \hline 1 & 1 \\ 2 & 2 \\ 3 & 3 \\ 4 & 5 \\ 5 & 7 \\ 6 & 11 \\ 7 & 15 \\ 8 & 22 \\ 9 & 30 \\ 10 & 42 \\ 11 & 56 \\ 12 & 77 \\ 13 & 101 \\ 14 & 135 \\ 15 & 176 \\ 16 & 231 \\ 17 & 297 \\ 18 & 385 \\ 19 & 490 \\ 20 & 627 \\ \end{array}


생성함수

\[\sum_{n=0}^\infty p(n)q^n= 1+q+2 q^2+3 q^3+5 q^4+7 q^5+11 q^6+15 q^7+22 q^8+30 q^9+42 q^{10}+\cdots\] \[\sum_{n=0}^\infty p(n)q^n = \prod_{n=1}^\infty \frac {1}{1-q^n} = \prod_{n=1}^\infty (1-q^n)^{-1} \]


분할수의 점화식

  • 분할수는 아래의 점화식을 만족시키는데, 컴퓨터가 등장하기 전에는 이 점화식을 이용하여, 분할수의 표를 작성했을 것이라 추측됨

\[p(k) =p(k-1) + p(k-2)-p(k-5)-p(k-7)+p(k-12)+p(k-15)-p(k-22)+\cdots\]

증명

오일러의 오각수정리(pentagonal number theorem) 를 이용하자. \[(1-q)(1-q^2)(1-q^3) \cdots = 1 - q - q^2 + q^5 + q^7 - q^{12} - q^{15} + q^{22} + q^{26} + \cdots\]

이는 분할수의 생성함수(오일러 함수)

\[\sum_{n=0}^\infty p(n)q^n = \prod_{n=1}^\infty (1-q^n)^{-1} \] 의 역수이므로, 둘을 곱하여 \[(\sum_{n=0}^\infty p(n)q^n)(1 - q - q^2 + q^5 + q^7 - q^{12} - q^{15} + q^{22} + q^{26} + \cdots)=1\]

을 얻는다. 이로부터 \[p(k) =p(k-1) + p(k-2)-p(k-5)-p(k-7)+p(k-12)+p(k-15)-p(k-22)+\cdots\] 를 얻을 수 있다. ■

  • \(p(10)=42\)
  • \(p(9) + p(8)-p(5)-p(3)=30+22-7-3=42\)



분할수가 만족시키는 합동식



분할수의 근사공식

\[p(n) \approx \frac {e^{\pi\sqrt{\frac{2n}{3}}}} {4\sqrt{3}n}\]


메모



관련된 항목들


관련된 고교수학 또는 대학수학


매스매티카 파일 및 계산 리소스


관련도서




리뷰논문, 에세이, 강의노트


관련논문

  • Koustav Banerjee, Prabir Das Adhikary, An elementary alternative proof for chan's analogue of ramanujan's most beautiful identity and some inequality of the cubic partition, arXiv:1604.03439 [math.NT], April 12 2016, http://arxiv.org/abs/1604.03439
  • Scott Ahlgren, Nickolas Andersen, Algebraic and transcendental formulas for the smallest parts function, 10.1016/j.aim.2015.11.011, http://dx.doi.org/10.1016/j.aim.2015.11.011, Adv. Math. 289 (2016) 411-437, http://arxiv.org/abs/1504.02500v3
  • Judge, Samuel D., William J. Keith, and Fabrizio Zanello. “On the Density of the Odd Values of the Partition Function.” arXiv:1511.05531 [math], November 17, 2015. http://arxiv.org/abs/1511.05531.
  • Belmont, Eva, Holden Lee, Alexandra Musat, and Sarah Trebat-Leder. “L-Adic Properties of Partition Functions.” arXiv:1510.01202 [math], October 5, 2015. http://arxiv.org/abs/1510.01202.
  • Alwaise, Ethan, Robert Dicks, Jason Friedman, Lianyan Gu, Zach Harner, Hannah Larson, Madeline Locus, Ian Wagner, and Josh Weinstock. “Shifted Distinct-Part Partition Identities in Arithmetic Progressions.” arXiv:1507.07943 [math], July 28, 2015. http://arxiv.org/abs/1507.07943.
  • O’Sullivan, Cormac. “Asymptotics for the Partial Fractions of the Restricted Partition Generating Function I.” arXiv:1507.07975 [math], July 28, 2015. http://arxiv.org/abs/1507.07975.
  • O’Sullivan, Cormac. “Asymptotics for the Partial Fractions of the Restricted Partition Generating Function II.” arXiv:1507.07977 [math], July 28, 2015. http://arxiv.org/abs/1507.07977.
  • Engel, Benjamin. “Log-Concavity of the Overpartition Function.” arXiv:1412.4603 [math], December 15, 2014. http://arxiv.org/abs/1412.4603.
  • DeSalvo, Stephen, and Igor Pak. “Log-Concavity of the Partition Function.” arXiv:1310.7982 [math], October 29, 2013. http://arxiv.org/abs/1310.7982.

사전 형태의 자료

메타데이터

위키데이터

Spacy 패턴 목록

  • [{'LEMMA': 'part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