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그랑지 resolvent"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  다음과 같은 곳에서 등장<br>
+
*  다음과 같은 곳에서 등장
 
** [[가우스 합]]
 
** [[가우스 합]]
 
** 가해인 다항식의 근을 찾는 과정
 
** 가해인 다항식의 근을 찾는 과정
8번째 줄: 8번째 줄:
 
* <math>\chi</math>-weighted average over the Galois orbit of <math>\theta</math>
 
* <math>\chi</math>-weighted average over the Galois orbit of <math>\theta</math>
  
 
+
  
 
+
  
 
==정의와 주요 성질==
 
==정의와 주요 성질==
16번째 줄: 16번째 줄:
 
* <math>K/F</math> 는 순환체확장
 
* <math>K/F</math> 는 순환체확장
 
* <math>\text{Gal}(K/F)</math> 는 크기가 n인 갈루아 군
 
* <math>\text{Gal}(K/F)</math> 는 크기가 n인 갈루아 군
*  charater <math>\chi : \text{Gal}(K/F) \to F</math>와 <math>\theta\in K</math>에 대하여 라그랑지 resolvent를 다음과 같이 정의함:<math>R(\theta,\chi)=\sum_{g\in G}\chi(g)g(\theta)\in K</math><br>
+
*  charater <math>\chi : \text{Gal}(K/F) \to F</math>와 <math>\theta\in K</math>에 대하여 라그랑지 resolvent를 다음과 같이 정의함:<math>R(\theta,\chi)=\sum_{g\in G}\chi(g)g(\theta)\in K</math>
*  중요한 성질<br>
+
*  중요한 성질
 
** (equivariance) 임의의 <math>g\in G</math> 에 대하여 <math>g(R)=\chi(g^{-1})R</math>
 
** (equivariance) 임의의 <math>g\in G</math> 에 대하여 <math>g(R)=\chi(g^{-1})R</math>
 
** 임의의 <math>g\in G</math> 에 대하여 <math>g(R^n)=R^n</math>. 따라서 <math>R^n\in F</math>
 
** 임의의 <math>g\in G</math> 에 대하여 <math>g(R^n)=R^n</math>. 따라서 <math>R^n\in F</math>
* <math>\chi</math> 가 character group 의 생성원인 경우,:<math>\theta=\frac{1}{n}\sum_{i=0}^{n-1}R(\theta,\chi^{i})</math><br>
+
* <math>\chi</math> 가 character group 의 생성원인 경우,:<math>\theta=\frac{1}{n}\sum_{i=0}^{n-1}R(\theta,\chi^{i})</math>
 
* 이로부터 <math>\theta\in K</math> 를 F의 원소의 radical 들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음을 안다
 
* 이로부터 <math>\theta\in K</math> 를 F의 원소의 radical 들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음을 안다
  
  
 
==3차 방정식의 근의 공식==
 
==3차 방정식의 근의 공식==
*  방정식 <math>t^3+p t+q=0</math> 의 해를 <math>x,y,z</math>라 하자<br>
+
*  방정식 <math>t^3+p t+q=0</math> 의 해를 <math>x,y,z</math>라 하자
* <math>\omega </math> 는 <math>\omega ^2+\omega +1=0</math> 를 만족시키는 primitive root of unity 이다<br>
+
* <math>\omega </math> 는 <math>\omega ^2+\omega +1=0</math> 를 만족시키는 primitive root of unity 이다
* $u$$v$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
* <math>u</math><math>v</math>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math>u=\left(x+\omega  y+\omega ^2 z\right)^3</math>
 
:<math>u=\left(x+\omega  y+\omega ^2 z\right)^3</math>
 
:<math>v=\left(x+\omega ^2 y+\omega  z\right)^3</math>  
 
:<math>v=\left(x+\omega ^2 y+\omega  z\right)^3</math>  
* $u,v$는  <math>p,q</math> 와 근호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음을 보일 수 있다
+
* <math>u,v</math>는  <math>p,q</math> 와 근호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음을 보일 수 있다
* 이로부터 $x,y,z$를, <math>p,q</math> 와 근호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음을 보일 수 있다  
+
* 이로부터 <math>x,y,z</math>를, <math>p,q</math> 와 근호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음을 보일 수 있다  
 
* [[근의 공식과 라그랑지 resolvent]] 참조
 
* [[근의 공식과 라그랑지 resolvent]] 참조
 
+
  
 
+
  
 
==가우스 합의 예==
 
==가우스 합의 예==
  
* [[가우스 합]] 
+
* [[가우스 합]]  
 
* <math>a\in (\mathbb Z/f \mathbb Z)^{*}</math>와 준동형사상 <math>\chi \colon (\mathbb Z/f\mathbb Z)^{*} \to \mathbb C^{*}</math>에 대하여 가우스합을 다음과 같이 정의함
 
* <math>a\in (\mathbb Z/f \mathbb Z)^{*}</math>와 준동형사상 <math>\chi \colon (\mathbb Z/f\mathbb Z)^{*} \to \mathbb C^{*}</math>에 대하여 가우스합을 다음과 같이 정의함
 
:<math>g_a(\chi) := \sum_{(t,f)=1} \chi(t) e^{2 \pi i a t/f}=\sum_{(t,f)=1} \chi(t) \zeta^{a t}</math>
 
:<math>g_a(\chi) := \sum_{(t,f)=1} \chi(t) e^{2 \pi i a t/f}=\sum_{(t,f)=1} \chi(t) \zeta^{a t}</math>
45번째 줄: 45번째 줄:
 
*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진다
 
*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진다
 
:<math>g_a(\chi) = \chi(a^{-1}) g_1(\chi)=\bar\chi(a)g_1(\chi)</math>
 
:<math>g_a(\chi) = \chi(a^{-1}) g_1(\chi)=\bar\chi(a)g_1(\chi)</math>
 
+
  
 
==순환 체확장에서의 응용==
 
==순환 체확장에서의 응용==
  
* [[순환 체확장(cyclic extension)]]<br>
+
* [[순환 체확장(cyclic extension)]]
  
 
<math>F</math>가 primitive n-th root of unity <math>\zeta_n</math>를 포함하는 체
 
<math>F</math>가 primitive n-th root of unity <math>\zeta_n</math>를 포함하는 체
  
<math>K</math>가 F의 순환체확장이면, 적당한 원소 <math>a\in F</math> 가 존재하여, <math>K= F(a)</math>와 <math>a^n\in F</math> 를 만족시킨다.
+
<math>K</math>가 F의 순환체확장이면, 적당한 원소 <math>a\in F</math> 존재하여, <math>K= F(a)</math><math>a^n\in F</math> 만족시킨다.
  
<math>\text{Gal}(K/F)</math> 가 <math>\sigma</math>에 의하여 생성되는 순환군이라 하자.
+
<math>\text{Gal}(K/F)</math> <math>\sigma</math>에 의하여 생성되는 순환군이라 하자.
  
<math>K</math>에 정의된 <math>F</math>-선형사상 <math>\tau=\sum_{i=0}^{n-1}\zeta_n^i\sigma^i</math>는 <math>\{\sigma^i\}</math>의 선형독립성에 의하여 0이 아님을 알 수 있고, 따라서 <math>\tau(b)\in K\neq 0 </math> 인 <math>b\in K</math>가 존재한다. 
+
<math>K</math>에 정의된 <math>F</math>-선형사상 <math>\tau=\sum_{i=0}^{n-1}\zeta_n^i\sigma^i</math><math>\{\sigma^i\}</math>의 선형독립성에 의하여 0이 아님을 알 수 있고, 따라서 <math>\tau(b)\in K\neq 0 </math> <math>b\in K</math>가 존재한다.  
  
<math>a=\tau(b)=\sum_{i=0}^{n-1}\zeta_n^i\sigma^i(b)</math>  로 정의되는 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
<math>a=\tau(b)=\sum_{i=0}^{n-1}\zeta_n^i\sigma^i(b)</math> 로 정의되는 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math>\sigma(a)=\zeta_n^{-1}a</math>  임을 다음과 같이 보일 수 있다.
+
<math>\sigma(a)=\zeta_n^{-1}a</math> 임을 다음과 같이 보일 수 있다.
  
 
:<math>\sigma(a)=\sigma\left(\tau(b)\right)=\sigma\left(\sum_{i=0}^{n-1}\zeta_n^i\sigma^i(b)\right)=\sum_{i=0}^{n-1}\zeta_n^i\sigma^{i+1}(b)=\zeta_n^{-1}\sum_{i=0}^{n-1}\zeta_n^{i+1}\sigma^{i+1}(b)=\zeta_n^{-1}a</math>
 
:<math>\sigma(a)=\sigma\left(\tau(b)\right)=\sigma\left(\sum_{i=0}^{n-1}\zeta_n^i\sigma^i(b)\right)=\sum_{i=0}^{n-1}\zeta_n^i\sigma^{i+1}(b)=\zeta_n^{-1}\sum_{i=0}^{n-1}\zeta_n^{i+1}\sigma^{i+1}(b)=\zeta_n^{-1}a</math>
  
 
+
  
 
+
  
 
+
  
 
+
 
 
==역사==
 
 
 
 
 
 
 
* http://www.google.com/search?hl=en&tbs=tl:1&q=
 
* [[수학사 연표]]
 
 
 
 
 
 
 
 
 
  
 
==메모==
 
==메모==
  
* the Gauss sum is a special case of a general symmetrizing device, the Lagrange resolvent, that has built-in equivaraiance and equation-solving properties that are easier to understand in general than in the confusingly overly-specic context of Gauss sums alone. [http://people.reed.edu/%7Ejerry/361/lectures/gslag.pdf http://people.reed.edu/~jerry/361/lectures/gslag.pdf]
+
* the Gauss sum is a special case of a general symmetrizing device, the Lagrange resolvent, that has built-in equivaraiance and equation-solving properties that are easier to understand in general than in the confusingly overly-specic context of Gauss sums alone. [http://people.reed.edu/%7Ejerry/361/lectures/gslag.pdf http://people.reed.edu/~jerry/361/lectures/gslag.pdf]
 
* Garrett, [http://www.math.umn.edu/%7Egarrett/m/v/kummer_eis.pdf  Kummer, Eisenstein, and cyclotomic Lagrange resolvents]
 
* Garrett, [http://www.math.umn.edu/%7Egarrett/m/v/kummer_eis.pdf  Kummer, Eisenstein, and cyclotomic Lagrange resolvents]
  
 
+
  
 
==관련된 항목들==
 
==관련된 항목들==
96번째 줄: 85번째 줄:
 
* [[원분다항식의 해법]]
 
* [[원분다항식의 해법]]
 
* [[바일 지표 공식 (Weyl character formula)]]
 
* [[바일 지표 공식 (Weyl character formula)]]
 
+
  
 
+
  
 
==수학용어번역==
 
==수학용어번역==
 
* {{학술용어집|url=resolvent}}
 
* {{학술용어집|url=resolvent}}
 
+
  
 
+
  
 
==매스매티카 파일 및 계산 리소스==
 
==매스매티카 파일 및 계산 리소스==
113번째 줄: 102번째 줄:
 
* [http://people.reed.edu/%7Ejerry/361/lectures/gslag.pdf WHENCE GAUSS SUMS?]
 
* [http://people.reed.edu/%7Ejerry/361/lectures/gslag.pdf WHENCE GAUSS SUMS?]
  
 
+
  
 
+
 
[[분류:방정식과 근의 공식]]
 
[[분류:방정식과 근의 공식]]
 
 
 

2020년 12월 28일 (월) 03:15 기준 최신판

개요



정의와 주요 성질

  • \(K/F\) 는 순환체확장
  • \(\text{Gal}(K/F)\) 는 크기가 n인 갈루아 군
  • charater \(\chi : \text{Gal}(K/F) \to F\)와 \(\theta\in K\)에 대하여 라그랑지 resolvent를 다음과 같이 정의함\[R(\theta,\chi)=\sum_{g\in G}\chi(g)g(\theta)\in K\]
  • 중요한 성질
    • (equivariance) 임의의 \(g\in G\) 에 대하여 \(g(R)=\chi(g^{-1})R\)
    • 임의의 \(g\in G\) 에 대하여 \(g(R^n)=R^n\). 따라서 \(R^n\in F\)
  • \(\chi\) 가 character group 의 생성원인 경우,\[\theta=\frac{1}{n}\sum_{i=0}^{n-1}R(\theta,\chi^{i})\]
  • 이로부터 \(\theta\in K\) 를 F의 원소의 radical 들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음을 안다


3차 방정식의 근의 공식

  • 방정식 \(t^3+p t+q=0\) 의 해를 \(x,y,z\)라 하자
  • \(\omega \) 는 \(\omega ^2+\omega +1=0\) 를 만족시키는 primitive root of unity 이다
  • \(u\)와 \(v\)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u=\left(x+\omega y+\omega ^2 z\right)^3\] \[v=\left(x+\omega ^2 y+\omega z\right)^3\]

  • \(u,v\)는 \(p,q\) 와 근호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음을 보일 수 있다
  • 이로부터 \(x,y,z\)를, \(p,q\) 와 근호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음을 보일 수 있다
  • 근의 공식과 라그랑지 resolvent 참조



가우스 합의 예

  • 가우스 합
  • \(a\in (\mathbb Z/f \mathbb Z)^{*}\)와 준동형사상 \(\chi \colon (\mathbb Z/f\mathbb Z)^{*} \to \mathbb C^{*}\)에 대하여 가우스합을 다음과 같이 정의함

\[g_a(\chi) := \sum_{(t,f)=1} \chi(t) e^{2 \pi i a t/f}=\sum_{(t,f)=1} \chi(t) \zeta^{a t}\] 여기서 \( \zeta = e^{2\pi i/f}\)

  •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진다

\[g_a(\chi) = \chi(a^{-1}) g_1(\chi)=\bar\chi(a)g_1(\chi)\]


순환 체확장에서의 응용

\(F\)가 primitive n-th root of unity \(\zeta_n\)를 포함하는 체

\(K\)가 F의 순환체확장이면, 적당한 원소 \(a\in F\) 가 존재하여, \(K= F(a)\)와 \(a^n\in F\) 를 만족시킨다.

\(\text{Gal}(K/F)\) 가 \(\sigma\)에 의하여 생성되는 순환군이라 하자.

\(K\)에 정의된 \(F\)-선형사상 \(\tau=\sum_{i=0}^{n-1}\zeta_n^i\sigma^i\)는 \(\{\sigma^i\}\)의 선형독립성에 의하여 0이 아님을 알 수 있고, 따라서 \(\tau(b)\in K\neq 0 \) 인 \(b\in K\)가 존재한다.

\(a=\tau(b)=\sum_{i=0}^{n-1}\zeta_n^i\sigma^i(b)\) 로 정의되는 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sigma(a)=\zeta_n^{-1}a\) 임을 다음과 같이 보일 수 있다.

\[\sigma(a)=\sigma\left(\tau(b)\right)=\sigma\left(\sum_{i=0}^{n-1}\zeta_n^i\sigma^i(b)\right)=\sum_{i=0}^{n-1}\zeta_n^i\sigma^{i+1}(b)=\zeta_n^{-1}\sum_{i=0}^{n-1}\zeta_n^{i+1}\sigma^{i+1}(b)=\zeta_n^{-1}a\]





메모


관련된 항목들



수학용어번역



매스매티카 파일 및 계산 리소스


리뷰논문, 에세이, 강의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