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차방정식과 근의 공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피타고라스님이 이 페이지의 이름을 5차방정식과 근의 공식로 바꾸었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h5 style="line-height: 3.428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 dotum, gulim, 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image: ; background-color: initial; background-position: 0px 100%;">이 항목의 스프링노트 원문주소</h5>
 
<h5 style="line-height: 3.428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 dotum, gulim, 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image: ; background-color: initial; background-position: 0px 100%;">이 항목의 스프링노트 원문주소</h5>
 +
 +
* [[5차방정식과 근의 공식]]
  
 
 
 
 
6번째 줄: 8번째 줄:
  
 
<h5>개요</h5>
 
<h5>개요</h5>
 +
 +
 
  
 
 
 
 
13번째 줄: 17번째 줄:
 
<h5 style="line-height: 3.428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 dotum, gulim, 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image: ; background-color: initial; background-position: 0px 100%;">증명의 개요</h5>
 
<h5 style="line-height: 3.428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 dotum, gulim, 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image: ; background-color: initial; background-position: 0px 100%;">증명의 개요</h5>
  
We start from the field of symmetric functions.<br>
+
증명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br>
* Essentially, we are studying the radical extension of that base field.<br>
+
**  5차 방정식의 해를 거듭제곱근기호를 써서 나타낼 때의 일반적인 표현<br>
The proof is consisted of two steps.<br>
+
**  거듭제곱근의 기호를 써서 표현할 때 등장하는 수들은 방정식의 해의 유리함수로 표현가능<br>
* radicals to express the quintic formula can be expressed in terms of roots<br>
 
the behavior of radicals under permutations<br>
 
  
 
 
 
 
24번째 줄: 26번째 줄:
  
 
 
 
 
 +
 +
<h5 style="line-height: 2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 dotum, gulim, 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image: ; background-color: initial; background-position: 0px 100%;">거듭제곱근 체확장</h5>
 +
 +
*  기본체 <math>F=R_0</math><br>
 +
*  적당한 원소 <math>a_0 \in F</math>와 소수 <math>n_0</math>에 대하여, 거듭제곱근 <math>\sqrt[n_0]a</math> 를 넣어 얻어지는 체확장 <math>R_1=R_0(\sqrt[n_0]a_0)</math><br>
 +
*  적당한 원소 <math>a_1\in R_1</math>와 소수 <math>n_1</math>에 대하여, 거듭제곱근 <math>\sqrt[n_1]a_1</math> 를 넣어 얻어지는 체확장 <math>R_2=R_1(\sqrt[n_1]a_1)</math><br>
 +
*  이러한 체확장을 유한번 반복하여 얻어지는 <math>F=R_0</math>의 체확장 <math>R</math> 을 거듭제곱근 체확장이라 하며, 이 반복의 회수를 체확장의 높이라 하자.<br>
  
 
 
 
 
  
<h5 style="line-height: 2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 dotum, gulim, 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image: ; background-color: initial; background-position: 0px 100%;">radical 체확장</h5>
+
 
  
*  기본체 <math>F=R_0</math><br>
+
 
*  적당한 원소 <math>a_0 \in F</math>와 소수 <math>n_0</math>에 대하여, n-제곱근 <math>\sqrt[n_0]a</math> 를 넣어 얻어지는 체확장 <math>R_1=R_0(\sqrt[n_0]a_0)</math><br>
 
*  적당한 원소 <math>a_1\in R_1</math>와 소수 <math>n_1</math>에 대하여, n-제곱근 <math>\sqrt[n_1]a_1</math> 를 넣어 얻어지는 체확장 <math>R_2=R_1(\sqrt[n_1]a_1)</math><br>
 
*  이러한 체확장을 유한번 반복하여 얻어지는 <math>F=R_0</math>의 체확장 <math>R</math> 을 radical 체확장이라 하며, 이 반복의 회수를 체확장의 높이라 하자.<br>
 
  
 
 
 
 
  
 
+
<h5 style="line-height: 2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증명</h5>
  
정리 0.
+
'''정리 0.'''
  
소수 p 에 대하여 <math>F</math>의 radical 체확장 <math>R=F(\sqrt[p]a)</math> 이 있다고 하자. 
+
소수 p 에 대하여 <math>F</math>의 거듭제곱근 체확장 <math>R=F(\sqrt[p]a)</math> 이 있다고 하자. 
  
 
원소 <math>v\in R-F</math>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원소 <math>v\in R-F</math>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51번째 줄: 57번째 줄:
  
 
 
 
 
 
 
 
 
<h5 style="line-height: 2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오차방정식</h5>
 
  
 
* 방정식 <math>x^5 - s_{1} x^{4} + s_{2} x^{3} -s_{3}x^{2}+s_{4} x - s_5= 0</math>이 주어졌다고 가정하자.
 
* 방정식 <math>x^5 - s_{1} x^{4} + s_{2} x^{3} -s_{3}x^{2}+s_{4} x - s_5= 0</math>이 주어졌다고 가정하자.
72번째 줄: 74번째 줄:
 
이 방정식의 한 해 v를 계수로부터 시작하여 근호와 사칙연산을 통해 표현할 수 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이 방정식의 한 해 v를 계수로부터 시작하여 근호와 사칙연산을 통해 표현할 수 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1) <math>F=\mathbb{C}(s_1,s_2,\cdots,s_5)</math>의 적당한 radical 체확장 <math>R</math>과  원소 <math>v_0,v_2,v_3,v_4,\rho \in R</math>이 존재하여
+
(1) <math>F=\mathbb{C}(s_1,s_2,\cdots,s_5)</math>의 적당한 거듭제곱근 체확장 <math>R</math>과  원소 <math>v_0,v_2,v_3,v_4,\rho \in R</math>이 존재하여
  
 
(2) <math>v=v_0+{\sqrt[5]\rho}+v_2{\sqrt[5]\rho^2}+v_3{\sqrt[5]\rho^3}+v_4{\sqrt[5]\rho^4}</math> 형태로 표현가능하다.
 
(2) <math>v=v_0+{\sqrt[5]\rho}+v_2{\sqrt[5]\rho^2}+v_3{\sqrt[5]\rho^3}+v_4{\sqrt[5]\rho^4}</math> 형태로 표현가능하다.
147번째 줄: 149번째 줄:
 
정리 4.
 
정리 4.
  
<math>F=\mathbb{C}(s_1,s_2,\cdots,s_5) \subset R \subset K=\mathbb{C}(x_1,x_2\cdots,x_5)</math> 인  F의 radical 체확장 <math>R</math>은 <math>\sigma=(123)</math>, <math>\tau=(345)</math>에 의해 불변이다. 
+
<math>F=\mathbb{C}(s_1,s_2,\cdots,s_5) \subset R \subset K=\mathbb{C}(x_1,x_2\cdots,x_5)</math> 인  F의 거듭제곱근 체확장 <math>R</math>은 <math>\sigma=(123)</math>, <math>\tau=(345)</math>에 의해 불변이다. 
  
 
 
 
 
157번째 줄: 159번째 줄:
 
높이가 1이면, 정리0에 의하여,  <math>R=F(\sqrt[p]a)</math>의 형태로 쓸 수 있다. 여기에 정리 3을 적용하면, 체확장 <math>R</math>은 <math>\sigma=(123)</math>, <math>\tau=(345)</math>에 의해 불변임을 알 수 있다.
 
높이가 1이면, 정리0에 의하여,  <math>R=F(\sqrt[p]a)</math>의 형태로 쓸 수 있다. 여기에 정리 3을 적용하면, 체확장 <math>R</math>은 <math>\sigma=(123)</math>, <math>\tau=(345)</math>에 의해 불변임을 알 수 있다.
  
이제 체확장의 높이가 2이상이면 , <math>F</math>의 radical 체확장 <math>R_1</math> 이 존재하여, 적당한 소수 p 에 대하여  <math>R=R_1(\sqrt[p]u)</math> 의 형태로 쓸 수 있다. 귀납법의 가정에 의하여, 체확장 <math>R_1</math>은 <math>\sigma=(123)</math>, <math>\tau=(345)</math>에 의해 불변이다.  <math>R=R_1(\sqrt[p]u)</math>에 정리 3을 적용하면, 체확장 <math>R</math>은 <math>\sigma=(123)</math>, <math>\tau=(345)</math>에 의해 불변이다. ■
+
이제 체확장의 높이가 2이상이면 , <math>F</math>의 거듭제곱근 체확장 <math>R_1</math> 이 존재하여, 적당한 소수 p 에 대하여  <math>R=R_1(\sqrt[p]u)</math> 의 형태로 쓸 수 있다. 귀납법의 가정에 의하여, 체확장 <math>R_1</math>은 <math>\sigma=(123)</math>, <math>\tau=(345)</math>에 의해 불변이다.  <math>R=R_1(\sqrt[p]u)</math>에 정리 3을 적용하면, 체확장 <math>R</math>은 <math>\sigma=(123)</math>, <math>\tau=(345)</math>에 의해 불변이다. ■
  
 
 
 
 
169번째 줄: 171번째 줄:
 
방정식 <math>x^5 - s_{1} x^{4} + s_{2} x^{3} -s_{3}x^{2}+s_{4} x - s_5= 0</math>이 주어졌다고 가정하고, 그 해를 <math>x_1,x_2,\cdots,x_5</math> 라 하자.
 
방정식 <math>x^5 - s_{1} x^{4} + s_{2} x^{3} -s_{3}x^{2}+s_{4} x - s_5= 0</math>이 주어졌다고 가정하고, 그 해를 <math>x_1,x_2,\cdots,x_5</math> 라 하자.
  
정리 1에 의하여, <math>F=\mathbb{C}(s_1,s_2,\cdots,s_5)</math>의 적당한 radical 체확장 <math>R</math>과  원소 <math>v_0,v_2,v_3,v_4,\rho \in R</math>이 존재하여, <math>x_1=v_0+{\sqrt[5]\rho}+v_2{\sqrt[5]\rho^2}+v_3{\sqrt[5]\rho^3}+v_4{\sqrt[5]\rho^4}</math> 의 꼴로 쓸 수 있다.
+
정리 1에 의하여, <math>F=\mathbb{C}(s_1,s_2,\cdots,s_5)</math>의 적당한 거듭제곱근 체확장 <math>R</math>과  원소 <math>v_0,v_2,v_3,v_4,\rho \in R</math>이 존재하여, <math>x_1=v_0+{\sqrt[5]\rho}+v_2{\sqrt[5]\rho^2}+v_3{\sqrt[5]\rho^3}+v_4{\sqrt[5]\rho^4}</math> 의 꼴로 쓸 수 있다.
  
한편 정리 4에 의하여,  radical 체확장 <math>R</math>과  원소 <math>v_0,v_2,v_3,v_4,\rho \in R</math> 는 모두 <math>\sigma,\tau</math>에 의해 불변이다. 정리 4를 한번 더 적용하면, <math>\sqrt[5]\rho</math> 도 역시  <math>\sigma,\tau</math>에 의하여 불변이다.
+
한편 정리 4에 의하여, 거듭제곱근 체확장 <math>R</math>과  원소 <math>v_0,v_2,v_3,v_4,\rho \in R</math> 는 모두 <math>\sigma,\tau</math>에 의해 불변이다. 정리 4를 한번 더 적용하면, <math>\sqrt[5]\rho</math> 도 역시  <math>\sigma,\tau</math>에 의하여 불변이다.
  
따라서 
+
따라서 <math>x_1=v_0+{\sqrt[5]\rho}+v_2{\sqrt[5]\rho^2}+v_3{\sqrt[5]\rho^3}+v_4{\sqrt[5]\rho^4}</math> 의 우변은 <math>\sigma</math>에 의하여 불변이다. 그러나 <math>x_1</math>은  <math>\sigma</math>에 의하여 불변일 수 없으므로 모순이다.  ■
 
 
 ■
 
  
 
 
 
 
233번째 줄: 233번째 줄:
 
 
 
 
  
<h5>관련된 학부 과목과 미리 알고 있으면 좋은 것들</h5>
+
 
 +
 
 +
<h5 style="line-height: 3.428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 dotum, gulim, 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image: ; background-color: initial; background-position: 0px 100%;">역사</h5>
 +
 
 +
*  1820년대 아벨에 의해 증명<br>
 +
* http://www.google.com/search?hl=en&tbs=tl:1&q=quintic+equation
 +
* [[수학사연표 (역사)|수학사연표]]
  
* [[추상대수학]]
+
 
* [[5차방정식과 정이십면체|오차방정식과 정이십면체]]
 
  
 
 
 
 
  
<h5>관련된 대학원 과목</h5>
+
<h5>관련된 항목들</h5>
 +
 
 +
* [[추상대수학의 토픽들]]
 +
* [[5차방정식과 정이십면체|오차방정식과 정이십면체]]
  
 
 
 
 
246번째 줄: 254번째 줄:
 
 
 
 
  
<h5>관련된 다른 주제들</h5>
+
<h5 style="line-height: 3.428em;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bottom: 0px; margin-left: 0px; color: rgb(34, 61, 103); font-family: 'malgun gothic', dotum, gulim, sans-serif; font-size: 1.166em; background-image: ; background-color: initial; background-position: 0px 100%;">수학용어번역</h5>
 +
 
 +
* 단어사전 http://www.google.com/dictionary?langpair=en|ko&q=
 +
* 발음사전 http://www.forvo.com/search/
 +
* [http://mathnet.kaist.ac.kr/mathnet/math_list.php?mode=list&ftype=&fstr= 대한수학회 수학 학술 용어집]<br>
 +
** http://mathnet.kaist.ac.kr/mathnet/math_list.php?mode=list&ftype=eng_term&fstr=radical
 +
* [http://www.nktech.net/science/term/term_l.jsp?l_mode=cate&s_code_cd=MA 남·북한수학용어비교]
 +
* [http://kms.or.kr/home/kor/board/bulletin_list_subject.asp?bulletinid=%7BD6048897-56F9-43D7-8BB6-50B362D1243A%7D&boardname=%BC%F6%C7%D0%BF%EB%BE%EE%C5%E4%B7%D0%B9%E6&globalmenu=7&localmenu=4 대한수학회 수학용어한글화 게시판]
  
* [[추상대수학의 토픽들]]
+
 
*  
 
  
 
 
 
 

2010년 1월 31일 (일) 21:47 판

이 항목의 스프링노트 원문주소

 

 

개요

 

 

 

증명의 개요
  • 증명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
    • 5차 방정식의 해를 거듭제곱근기호를 써서 나타낼 때의 일반적인 표현
    • 거듭제곱근의 기호를 써서 표현할 때 등장하는 수들은 방정식의 해의 유리함수로 표현가능

 

 

 

거듭제곱근 체확장
  • 기본체 \(F=R_0\)
  • 적당한 원소 \(a_0 \in F\)와 소수 \(n_0\)에 대하여, 거듭제곱근 \(\sqrt[n_0]a\) 를 넣어 얻어지는 체확장 \(R_1=R_0(\sqrt[n_0]a_0)\)
  • 적당한 원소 \(a_1\in R_1\)와 소수 \(n_1\)에 대하여, 거듭제곱근 \(\sqrt[n_1]a_1\) 를 넣어 얻어지는 체확장 \(R_2=R_1(\sqrt[n_1]a_1)\)
  • 이러한 체확장을 유한번 반복하여 얻어지는 \(F=R_0\)의 체확장 \(R\) 을 거듭제곱근 체확장이라 하며, 이 반복의 회수를 체확장의 높이라 하자.

 

 

 

 

증명

정리 0.

소수 p 에 대하여 \(F\)의 거듭제곱근 체확장 \(R=F(\sqrt[p]a)\) 이 있다고 하자. 

원소 \(v\in R-F\)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 \(\rho \in R\) 과  \(v_0,v_1=1, v_2,v_3, \cdots, v_{p-1} \in F\)이 존재하여, 

(2) \(v=v_0+{\sqrt[p]\rho}+v_2{\sqrt[p]\rho^2}+v_3{\sqrt[p]\rho^3}++\cdots+v_{p-1}{\sqrt[p]\rho^{p-1}}\) 형태로 표현가능하다.

 

 

  • 방정식 \(x^5 - s_{1} x^{4} + s_{2} x^{3} -s_{3}x^{2}+s_{4} x - s_5= 0\)이 주어졌다고 가정하자.
  • 그 해를 \(x_1,x_2,\cdots,x_5\) 라 하자.

 

  • \(K=\mathbb{C}(x_1,x_2\cdots,x_5)\)
  • \(F=\mathbb{C}(s_1,s_2,\cdots,s_5)\)

 

 

정리 1. 

이 방정식의 한 해 v를 계수로부터 시작하여 근호와 사칙연산을 통해 표현할 수 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1) \(F=\mathbb{C}(s_1,s_2,\cdots,s_5)\)의 적당한 거듭제곱근 체확장 \(R\)과  원소 \(v_0,v_2,v_3,v_4,\rho \in R\)이 존재하여

(2) \(v=v_0+{\sqrt[5]\rho}+v_2{\sqrt[5]\rho^2}+v_3{\sqrt[5]\rho^3}+v_4{\sqrt[5]\rho^4}\) 형태로 표현가능하다.

 

 

예)

 

(증명)

정리 0을 반복해서 사용. ■

 

 

정리 2. (theorem of natural irrationalities)

 \(v_0,v_2,v_3,v_4,\rho\) 는 방정식의 해 \(x_1,x_2,\cdots,x_5\) 의 유리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

 

 

예)

 

 

 

정리 3.

\(n\geq 5\) 라 하자. \(K=\mathbb{C}(x_1,x_2\cdots,x_n)\)의 원소 \(u,a\)가 \(u^p= a\) 를 만족시킨다고 하자. a가 \(\sigma=(123)\), \(\tau=(345)\)에 의해 불변이면. u도 역시  \(\sigma=(123)\), \(\tau=(345)\)에 의해 불변이다.

 

(증명)

\(\chi\) 를 u에 의해 정의되는 character 라 하자.

\(\sigma(u)=\chi(\sigma)u\)

\(\tau(u)=\chi(\tau)u\) 

 

\(\tau\sigma=(12453)\)

\(\tau\sigma^2=(14532)\)

이므로 \(\chi(\sigma)=1\), \(\chi(\tau)=1\)이다.  ■

 

노트. 여기가 \(n\geq 5\) 조건이 필요한 부분이다.

 

 

정리 4.

\(F=\mathbb{C}(s_1,s_2,\cdots,s_5) \subset R \subset K=\mathbb{C}(x_1,x_2\cdots,x_5)\) 인  F의 거듭제곱근 체확장 \(R\)은 \(\sigma=(123)\), \(\tau=(345)\)에 의해 불변이다. 

 

(증명)

체확장의 높이에 따른 귀납법을 사용하자. 

높이가 1이면, 정리0에 의하여,  \(R=F(\sqrt[p]a)\)의 형태로 쓸 수 있다. 여기에 정리 3을 적용하면, 체확장 \(R\)은 \(\sigma=(123)\), \(\tau=(345)\)에 의해 불변임을 알 수 있다.

이제 체확장의 높이가 2이상이면 , \(F\)의 거듭제곱근 체확장 \(R_1\) 이 존재하여, 적당한 소수 p 에 대하여  \(R=R_1(\sqrt[p]u)\) 의 형태로 쓸 수 있다. 귀납법의 가정에 의하여, 체확장 \(R_1\)은 \(\sigma=(123)\), \(\tau=(345)\)에 의해 불변이다.  \(R=R_1(\sqrt[p]u)\)에 정리 3을 적용하면, 체확장 \(R\)은 \(\sigma=(123)\), \(\tau=(345)\)에 의해 불변이다. ■

 

정리 5. (5차방정식의 근의 공식의 불가능성)

 

(증명)

방정식 \(x^5 - s_{1} x^{4} + s_{2} x^{3} -s_{3}x^{2}+s_{4} x - s_5= 0\)이 주어졌다고 가정하고, 그 해를 \(x_1,x_2,\cdots,x_5\) 라 하자.

정리 1에 의하여, \(F=\mathbb{C}(s_1,s_2,\cdots,s_5)\)의 적당한 거듭제곱근 체확장 \(R\)과  원소 \(v_0,v_2,v_3,v_4,\rho \in R\)이 존재하여, \(x_1=v_0+{\sqrt[5]\rho}+v_2{\sqrt[5]\rho^2}+v_3{\sqrt[5]\rho^3}+v_4{\sqrt[5]\rho^4}\) 의 꼴로 쓸 수 있다.

한편 정리 4에 의하여, 거듭제곱근 체확장 \(R\)과  원소 \(v_0,v_2,v_3,v_4,\rho \in R\) 는 모두 \(\sigma,\tau\)에 의해 불변이다. 정리 4를 한번 더 적용하면, \(\sqrt[5]\rho\) 도 역시  \(\sigma,\tau\)에 의하여 불변이다.

따라서 \(x_1=v_0+{\sqrt[5]\rho}+v_2{\sqrt[5]\rho^2}+v_3{\sqrt[5]\rho^3}+v_4{\sqrt[5]\rho^4}\) 의 우변은 \(\sigma\)에 의하여 불변이다. 그러나 \(x_1\)은  \(\sigma\)에 의하여 불변일 수 없으므로 모순이다.  ■

 

 

 

 

Monodromy proof

Consider \(3w^5-25w^3+60w-z=0\).

For \(z=\pm 38\) and \(z=\pm 16\), the above equation has four distinct roots.

These are the branch points and determines the Riemann surfaces.

Then the monodromy group is acting as a permutation of sheets and not solvable.

We can apply this monodromy idea to the computation of Galois groups of number fields.

 

 

regular proof

\(f(x)=2x^5-5x^4+5\) is the irreducible polynomial of degree 5 over the rationals.

It has two complex and 3 real roots.

This implies the Galois group is \(S_5\).

 

 

일반적인 n차 방정식

 

일반적인 방정식

\(x^n - s_{1} x^{n-1} + s_{2} x^{n-2} + \cdots + (-1)^{n-1}s_{n-1} x +(-1)^n s_n= 0\)

 

\(K=\mathbb{C}(x_1,\cdots,x_n)\)

\(F=\mathbb{C}(s_1,\cdots,s_n)\)

 

 

 

역사

 

 

관련된 항목들

 

 

수학용어번역

 

 

사전 형태의 자료

 

 

링크

 

 

관련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