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만 제타 함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56번째 줄: 156번째 줄:
 
<h5>표준적인 도서 및 추천도서</h5>
 
<h5>표준적인 도서 및 추천도서</h5>
  
* [http://www.amazon.com/Riemanns-Zeta-Function-Harold-Edwards/dp/0486417409 Riemann's Zeta Function]<br>
+
* Harold M. Edwards [http://www.amazon.com/Riemanns-Zeta-Function-Harold-Edwards/dp/0486417409 Riemann's Zeta Function]
** Harold M. Edwards
+
 
 +
 
  
 
 
 
 
172번째 줄: 173번째 줄:
 
* http://en.wikipedia.org/wiki/Riemann_zeta_function
 
* http://en.wikipedia.org/wiki/Riemann_zeta_function
 
* [http://ko.wikipedia.org/wiki/%EB%A6%AC%EB%A7%8C%EC%A0%9C%ED%83%80%ED%95%A8%EC%88%98 http://ko.wikipedia.org/wiki/리만제타함수]
 
* [http://ko.wikipedia.org/wiki/%EB%A6%AC%EB%A7%8C%EC%A0%9C%ED%83%80%ED%95%A8%EC%88%98 http://ko.wikipedia.org/wiki/리만제타함수]
 
 
 
  
 
 
 
 
188번째 줄: 187번째 줄:
  
 
* [http://www.msri.org/communications/vmath/VMathVideos/VideoInfo/3793/show_video Riemann's zeta function]<br>
 
* [http://www.msri.org/communications/vmath/VMathVideos/VideoInfo/3793/show_video Riemann's zeta function]<br>
** Williams, Floyd
+
** Williams, Floyd, June 16, 2008, MSRI 'A Window into Zeta and Modular Physics'워크샵
** June 16, 2008
 
** MSRI 'A Window into Zeta and Modular Physics'워크샵
 
 
** 리만제타함수의 해석적 연속 및 함수방정식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강의
 
** 리만제타함수의 해석적 연속 및 함수방정식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강의
 
*  피타고라스의 창<br>
 
*  피타고라스의 창<br>

2011년 9월 22일 (목) 09:06 판

이 항목의 스프링노트 원문주소

 

 

개요
  • 다음과 같은 급수로 복소함수를 정의
    \(\zeta(s)=\sum_{n=1}^{\infty}\frac{1}{n^s}\), \(\mathfrak{R}(s)>1\)
  • 이렇게 실수부가 1보다 큰 복소수 영역에서 급수로 정의된 함수를 해석적확장을 통해, 복소평면 전체에서 정의된 함수를 정의할 수 있음.
  • 그렇게 복소수 전체에서 정의된 함수를 리만의 제타함수라고 부름.
  • 리만가설은 리만제타함수의 해에 관련된 미해결문제.
  • 정수론에서 소수의 분포와 관련한 정보를 담고 있는 중요한 함수
  • 이 함수를 이해하는 좀더 일반적인 이론적 틀에 대해서는 L-함수, 제타함수와 디리클레 급수 항목을 참조

 

 

해석적확장 (analytic continuation)
  • 자코비 세타함수를 이용하여, 리만제타함수를 복소평면 전체로 확장할 수 있음.
    \(\theta(\tau)= \sum_{n=-\infty}^\infty e^{\pi i n^2 \tau}\)
  • 감마함수
    \(\Gamma(s) = \int_0^\infty e^{-t} t^{s} \frac{dt}{t}\)
    를 이용하면, 
    \(\int_0^\infty e^{-\pi n^2t} t^{\frac{s}{2}} \frac{dt}{t} = {\pi}^{-\frac{s}{2}}\Gamma(\frac{s}{2})\frac{1}{n^s}\)
  • 형식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적분에 의해, 리만제타함수를 얻을 수 있음.

\(\xi(s) : = \pi^{-s/2}\ \Gamma\left(\frac{s}{2}\right)\ \zeta(s)= \int_0^\infty (\frac{\theta(it)-1}{2})t^{\frac{s}{2}} \frac{dt}{t}\)

  • 그러나 위의 적분은 모든 s에 대하여 수렴하지 않음. 따라서 다음과 같이 수정하여, 적분이 모든 s에 대하여 정의되도록 함.

\(\xi(s)=\pi^{-s/2}\Gamma(s/2)\zeta(s) = \frac{1}{s-1}-\frac{1}{s} +\frac{1}{2}\int_0^1 (\theta(it)-\frac{1}{\sqrt{t}})t^{\frac{s}{2}} \frac{dt}{t} +\frac{1}{2}\int_1^\infty (\theta(it)-1)t^{\frac{s}{2}} \frac{dt}{t}\)

여기서는 자코비 세타함수의 성질

\(\theta({iy)=\frac{1}{\sqrt{y}}\theta(\frac{i}{y})\)

이 사용됨.

 

 

리만제타함수의 함수방정식
  • 리만제타함수는 \(s=\frac{1}{2}\) 에 대하여 대칭성을 가지고, 그에 따른 함수방정식을 만족시킴.
    \(\xi(s) = \xi(1 - s)\) 즉,
    \(\pi^{-s/2}\ \Gamma\left(\frac{s}{2}\right)\ \zeta(s)=\pi^{-(1-s)/2}\ \Gamma\left(\frac{1-s}{2}\right)\ \zeta(1-s)\)

(증명)

자코비 세타함수의 모듈라 성질을 사용하면,

\(\int_0^1 (\theta(it)-\frac{1}{\sqrt{t}})t^{\frac{s}{2}} \frac{dt}{t}= \int_1^\infty (\theta(it)-1)t^{\frac{1-s}{2}} \frac{dt}{t}\)

이므로, \(\xi(s)\) 의 정의를 이용하면,

\(\xi(s) = \frac{1}{s-1}-\frac{1}{s} +\frac{1}{2}\int_1^\infty (\theta(it)-1)t^{\frac{1-s}{2}} \frac{dt}{t}+\frac{1}{2}\int_1^\infty (\theta(it)-1)t^{\frac{s}{2}} \frac{dt}{t}\)

를 얻는다.

이 식에서 \(s \leftrightarrow 1-s\) 는 우변을 변화시키지 않음므로 함수방정식 \(\xi(s) = \xi(1 - s)\)을 얻는다.

(증명끝)

 

 

복소함수로서의 리만제타함수
  • meromorphic function
  • 1에서 pole 을 가지며 로랑급수 전개는 다음과 같다
    \(\zeta(s)=\frac{1}{s-1}+\gamma+O((s-1))\)
    더 정확히는
    \(\zeta(s)=\frac{1}{s-1}+\sum_{n=0}^\infty \frac{(-1)^n}{n!} \gamma_n \; (s-1)^n\)
    \(\gamma_n\)은 스틸체스 상수

 

리만가설

 

 

제타values

 

 

 

메모

 

하위페이지

 

관련된 학부 과목과 미리 알고 있으면 좋은 것들

 

 

관련된 항목들

 

 

수학용어번역
  • analytic continuation     해석적 접속
  • continuation     연속
  • continuation method     연속법
  • direct analytic continuation     직접해석접속

 

 

표준적인 도서 및 추천도서

 

 

관련논문과 에세이

 

사전형태의 자료

 

 

관련링크와 웹페이지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