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상대수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번째 줄: 1번째 줄:
==간단한 요약==
+
==개요==
 
 
 
* 현대대수학의 기본적인 언어이자 대상인, 군, 환, 체의 기본적인 용어 및 이론을 공부함.
 
* 현대대수학의 기본적인 언어이자 대상인, 군, 환, 체의 기본적인 용어 및 이론을 공부함.
 
* 갈루아 이론 - 군론을 통해 확장체 혹은 대수방정식의 해가 가진 대칭성을 들여다 봄.
 
* 갈루아 이론 - 군론을 통해 확장체 혹은 대수방정식의 해가 가진 대칭성을 들여다 봄.
8번째 줄: 7번째 줄:
 
==선수 과목 또는 알고 있으면 좋은 것들==
 
==선수 과목 또는 알고 있으면 좋은 것들==
  
*  고교 수준의 대수학<br>
+
*  고교 수준의 대수학
 
** 다항식, 다항방정식
 
** 다항식, 다항방정식
*  기초적인 선형대수학<br>
+
*  기초적인 선형대수학
**  기저, 차원, 선형사상, 행렬, 행렬식<br>
+
**  기저, 차원, 선형사상, 행렬, 행렬식
 +
 
  
 
==다루는 대상==
 
==다루는 대상==
  
*  군(group)<br>
+
*  군(group)
 
** 대칭성을 기술하는 언어
 
** 대칭성을 기술하는 언어
 
** 항등원, 역원,
 
** 항등원, 역원,
*  환(ring)<br>
+
*  환(ring)
 
** 덧셈, 뺄셈, 곱하기가 가능하며, 덧셈과 곱셈 사이에 분배법칙이 성립.
 
** 덧셈, 뺄셈, 곱하기가 가능하며, 덧셈과 곱셈 사이에 분배법칙이 성립.
 
** 정수의 집합, 다항식의 집합, n x n 행렬들의 집합
 
** 정수의 집합, 다항식의 집합, n x n 행렬들의 집합
*  체(field)<br>
+
*  체(field)
 
** 실수, 복소수와 같이 사칙연산이 가능.
 
** 실수, 복소수와 같이 사칙연산이 가능.
**  좀더 일반적으로 곱셈의 교환법칙을 가정하지 않는 경우는 division ring이라 부름.<br> <br>
+
**  좀더 일반적으로 곱셈의 교환법칙을 가정하지 않는 경우는 division ring이라 부름.   
 +
 
  
 
==중요한 개념 및 정리==
 
==중요한 개념 및 정리==
40번째 줄: 41번째 줄:
  
 
* [[대수학의 기본정리]](The fundamental theorem of algebras)의 대수적 증명은 가능한가?
 
* [[대수학의 기본정리]](The fundamental theorem of algebras)의 대수적 증명은 가능한가?
* [[해밀턴의 사원수(quarternions)|해밀턴의 사원수]]<br>
+
* [[해밀턴의 사원수(quarternions)|해밀턴의 사원수]]
**  아래 참고할만한 자료<br>
+
**  아래 참고할만한 자료
 
*** [http://www.jstor.org/stable/2315349 The Impossibility of a Division Algebra of Vectors in Three Dimensional Space]
 
*** [http://www.jstor.org/stable/2315349 The Impossibility of a Division Algebra of Vectors in Three Dimensional Space]
*** [http://www.jstor.org/stable/2689449 Hamilton's Discovery of Quaternions]<br>
+
*** [http://www.jstor.org/stable/2689449 Hamilton's Discovery of Quaternions]
 
* [[가우스와 정17각형의 작도]]
 
* [[가우스와 정17각형의 작도]]
 
* [[그리스 3대 작도 불가능문제]]를 군론을 통해 해결할 수 있음.
 
* [[그리스 3대 작도 불가능문제]]를 군론을 통해 해결할 수 있음.
 
* [[5차방정식과 근의 공식|일반적인 5차 이상의 방정식의 대수적 해가 존재하지 않음에 대한 아벨의 증명]]
 
* [[5차방정식과 근의 공식|일반적인 5차 이상의 방정식의 대수적 해가 존재하지 않음에 대한 아벨의 증명]]
*  유클리드 도메인이 아닌 PID<br>
+
*  유클리드 도메인이 아닌 PID
**  아래 참고할만한 자료<br>
+
**  아래 참고할만한 자료
 
*** [http://www.jstor.org/stable/2322908 A Principal Ideal Domain That Is Not a Euclidean Domain]
 
*** [http://www.jstor.org/stable/2322908 A Principal Ideal Domain That Is Not a Euclidean Domain]
 
* [[7개의 프리즈 패턴]]
 
* [[7개의 프리즈 패턴]]
59번째 줄: 60번째 줄:
 
* [[초등정수론|정수론]]
 
* [[초등정수론|정수론]]
 
* [[선형대수학]]
 
* [[선형대수학]]
* [[리만곡면론|대수곡선론]]<br>
+
* [[리만곡면론|대수곡선론]]
 
** 대수기하학 입문으로서의 대수곡선론
 
** 대수기하학 입문으로서의 대수곡선론
* [[대수적위상수학]]<br>
+
* [[대수적위상수학]]
**  군론<br>
+
**  군론
 
*** fundamental group을 정의하기 위해 필요
 
*** fundamental group을 정의하기 위해 필요
 
*** covering space의 deck transformation group
 
*** covering space의 deck transformation group
**  유한생성 아벨군의 기본정리<br>
+
**  유한생성 아벨군의 기본정리
 
*** 호몰로지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
 
*** 호몰로지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
*  조합론<br>
+
*  조합론
 
** 번사이드 보조정리
 
** 번사이드 보조정리
  
77번째 줄: 78번째 줄:
  
 
* 펠릭스 클라인의 '정이십면체와 5차방정식'
 
* 펠릭스 클라인의 '정이십면체와 5차방정식'
*  semisimple rings<br>
+
*  semisimple rings
 
** [[아틴-웨더번 정리(Artin–Wedderburn theorem)]]
 
** [[아틴-웨더번 정리(Artin–Wedderburn theorem)]]
 
* 유한군의 표현론
 
* 유한군의 표현론
83번째 줄: 84번째 줄:
 
* [[Classical groups]]
 
* [[Classical groups]]
  
+
 
 +
==매스매티카 파일 및 계산 리소스==
 +
* http://homepage.math.uiowa.edu/~goodman/22m121.dir/2006/22m121.html
 +
 
  
 
==표준적인 교과서==
 
==표준적인 교과서==
  
* [http://www.amazon.com/First-Course-Abstract-Algebra-7th/dp/0201763907 A First Course in Abstract Algebra]<br>
+
* John B. Fraleigh [http://www.amazon.com/First-Course-Abstract-Algebra-7th/dp/0201763907 A First Course in Abstract Algebra]
** John B. Fraleigh
+
 
  
==추천도서 및 보조교재==
+
==관련도서==
  
* [http://www.amazon.com/exec/obidos/ASIN/0817646841/ebooksclub-20/ A History of Abstract Algebra]<br>
+
* Israel Kleiner [http://www.amazon.com/exec/obidos/ASIN/0817646841/ebooksclub-20/ A History of Abstract Algebra]
**  Israel Kleiner<br>
 
  
 
   
 
   
99번째 줄: 102번째 줄:
 
==관련논문==
 
==관련논문==
  
* [http://www.jstor.org/stable/2975015 The Evolution of Algebra 1800-1870]<br>
+
* I. G. Bashmakova and A. N. Rudakov [http://www.jstor.org/stable/2975015 The Evolution of Algebra 1800-1870] , <cite>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cite>, Vol. 102, No. 3 (Mar., 1995), pp. 266-270
** I. G. Bashmakova and A. N. Rudakov , <cite>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cite>, Vol. 102, No. 3 (Mar., 1995), pp. 266-270
+
* [http://www.jstor.org/stable/2690312 The Evolution of Group Theory: A Brief Survey]
* [http://www.jstor.org/stable/2690312 The Evolution of Group Theory: A Brief Survey]<br>
 
 
** Israel Kleiner, <cite>Mathematics Magazine</cite>, Vol. 59, No. 4 (Oct., 1986), pp. 195-215
 
** Israel Kleiner, <cite>Mathematics Magazine</cite>, Vol. 59, No. 4 (Oct., 1986), pp. 195-215
* [http://www.jstor.org/stable/2690624 A History of Lagrange's Theorem on Groups]<br>
+
* [http://www.jstor.org/stable/2690624 A History of Lagrange's Theorem on Groups]
 
** Richard L. Roth, <cite>Mathematics Magazine</cite>, Vol. 74, No. 2 (Apr., 2001), pp. 99-108                               
 
** Richard L. Roth, <cite>Mathematics Magazine</cite>, Vol. 74, No. 2 (Apr., 2001), pp. 99-108                               
* [http://www.jstor.org/stable/2689449 Hamilton's Discovery of Quaternions]<br>
+
* [http://www.jstor.org/stable/2689449 Hamilton's Discovery of Quaternions]
 
** B. L. van der Waerden, <cite>Mathematics Magazine</cite>, Vol. 49, No. 5 (Nov., 1976), pp. 227-234
 
** B. L. van der Waerden, <cite>Mathematics Magazine</cite>, Vol. 49, No. 5 (Nov., 1976), pp. 227-234
* [http://www.jstor.org/stable/2974935 The Genesis of the Abstract Ring Concept]<br>
+
* [http://www.jstor.org/stable/2974935 The Genesis of the Abstract Ring Concept]
 
** Israel Kleiner, <cite>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cite>, Vol. 103, No. 5 (May, 1996), pp. 417-424
 
** Israel Kleiner, <cite>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cite>, Vol. 103, No. 5 (May, 1996), pp. 417-424
* [http://www.jstor.org/stable/2691011 A Historically Focused Course in Abstract Algebra]<br>
+
* [http://www.jstor.org/stable/2691011 A Historically Focused Course in Abstract Algebra]
 
** Israel Kleiner, <cite>Mathematics Magazine</cite>, Vol. 71, No. 2 (Apr., 1998), pp. 105-111
 
** Israel Kleiner, <cite>Mathematics Magazine</cite>, Vol. 71, No. 2 (Apr., 1998), pp. 105-111
* [http://www.jstor.org/stable/2325119 Galois Theory for Beginners]<br>
+
* [http://www.jstor.org/stable/2325119 Galois Theory for Beginners]
 
** John Stillwell, <cite>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cite>, Vol. 101, No. 1 (Jan., 1994), pp. 22-27
 
** John Stillwell, <cite>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cite>, Vol. 101, No. 1 (Jan., 1994), pp. 22-27
* [http://www.jstor.org/stable/2974763 Niels Hendrik Abel and Equations of the Fifth Degree]<br>
+
* [http://www.jstor.org/stable/2974763 Niels Hendrik Abel and Equations of the Fifth Degree]
 
** Michael I. Rosen, <cite>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cite>, Vol. 102, No. 6 (Jun. - Jul., 1995), pp. 495-505
 
** Michael I. Rosen, <cite>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cite>, Vol. 102, No. 6 (Jun. - Jul., 1995), pp. 495-505
 
+
* [http://www.jstor.org/stable/2322908 A Principal Ideal Domain That Is Not a Euclidean Domain]
* [http://www.jstor.org/stable/2322908 A Principal Ideal Domain That Is Not a Euclidean Domain]<br>
 
 
** Oscar A. Campoli, <cite>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cite>, Vol. 95, No. 9 (Nov., 1988), pp. 868-871
 
** Oscar A. Campoli, <cite>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cite>, Vol. 95, No. 9 (Nov., 1988), pp. 868-871
* [http://www.jstor.org/stable/2974984 Principal Ideal Domains are Almost Euclidean]<br>
+
* [http://www.jstor.org/stable/2974984 Principal Ideal Domains are Almost Euclidean]
 
** John Greene, <cite>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cite>, Vol. 104, No. 2 (Feb., 1997), pp. 154-156
 
** John Greene, <cite>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cite>, Vol. 104, No. 2 (Feb., 1997), pp. 154-156
 
[[분류:교과목]]
 
[[분류:교과목]]
 
[[분류:추상대수학]]
 
[[분류:추상대수학]]

2013년 6월 6일 (목) 09:16 판

개요

  • 현대대수학의 기본적인 언어이자 대상인, 군, 환, 체의 기본적인 용어 및 이론을 공부함.
  • 갈루아 이론 - 군론을 통해 확장체 혹은 대수방정식의 해가 가진 대칭성을 들여다 봄.


선수 과목 또는 알고 있으면 좋은 것들

  • 고교 수준의 대수학
    • 다항식, 다항방정식
  • 기초적인 선형대수학
    • 기저, 차원, 선형사상, 행렬, 행렬식


다루는 대상

  • 군(group)
    • 대칭성을 기술하는 언어
    • 항등원, 역원,
  • 환(ring)
    • 덧셈, 뺄셈, 곱하기가 가능하며, 덧셈과 곱셈 사이에 분배법칙이 성립.
    • 정수의 집합, 다항식의 집합, n x n 행렬들의 집합
  • 체(field)
    • 실수, 복소수와 같이 사칙연산이 가능.
    • 좀더 일반적으로 곱셈의 교환법칙을 가정하지 않는 경우는 division ring이라 부름.


중요한 개념 및 정리


유명한 정리 혹은 생각할만한 문제


다른 과목과의 관련성

  • 정수론
  • 선형대수학
  • 대수곡선론
    • 대수기하학 입문으로서의 대수곡선론
  • 대수적위상수학
    • 군론
      • fundamental group을 정의하기 위해 필요
      • covering space의 deck transformation group
    • 유한생성 아벨군의 기본정리
      • 호몰로지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
  • 조합론
    • 번사이드 보조정리



관련된 대학원 과목 또는 더 공부하면 좋은 것들


매스매티카 파일 및 계산 리소스


표준적인 교과서


관련도서


관련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