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율(파이,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1번째 줄: 11번째 줄:
 
* 수학의 수많은 곳에서 등장한다
 
* 수학의 수많은 곳에서 등장한다
  
 +
 +
==표기법의 역사==
 +
* http://collation.folger.edu/2015/03/pi-day-represented/
 
   
 
   
  
 +
 +
==원주율의 계산==
 
   
 
   
  
==아르키메데스의 부등식==
+
===아르키메데스의 부등식===
  
 
* <math>223/71 < \pi < 22/7</math>
 
* <math>223/71 < \pi < 22/7</math>
23번째 줄: 28번째 줄:
 
   
 
   
  
==비에타의 공식==
+
===비에타의 공식===
  
 
* 1593년 François Viète에 의해 발견된 [[비에타의 공식]]
 
* 1593년 François Viète에 의해 발견된 [[비에타의 공식]]
32번째 줄: 37번째 줄:
 
   
 
   
  
==급수표현==
+
===급수표현===
  
 
* 1680년경에 발견된 [[그레고리-라이프니츠 급수|라이프니츠 급수]]
 
* 1680년경에 발견된 [[그레고리-라이프니츠 급수|라이프니츠 급수]]
41번째 줄: 46번째 줄:
 
   
 
   
  
==마친의 공식==
+
===마친의 공식===
  
 
*  1706년 발견된 [[마친(Machin)의 공식]]:<math>\frac{\pi}{4}=4\alpha-\beta=4\arctan \frac{1}{5}-\arctan \frac{1}{239}</math><br>
 
*  1706년 발견된 [[마친(Machin)의 공식]]:<math>\frac{\pi}{4}=4\alpha-\beta=4\arctan \frac{1}{5}-\arctan \frac{1}{239}</math><br>
  
 
   
 
   
 
 
   
 
   
  
==오일러와 파이==
+
===오일러와 파이===
  
 
* [[오일러의 공식]]:<math>e^{i \pi} +1 = 0</math><br>
 
* [[오일러의 공식]]:<math>e^{i \pi} +1 = 0</math><br>
59번째 줄: 63번째 줄:
 
   
 
   
  
==산술기하평균함수와 파이==
+
===산술기하평균함수와 파이===
  
 
* [[산술기하평균함수(AGM)와 파이값의 계산|산술기하평균함수(AGM)와 파이)]][[산술기하평균함수(AGM)와 파이값의 계산|값의 계산]]
 
* [[산술기하평균함수(AGM)와 파이값의 계산|산술기하평균함수(AGM)와 파이)]][[산술기하평균함수(AGM)와 파이값의 계산|값의 계산]]
67번째 줄: 71번째 줄:
 
   
 
   
  
==라마누잔의 공식==
+
===라마누잔의 공식===
  
 
*  라마누잔은 1914년에 다음과 같은 공식을 발표:<math>\frac{1}{\pi}= \frac{2\sqrt2}{9801}\sum_{n=0}^{\infty}\frac{(4n)!(1103+26390n)}{(n!)^{4}396^{4n}}</math><br>
 
*  라마누잔은 1914년에 다음과 같은 공식을 발표:<math>\frac{1}{\pi}= \frac{2\sqrt2}{9801}\sum_{n=0}^{\infty}\frac{(4n)!(1103+26390n)}{(n!)^{4}396^{4n}}</math><br>

2015년 3월 14일 (토) 17:55 판

개요

  • 원주율(파이,π)는 원의 둘레와 지름의 비율
  • 모든 원은 서로 닮음이므로, 이 비율은 상수이다


2519130-circle diagram1.jpg

  • \(\pi=3.141592653589793238462643383279502884197169399375\cdots\)
  • 수학의 수많은 곳에서 등장한다


표기법의 역사


원주율의 계산

아르키메데스의 부등식

  • \(223/71 < \pi < 22/7\)



비에타의 공식

  • 1593년 François Viète에 의해 발견된 비에타의 공식
  • 원주율의 무한곱 표현\[\frac{2}{\pi}=\frac{\sqrt{2}}{2}\frac{\sqrt{2+\sqrt{2}}}{2} \frac{\sqrt{2+\sqrt{2+\sqrt{2}}}}{2} \frac{\sqrt{2+\sqrt{2+\sqrt{2+\sqrt{2}}}}}{2} \frac{\sqrt{2+\sqrt{2+\sqrt{2+\sqrt{2+\sqrt{2}}}}}}{2} \frac{\sqrt{2+\sqrt{2+\sqrt{2+\sqrt{2+\sqrt{2+\sqrt{2}}}}}}}{2}\cdots\]



급수표현

\[1 \,-\, \frac{1}{3} \,+\, \frac{1}{5} \,-\, \frac{1}{7} \,+\, \frac{1}{9} \,-\, \cdots \;=\; \frac{\pi}{4}\]



마친의 공식



오일러와 파이



산술기하평균함수와 파이



라마누잔의 공식

  • 라마누잔은 1914년에 다음과 같은 공식을 발표\[\frac{1}{\pi}= \frac{2\sqrt2}{9801}\sum_{n=0}^{\infty}\frac{(4n)!(1103+26390n)}{(n!)^{4}396^{4n}}\]
  • 윌리엄 고스퍼는 1985년에 파이값의 천7백만자리를 계산하기 위해 이 공식을 사용
  • 비슷한 형태로 다음과 같은 공식\[\frac{426880 \sqrt{10005}}{\pi} = \sum_{k=0}^\infty \frac{(6k)! (13591409 + 545140134k)}{(3k)!(k!)^3 (-640320)^{3k}}\!\]
  • 라마누잔과 파이 항목을 참조



BBP 공식

\[\pi = \sum_{k = 0}^{\infty}\frac{1}{16^k} \left( \frac{4}{8k + 1} - \frac{2}{8k + 4} - \frac{1}{8k + 5} - \frac{1}{8k + 6} \right)\]




complex multiplication과 파이



파이가 아니라 2파이다?



메모


 

 

관련된 항목들

 

 

계산 리소스


사전 형태의 자료



관련논문

관련도서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