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차수열의 소수분포에 관한 디리클레 정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8번째 줄: 28번째 줄:
 
이 사실은 소수가 무한히 많음을 말해줌.
 
이 사실은 소수가 무한히 많음을 말해줌.
  
아이디어와 군표현론의 아이디어를 결합.
+
이러한 해석학적 아이디어와 군표현론의 아이디어를 결합.
  
 
준동형사상 <math>\chi \colon(\mathbb{Z}/4\mathbb{Z})^\times \to \mathbb C^{*}</math> 는 두 가지 경우가 가능.
 
준동형사상 <math>\chi \colon(\mathbb{Z}/4\mathbb{Z})^\times \to \mathbb C^{*}</math> 는 두 가지 경우가 가능.
36번째 줄: 36번째 줄:
 
<math>\chi_1(3)=-1</math> 인 경우
 
<math>\chi_1(3)=-1</math> 인 경우
  
+
자연수 집합을 정의역으로 갖는 함수 <math>f</math>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
:<math>f(n)  =
자연수 위에 정의된 함수 <math>f</math> 가 있어,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
\begin{cases}
 
+
1\mbox{ if } n\equiv 3 \pmod{4} \\
<math>f(n)  = 1 \mbox{ if } n\equiv 3 \pmod{4} </math>
+
0 \mbox{ if } n\equiv 0,1,2 \pmod{4}
 
+
\end{cases}</math>
<math>f(n)  = 0 \mbox{ if } n\equiv 0,1,2 \pmod{4}</math>
+
이는 <math>f(n) ={\chi_0(n) - \chi_1(n) \over 2}</math>  로 쓸 수 있다.
 
+
따라서,
<math>f(n) ={\chi_0(n) - \chi_1(n) \over 2}</math>  로 쓸 수 있다.
+
:<math>\sum_{p \text{:prime } \equiv 3 \pmod 4}  \frac{1}{p} = \sum_{p \text{:prime}} \frac{f(p)}{p}={1\over 2 }\sum_{p \text{:prime}} \frac{\chi_0(p) - \chi_1(p)}{p} \approx {1\over 2 }(\sum_{p \text{:prime}} \frac{\chi_0(p)}{p} - \sum_{p \text{:prime}} \frac{\chi_1(p)}{p})</math>
 
 
<math>\sum_{p \text{:prime } \equiv 3 \pmod 4}  \frac{1}{p} = \sum_{p \text{:prime}} \frac{f(p)}{p}={1\over 2 }\sum_{p \text{:prime}} \frac{\chi_0(p) - \chi_1(p)}{p} \approx {1\over 2 }(\sum_{p \text{:prime}} \frac{\chi_0(p)}{p} - \sum_{p \text{:prime}} \frac{\chi_1(p)}{p})</math>
 
  
 
우변의 첫번째 항은 <math>1 \,+\, \frac{1}{3} \,+\, \frac{1}{5} \,+\, \frac{1}{7} \,+\, \frac{1}{9} \,+\, \cdots = \infty</math> 에 의해 발산함을 안다.
 
우변의 첫번째 항은 <math>1 \,+\, \frac{1}{3} \,+\, \frac{1}{5} \,+\, \frac{1}{7} \,+\, \frac{1}{9} \,+\, \cdots = \infty</math> 에 의해 발산함을 안다.
90번째 줄: 88번째 줄:
  
 
* <math>\chi\neq 1</math> 인 경우에 대해서, 디리클레는 <math>L(1,\chi)\neq 0 </math>를  증명<br>
 
* <math>\chi\neq 1</math> 인 경우에 대해서, 디리클레는 <math>L(1,\chi)\neq 0 </math>를  증명<br>
* 이차수체 <math>K</math>의 경우:<math>L_{d_K}(1)</math> 의 값은 [[이차 수체에 대한 디리클레 class number 공식 |이차 수체에 대한 디리클레 class number 공식]] 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br>
+
* 이차수체 <math>K</math>의 경우, <math>L_{d_K}(1)</math> 의 값은 [[이차 수체에 대한 디리클레 class number 공식 |이차 수체에 대한 디리클레 class number 공식]] 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br>
  
  

2013년 3월 29일 (금) 13:30 판

개요

(정리) 디리클레, 1837

자연수 a, b 가 서로 소이면 등차수열 {an+b} (n=0,1,2,⋯) 는 무한히 많은 소수를 포함한다

  • 4로 나눈 나머지가 1인 소수는 무한히 많다
  • 7로 나눈 나머지가 5인 소수는 무한히 많다
  • h 와 k 가 서로 소일 때, h로 나눠서 k가 남는 소수는 무한히 많다.



증명의 재료



증명의 아이디어 소개

\(\sum_{p \text{:prime}} \frac{1}{p}=\infty\) 임은 이미 소수와 리만제타함수 를 통해 알고 있음.

이 사실은 소수가 무한히 많음을 말해줌.

이러한 해석학적 아이디어와 군표현론의 아이디어를 결합.

준동형사상 \(\chi \colon(\mathbb{Z}/4\mathbb{Z})^\times \to \mathbb C^{*}\) 는 두 가지 경우가 가능.

\(\chi_0(3)=1\) 인 경우

\(\chi_1(3)=-1\) 인 경우

자연수 집합을 정의역으로 갖는 함수 \(f\)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f(n) = \begin{cases} 1\mbox{ if } n\equiv 3 \pmod{4} \\ 0 \mbox{ if } n\equiv 0,1,2 \pmod{4} \end{cases}\] 이는 \(f(n) ={\chi_0(n) - \chi_1(n) \over 2}\) 로 쓸 수 있다. 따라서, \[\sum_{p \text{:prime } \equiv 3 \pmod 4} \frac{1}{p} = \sum_{p \text{:prime}} \frac{f(p)}{p}={1\over 2 }\sum_{p \text{:prime}} \frac{\chi_0(p) - \chi_1(p)}{p} \approx {1\over 2 }(\sum_{p \text{:prime}} \frac{\chi_0(p)}{p} - \sum_{p \text{:prime}} \frac{\chi_1(p)}{p})\]

우변의 첫번째 항은 \(1 \,+\, \frac{1}{3} \,+\, \frac{1}{5} \,+\, \frac{1}{7} \,+\, \frac{1}{9} \,+\, \cdots = \infty\) 에 의해 발산함을 안다.

우변의 두번째 항은 \(1 \,-\, \frac{1}{3} \,+\, \frac{1}{5} \,-\, \frac{1}{7} \,+\, \frac{1}{9} \,-\, \cdots \;=\; \frac{\pi}{4}\)에 의해 수렴함을 안다. 이는 라이프니츠 급수,

따라서 4로 나누어 나머지가 3이 되는 소수가 무한함을 알 수 있음

마찬가지로 f를 적당히 바꿔준다면, 4로 나누어 1이 되는 소수가 무한함도 역시 같은 방법으로 보일 수 있음.



군표현론



디리클레 L-함수

  • 자세한 사항은 디리클레 L-함수 항목을 참고
  • 정의
    primitive인(즉, q보다 작은 주기를 갖지 않는) 준동형사상 \(\chi \colon(\mathbb{Z}/q\mathbb{Z})^\times \to \mathbb C^{*}\) 에 대하여, 디리클레 L-함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함.\[L(s, \chi) = \sum_{n\geq 1}\frac{\chi(n)}{n^s}, s>1\]



s=1일 때, 디리클레 L-함수의 값

  • 일반적으로 \(\chi\neq 1\)인 primitive 준동형사상 \(\chi \colon(\mathbb{Z}/f\mathbb{Z})^\times \to \mathbb C^{*}\)에 대하여 \(L(1,\chi)\)의 값은 다음과 같이 주어짐\[L(1,\chi)=-\frac{\tau(\chi)}{f}\sum_{(a,f)=1}\bar\chi(a)\log(1-e^{-2\pi i a/f})\]
  • 여기서 \(\tau(\chi)\)에 대해서는 가우스합 항목 참조\[\tau_a(\chi)=\sum_{(j,f)=1}\chi(j)e^{2\pi i aj/f}\]\[\tau(\chi)=\tau_1(\chi)\]
  • 좀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음
    • \(\chi(-1)=-1\) 인 경우 \[L(1,\chi)= \frac{i \pi\tau(\chi)}{f^2}\sum_{(a,q)=1}\bar\chi(a) a\]
    • \(\chi(-1)=1\) 인 경우 \[L(1,\chi)=-\frac{\tau(\chi)}{f}\sum_{(a,q)=1}\bar\chi(a)\log(\sin \frac{a\pi}{f})\]


메모

\(\sum_{n\geq 1}\frac{1}{n^s}= \left(1 + \frac{1}{2^s} + \frac{1}{4^s} + \cdots \right) \left(1 + \frac{1}{3^s} + \frac{1}{9^s} + \cdots \right) \cdots \left(1 + \frac{1}{p^s} + \frac{1}{p^{2s}} + \cdots \right) \cdots\)

\(\zeta(s) =\prod_{p \text{:prime}} \frac{1}{1-p^{-s}}\)

\(\log \zeta(s) = \log \prod_{p \text{:prime}} \frac{1}{1-p^{-s}} =\sum_{p \text{:prime}} -\log (1-p^{-s})\)

\(\log(1+x) \approx x\)

\(\log \zeta(s) = \sum_{p \text{:prime}} -\log (1-p^{-s})\approx \sum_{p \text{:prime}} \ p^{-s}=\sum_{p \text{:prime}} \frac{1}{p^s}\)

\(\sum_{p \text{:prime}} \frac{1}{p}=\infty\)



역사



관련된 고교수학 또는 대학수학


관련된 항목들



관련도서


사전형태의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