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방정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잔글 (찾아 바꾸기 – “수학사연표” 문자열을 “수학사 연표” 문자열로)
1번째 줄: 1번째 줄:
==이 항목의 스프링노트 원문주소==
 
 
* [[미분방정식]]
 
 
 
 
 
 
 
 
 
==개요==
 
==개요==
  
160번째 줄: 152번째 줄:
  
 
 
 
 
 
+
==리뷰, 에세이, 강의노트==
 
 
 
 
==관련논문==
 
 
 
 
* [http://www.jstor.org/stable/2687502 What It Means to Understand a Differential Equation]<br>
 
* [http://www.jstor.org/stable/2687502 What It Means to Understand a Differential Equation]<br>
 
** John H. Hubbard, <cite>The College Mathematics Journal</cite>, Vol. 25, No. 5 (Nov., 1994), pp. 372-384
 
** John H. Hubbard, <cite>The College Mathematics Journal</cite>, Vol. 25, No. 5 (Nov., 1994), pp. 372-384
171번째 줄: 159번째 줄:
 
* [http://www.jstor.org/stable/3617402 Symmetry and Differential Equations]<br>
 
* [http://www.jstor.org/stable/3617402 Symmetry and Differential Equations]<br>
 
** J. V. Greenman, <cite>[http://www.jstor.org/action/showPublication?journalCode=mathgaze The Mathematical Gazette]</cite>, Vol. 61, No. 418 (Dec., 1977), pp. 279-283
 
** J. V. Greenman, <cite>[http://www.jstor.org/action/showPublication?journalCode=mathgaze The Mathematical Gazette]</cite>, Vol. 61, No. 418 (Dec., 1977), pp. 279-283
 
 
* [http://www.jstor.org/stable/2318252 Anatomy of the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br>
 
* [http://www.jstor.org/stable/2318252 Anatomy of the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br>
 
** W. T. Reid, <cite>[http://www.jstor.org/action/showPublication?journalCode=amermathmont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cite>, Vol. 82, No. 10 (Dec., 1975), pp. 971-984
 
** W. T. Reid, <cite>[http://www.jstor.org/action/showPublication?journalCode=amermathmont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cite>, Vol. 82, No. 10 (Dec., 1975), pp. 971-984
 
* <br>
 
* <br>
 
** T. Craig
 
** T. Craig
* http://www.jstor.org/action/doBasicSearch?Query=differential+equation
 
* http://dx.doi.org/
 
 
 
 
  
 
 
 
 
195번째 줄: 178번째 줄:
 
 
 
 
  
 
 
 
 
 
 
 
 
 
 
 
 
 
 
==블로그==
 
 
[[분류:미분방정식]]
 
[[분류:미분방정식]]

2015년 8월 18일 (화) 01:36 판

개요

  • 미분방정식은 자연현상을 기술하는 수학적인 언어
  • 함수를 계수로 하여 미지수가 되는 일변수 함수와 고계도함수 사이에 만족되는 방정식을 말함
  • 학부과정에서는 상미분방정식 과목과 편미분방정식이 있음
  • 미분방정식의 해를 적당한 클래스의 함수(가령 초등함수, 초등함수의 적분) 들을 이용하여 표현하는 문제(solvability, integrability, quadrature)
  • 분류법
    • 미분방정식의 계(order)
    • 선형미분방정식과 비선형미분방정식
    • 상미분방정식과 편미분방정식

 

 

일계 미분방정식

 

 

이계 선형미분방정식

  • 호인 미분방정식(Heun's equation)\[\frac {d^2w}{dz^2} + \left[\frac{\gamma}{z}+ \frac{\delta}{z-1} + \frac{\epsilon}{z-d} \right] \frac {dw}{dz} + \frac {\alpha \beta z -q} {z(z-1)(z-d)} w = 0\] (여기서 \(\epsilon=\alpha+\beta-\gamma-\delta+1\))

 

 

비선형 미분방저식

 

 

스텀-리우빌

스텀-리우빌 이론

 

 

재미있는 사실

 

 

 

역사

 

 

 

메모

  • qualitative study

 

하위페이지

 

 

관련된 항목들

 

 

수학용어번역

 

 

사전 형태의 자료

 

리뷰, 에세이, 강의노트

 


 

 

관련링크와 웹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