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함수, 제타 함수와 디리클레 급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수학노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잔글 (찾아 바꾸기 – “<br><math>” 문자열을 “:<math>” 문자열로)
20번째 줄: 20번째 줄:
 
==정의==
 
==정의==
  
*  복소수열 <math>\{a_n\}</math>에 대하여 디리클레 급수를 복소함수로서 다음과 같이 정의<br><math>\sum_{n=1}^{\infty} \frac{a_n}{n^s}</math><br>
+
*  복소수열 <math>\{a_n\}</math>에 대하여 디리클레 급수를 복소함수로서 다음과 같이 정의:<math>\sum_{n=1}^{\infty} \frac{a_n}{n^s}</math><br>
 
*  예<br>
 
*  예<br>
 
**  모든 <math>n</math>에 대하여, <math>a_n=1</math> 인 경우, [[리만제타함수]]를 얻게 됨<br>
 
**  모든 <math>n</math>에 대하여, <math>a_n=1</math> 인 경우, [[리만제타함수]]를 얻게 됨<br>
42번째 줄: 42번째 줄:
 
==리만제타함수==
 
==리만제타함수==
  
* [[리만제타함수]] 항목 참조<br><math>\zeta(s)=\sum_{n=1}^{\infty}\frac{1}{n^s}</math>, 1" src="http://eq.springnote.com/tex_image?source=%5Cmathfrak%7BR%7D%28s%29%3E1"><br>
+
* [[리만제타함수]] 항목 참조:<math>\zeta(s)=\sum_{n=1}^{\infty}\frac{1}{n^s}</math>, 1" src="http://eq.springnote.com/tex_image?source=%5Cmathfrak%7BR%7D%28s%29%3E1"><br>
  
 
 
 
 
48번째 줄: 48번째 줄:
 
==디리클레 L-함수==
 
==디리클레 L-함수==
  
*  준동형사상 <math>\chi \colon(\mathbb{Z}/n\mathbb{Z})^\times \to \mathbb C^{*}</math>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함.<br><math>L(s, \chi) = \sum_{n=1}^{\infty}\frac{\chi(n)}{n^s}</math> ,  <math>\mathfrak{R}(s)>1</math><br>
+
*  준동형사상 <math>\chi \colon(\mathbb{Z}/n\mathbb{Z})^\times \to \mathbb C^{*}</math>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함.:<math>L(s, \chi) = \sum_{n=1}^{\infty}\frac{\chi(n)}{n^s}</math> ,  <math>\mathfrak{R}(s)>1</math><br>
 
* [[디리클레 L-함수]]  항목 참조<br>
 
* [[디리클레 L-함수]]  항목 참조<br>
  
59번째 줄: 59번째 줄:
 
==데데킨트 제타함수==
 
==데데킨트 제타함수==
  
*  수체 <math>K</math>에 대하여, [[데데킨트 제타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됨<br><math>\zeta_{K}(s)=\sum_{\mathfrak{a} \text{:ideals}}\frac{1}{N(\mathfrak{a})^s}=\sum_{n=1}^{\infty}\frac{a_n}{n^s}</math><br> 여기서 <math>a_{n}</math>은 <math>N(\mathfrak{a})=n</math>을 만족시키는 integral ideal의 개수<br>
+
*  수체 <math>K</math>에 대하여, [[데데킨트 제타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됨:<math>\zeta_{K}(s)=\sum_{\mathfrak{a} \text{:ideals}}\frac{1}{N(\mathfrak{a})^s}=\sum_{n=1}^{\infty}\frac{a_n}{n^s}</math><br> 여기서 <math>a_{n}</math>은 <math>N(\mathfrak{a})=n</math>을 만족시키는 integral ideal의 개수<br>
  
 
 
 
 
75번째 줄: 75번째 줄:
 
* [[타원곡선]] 항목에서 가져옴
 
* [[타원곡선]] 항목에서 가져옴
 
* Hasse-Weil 제타함수라고도 함
 
* Hasse-Weil 제타함수라고도 함
*  타원 곡선 E의 conductor가 N일 때, 다음과 같이 정의됨<br><math>L(s,E)=\prod_pL_p(s,E)^{-1}</math><br> 여기서 
+
*  타원 곡선 E의 conductor가 N일 때, 다음과 같이 정의됨:<math>L(s,E)=\prod_pL_p(s,E)^{-1}</math><br> 여기서 
 
:<math>L_p(s,E)=\left\{\begin{array}{ll} (1-a_p p^{-s}+p^{1-2s}), & \mbox{if }p\nmid N \\ (1-a_pp^{-s}), & \mbox{if }p||N \\ 1, & \mbox{if }p^2|N \end{array}\right.</math>
 
:<math>L_p(s,E)=\left\{\begin{array}{ll} (1-a_p p^{-s}+p^{1-2s}), & \mbox{if }p\nmid N \\ (1-a_pp^{-s}), & \mbox{if }p||N \\ 1, & \mbox{if }p^2|N \end{array}\right.</math>
 
*  여기서 <math>a_p</math>는 유한체위에서의 해의 개수와 관련된 정수로 <math>a_p=p+1-\#E(\mathbb{F}_p)</math>
 
*  여기서 <math>a_p</math>는 유한체위에서의 해의 개수와 관련된 정수로 <math>a_p=p+1-\#E(\mathbb{F}_p)</math>
86번째 줄: 86번째 줄:
 
==모듈라 형식의 L-함수==
 
==모듈라 형식의 L-함수==
  
* [[모듈라 형식(modular forms)]] f에 대응되는 L-함수<br><math>f(\tau) = \sum_{n=0}^\infty a_n e^{2i\pi n\tau}</math><br><math>L(s,f)=\sum_{n=1}^{\infty}\frac{a_n}{n^s}</math><br>
+
* [[모듈라 형식(modular forms)]] f에 대응되는 L-함수:<math>f(\tau) = \sum_{n=0}^\infty a_n e^{2i\pi n\tau}</math>:<math>L(s,f)=\sum_{n=1}^{\infty}\frac{a_n}{n^s}</math><br>
  
 
 
 
 
100번째 줄: 100번째 줄:
 
==대수적다양체와 제타함수==
 
==대수적다양체와 제타함수==
  
* [[대수적다양체의 제타함수]]<br><math>Z_p(T)=\exp(\sum_{r=1}^{\infty}N_r\frac{T^r}{r})</math><br>
+
* [[대수적다양체의 제타함수]]:<math>Z_p(T)=\exp(\sum_{r=1}^{\infty}N_r\frac{T^r}{r})</math><br>
  
 
 
 
 

2013년 1월 12일 (토) 10:04 판

이 항목의 스프링노트 원문주소

 

 

개요

 

 

정의

  • 복소수열 \(\{a_n\}\)에 대하여 디리클레 급수를 복소함수로서 다음과 같이 정의\[\sum_{n=1}^{\infty} \frac{a_n}{n^s}\]

  • 중요한 디리클레 급수의 경우 다음과 같은 성질을 만족시킴
  • 중요한 문제들
    • 해석적확장의 개념적 이해
    • 정수에서의 special values
    • \(s=1\)에서의 유수
    • \(L'(1)\) 의 값 (Birch and Swinnerton-Dyer 추측)
    • 일반화된 리만가설

 

 

리만제타함수

 

디리클레 L-함수

  • 준동형사상 \(\chi \colon(\mathbb{Z}/n\mathbb{Z})^\times \to \mathbb C^{*}\)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함.\[L(s, \chi) = \sum_{n=1}^{\infty}\frac{\chi(n)}{n^s}\] ,  \(\mathfrak{R}(s)>1\)
  • 디리클레 L-함수  항목 참조

 

 

 

데데킨트 제타함수

  • 수체 \(K\)에 대하여, 데데킨트 제타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됨\[\zeta_{K}(s)=\sum_{\mathfrak{a} \text{:ideals}}\frac{1}{N(\mathfrak{a})^s}=\sum_{n=1}^{\infty}\frac{a_n}{n^s}\]
    여기서 \(a_{n}\)은 \(N(\mathfrak{a})=n\)을 만족시키는 integral ideal의 개수

 

 

Hecke L-함수

 

 

타원곡선의 L-함수

  • 타원곡선 항목에서 가져옴
  • Hasse-Weil 제타함수라고도 함
  • 타원 곡선 E의 conductor가 N일 때, 다음과 같이 정의됨\[L(s,E)=\prod_pL_p(s,E)^{-1}\]
    여기서 

\[L_p(s,E)=\left\{\begin{array}{ll} (1-a_p p^{-s}+p^{1-2s}), & \mbox{if }p\nmid N \\ (1-a_pp^{-s}), & \mbox{if }p||N \\ 1, & \mbox{if }p^2|N \end{array}\right.\]

 

 

모듈라 형식의 L-함수

  • 모듈라 형식(modular forms) f에 대응되는 L-함수\[f(\tau) = \sum_{n=0}^\infty a_n e^{2i\pi n\tau}\]\[L(s,f)=\sum_{n=1}^{\infty}\frac{a_n}{n^s}\]

 

 

아틴 L-함수

 

 

대수적다양체와 제타함수

 

 

역사

  • 수학사연표
  • 1920 Eric Hecke analytic continuation of  L-functions of number fields

 

 

 

메모

 

 

하위페이지

 

 

관련된 항목들

 

수학용어번역

 

사전 형태의 자료

 

 

관련링크와 웹페이지

 

 

 

리뷰논문, 에세이, 강의노트

  • P. Cartier, An introduction to zeta functions, in \ From number theory to physics", ed. M. Walschmidt, P. Moussa, J.-M. Luck, C. Itzykson Springer